KCI등재
예비 노년층(Pre-Seniors)의‘삶의 마지막 공간’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 Pre-Seniors' Perceptions of the 'Last Place of Life’ - A Subjectivity Study Using Q Methodology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61-472(12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삶의 마지막 공간’ 인식에 대한 예비 노년층의 주관성을 탐색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공간디자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는 급속한 고령사회로 전환하는 우리 사회에서, 향후 노년에 진입할 거대 인구집단인 예비 노년층의 공간 인식을 주관성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노인의 거주 공간은 이웃과 지역사회가 포함된 복합적인 개념으로 노인의 정체성과 삶의 의미에 깊이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령화 인구의거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 및 디자인 방안에 도움이 되는 실천적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인간의 주관성을 다루는 데 적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Q 방법론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결합한 혼합 연구방법으로, 외부적 사실이 아닌 내부적 이해에 중점을 두고, 사람 간 상관 및 사람 간 요인 관계를 분석하여 유형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P 표본으로 선정된 55세~64세 예비 노년층 30명을 대상으로, 40개의 Q 표본을 11점 척도로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en_Q analys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성분 요인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예비 노년층의 삶의 마지막 공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각 유형에 속한 사람들의 특성에 따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평화로운 공간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중시하며, 존엄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가 있는 ‘자연 친화와 존엄 추구형’, 둘째, 돌봄이 용이한 공간과 죽음을 준비할 수 있는 환경을 중요시하는 ‘돌봄 공간과 준비 중시형’, 셋째, 개인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개인 선택과 독립 중시형’, 넷째, 의료적 지원을 받는 장소에서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을 선호하는 ‘익숙한 환경과 의료 중시형’, 다섯째, 가족과 살던 집에서 마지막을 준비하고 가족을 배려하는 것을 중시하는 ‘가족 유대 공간 중시형’으로 명명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삶의 마지막 공간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인식과, 각각의 인식 유형에 적합한 디자인적 서비스 및 공간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자연 친화적 공간을 선호하는 이들을 위해 녹지와 조용한 환경을 갖춘 공간이 필요하며, 돌봄을 중시하는 이들에게는 접근성이 뛰어난 돌봄 지원 시스템이 요구될 것이다. 또한, 가족과의 유대감을 중시하는 유형을 위해서는 가족이 자주 방문하거나 상주할 수 있는 공간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주관적 접근 방식은 다양한 유형의 예비 노년층의 요구를 반영한 공간디자인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노년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plores and categorizes the subjectivity of pre-seniors concerning their perceptions of the "last space of life," to develop spatial design solutions tailored to each type. It seeks to understand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the spatial perceptions of pre-seniors, a significant demographic entering old age. The living spaces of older adults encompass complex concepts that include neighborhood and community interactions that significantly impact their identity and meaning of their live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nsights that can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s of the aging population and assist in policy and design strategies. (Method)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which is suitable for addressing human subjectivity. It is a mixed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focusing on internal understanding rather than external facts, and categorizes i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and factor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The study involved 30 pre-seniors aged 55–64 (designated as P samples) who were required to distribute 40 Q samples on an 11-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rough the Ken_Q analysis program. (Resul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in each group, fiv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are identified regarding the "last space of life" among pre-seniors. First, the “Nature Affinity and Dignity Seeking” type values a peaceful space in harmony with nature and has a strong desire to maintain dignity. Second, the “Care Space and Preparation Oriented” type prioritizes spaces that facilitate caregiving and environments prepared for death. Third, the “Personal Choice and Independence Oriented” type prefers an independent space that upholds personal dignity. Fourth, the “Familiar Environment and Medical Care Oriented” type favors being with close ones in a medically supportive location. Fifth, the “Family Bonding Space Oriented” type emphasizes preparing for the end in their family home and considers family needs. (Conclusions) The findings provide diverse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last space of life” and implications for design-oriented services and spatial planning suitable for each type. Spaces with greenery and a tranquil environment are needed for those preferring a nature-friendly setting, whereas those who value care require an accessible care support system. Additionally, spaces that accommodate frequent family visits or residencies should be considered for types that prioritize family bonds. This subjective approach enables spatial designs that reflect the needs of various pre-senior types,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in an aging socie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