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Treatment and Prognosis for an Esthesioneuroblastoma over a 20-Year Period
저자
Chang Hoon Song(송창훈) ; Il Han Kim(김일한) ; Hong-Gyun Wu(우홍균) ; Dong Wan Kim(김동완) ; Chae-Seo Rhee(이재서)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9-193(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목 적: 감각신경모세포종의 시대에 따른 치료방침과 생존율의 변화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3월부터 2007년 6월 사이에 감각신경모세포종으로 진단을 받고 처음으로 치료를 받은 42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Kadish 병기에 따르면, 3명(7%)의 환자가 A병기, 6명(14%)의 환자가 B병기, 33명(79%)의 환자가 C병기였다. 33명의 C병기 환자 중, 19명은 1989년부터 2000년에, 14명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치료 받았다. 치료는 수술, 방사선치료, 항앙화학요법 및 이들의 조합이었다. 1989년부터 2000년까지 치료를 받은 19명 중 8명(42%)이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것에 비해,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치료를 받은 환자 14명은 모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다(p<0.001). 삼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는 1989년부터 2000년에는 아무도 받지 않았으나 2001년부터 2007년도에 치료를 받은 14명 중 8명이 받았다(p<0.001). 생존환자에 대한 중앙 추적기간은 6.5년(범위, 2.2∼15.8년)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에 대한 5년 생존율과 무진행생존율은 각각 53%와 39%였다. Kadish A혹은 B 환자의 5년 생존율은 100%이고 Kadish C병기의 5년 생존율은 39%였다 (p=0.007). C병기 환자 중 1989년부터 2000년까지 치료받은 환자와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치료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26%와 59%였다(p=0.029). 상응하는 5년 무진행생존율은 각각 16%와 46%였다(p=0.001). 다변량분석에서 안와내침범과 치료시대(1989∼2000 vs. 2001∼2007)가 생존율과 무진행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독립인자로 확인되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C병기 환자에서 삼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의 도입과 같은 치료방법과 기술의 진화를 반영하는 치료시기가 향상된 생존율과 무진행생존율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음을 제시 하였다. C병기 환자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에 더하여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병용요법, 특히 삼차원입체조형방사선치료가 추천된다.
더보기Purpose: To report on the changes in the patterns of care and survival over time for esthesioneuroblast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42 previously untreated and histologically confirmed
esthesioneuroblastoma patients seen between March 1989 and June 2007. According to Kadish’s classification,
3 patients (7%) were stage A, 6 (14%) at stage B, and 33 (79%) at stage C. Of the 33 Kadish C patients, 19
and 14 patients were treated from 1989 through 2000 and from 2001 through 2007, respectively. Treatment included surgical resection, radiotherapy, chemotherapy, or a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8 of 19 patients (42%) seen from 1989 through 2000, whereas all of the 14 patients seen from
2001 through 2007 received chemotherapy (p<0.001). No patient was treated by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from 1989 through 2000, however 8 of 14 patients (67%) seen from 2001 through 2007
underwent 3D-CRT (p<0.001). The median follow-up time for surviving patients was 6.5 years (range, 2.2∼ 15.8 years). Results: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rates for the entire cohort were 53% and 39%, respectively. The 5-year OS was 100% for Kadish stages A or B and 39% for stage C (p=0.007). For patients with stage C disease who were treated from 1989 to 2000 and from 2001 to 2007, the 5-year OS rate was 26% and 59% (p=0.029),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5-year PFS rate was 16% and 46% (p=0.001), respectively. Intraorbital extension and treatment era (1989∼2000 vs. 2001∼2007) were found as independent factors for OS and PFS in a multivariate analys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eatment era, which features a distinction in treatment modality and technique with the introduction of 3D-CRT, may be the cause of improved OS and PFS in Kadish stage C patients. To achieve better outcomes for patients with Kadish stage C, combined chemoradiotherapy, especially 3D-CRT, is recommended in addition to surge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