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昌寧拓境碑」의 ‘四方軍主’와 新羅의 天下觀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5-308(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그간 한국학계의 天下觀 연구는 민족주의적 시선에서 중국 중심의 화이관적 조공책봉론에 대항하는 ‘또 다른 中心’의 형성을 강조하였다. 이로 인해 천하관의 의미가 중국과 대등한 독자 세력권을 표상하는 어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신라의 천하관에 대한 연구도 화이관에 입각한 천하관이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신라의 경우에는 화이관 외에도 佛敎的 世界觀과 王者觀이 신라의 천하관 형성에 상당히 큰 영향을 끼쳤다.
「昌寧拓境碑」를 보면, 진흥왕은 자신이 한강유역으로 영토를 확대하여 田畓과 山地 등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서해의 漢城과 북해의 碑利城까지, 기존의 동해와 남해에 더하여 四海를 획득한, ‘網羅四方’의 이상을 구현한 자기세계의 통일자임을 강조하였다. 창녕비의 ‘四方軍主’는 그러한 진흥왕의 위엄과 권위를 자랑스럽게 표현한 것이다. 진흥왕은 당시 北齊의 序階的 天下觀을 받아들여 조공책봉관계를 맺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巡狩碑에 잘 드러나듯이, 불교적 세계관과 왕자관을 통해 미래 세계의 통일자인 轉輪聖王을 希求하였다. 「文武王陵碑」에 화이관적 천하질서를 받아들이면서 그와 함께 자기 세계의 四方을 통합했던 문무왕의 ‘直九合一’의 공훈이 특필되어 있는 것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신라는 당의 조공책봉국이었지만, 신라왕은 사방을 통일할 미래의 전륜성왕이라는 불교적 세계관과 왕자관을 의연히 견지하였다.
Until now, the study of perception of the world in the Korean historial academic community has been widely used as a Perception to express its independent sphere of influence on par with China in order to counter the Chinese-centered tribute policy theory(朝貢冊封論). However, in the case of Silla, Buddhist worldviews had a significant impact rather than Huai-Gwan(華夷觀), the perception of central and subordinate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Four-way territorial military commander(四方軍主)” and the unified world by the Cakravarti-rajan(轉輪聖王) based on King Jinheung’s Buddhist worldview in the monuments of King Jinheung, including the Changnyeong Monument.
The tombstone of King Munmu in later times also shows the unified world by Silla based on the Buddhist worldview, which was found in the Monuments of King Jinheung. This article sought to emphasize Silla’s own historical experience and Buddhist worldview,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study of the world based on the perception of Huai-Gwa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