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마을민속 연구와 인문학문의 길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62(56쪽)
제공처
인문학문의 길은 우리 사회의 구체적 현실과 문화적 맥락을 대상으로 연구해야 열린다. 그러한 현장연구의 대상이 마을공동체이다. 마을공동체와 인문학문의 위기를 함께 극복하기 위하여 마을문화 속에서 인문정신의 가치를 찾고 인문학문의 길을 닦는다. 고전의 전문적 지식이 아니라 실제인 삶의 현장으로서 마을문화를 주목하며, 학자들끼리 한정된 소통이 아니라 누구든지 알아들을 수 있는 말과 논리로 사람살이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 앞으로 만들어가야 할 인문학문의 희망이다. 거기에는 세 가지 근거가 있다.
하나는 구체적으로 자기가 사는 사회를 대상으로 한 인문학문을 해야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우물 안을 잘 아는 개구리’를 표방하며 다른 사회가 아닌 우리 사회를 연구하는 것이 긴요하다. 우물 안처럼 좁고 구체적인 우리 사회의 문화가 곧 마을문화이다.
둘은 실제로 삶의 문화를 보고 겪을 수 있는 현장연구가 중요하다. 서구나 제3세계 문화처럼 낯선 문화의 현장연구가 아니라, 직접 답사하고 체험 가능한 문화의 현장연구가 인문학문 연구의 대안이다. 마을문화는 바로 우리가 익숙하게 알 수 있는 현실문화이자 앞으로도 이어받기 쉬운 전통문화로서 ‘오래된 미래문화’이다.
셋은 얼 쇼리스의 ‘희망의 인문학’과 다른 ‘인문학문의 희망’을 마을문화에서 찾는다. 도시 빈민과 노숙자 등을 가르치는 희망의 인문학은 인문학 교육운동에 머문다. ‘인문학문의 희망’은 마을의 공동체문화 속에서 바람직한 삶의 길을 찾고 인간다운 삶의 희망을 만들어가려는 새 학문운동을 겨냥한다. 학문운동으로서 새 인문학문을 구상하는 데 마을문화는 가장 훌륭한 연구대상이다.
그러므로 마을문화가 인문학문의 바람직한 길을 제시할 수 있는 구체적 내용을 다음 7가지 가치에서 찾는다. 첫째 공동체문화로서 무상 공유의 가치, 둘째 민중생활사로서 역사적 가치, 셋째 문화다양성으로서 독창적 가치, 넷째 민족문화로서 전통적 가치, 다섯째 문화주권으로서 창조적 가치, 여섯째 자연친화로서 생태학적 가치, 일곱째, 문화자원으로서 경제적 가치 등이다. 앞으로 이러한 일곱 가지 문제를 제각기 연구해서 마을문화의 인문학적 가치를 밝히는 논저를 저술할 것이다.
The way of humanities will be opened when concrete reality and cultural context of our society are studied. Such an object of field study is village community. To overcome crisis of village community and humanities, we should find value of human spirit and way of humanities in village culture. It is hope of humanities in the future to pay attention to village culture as a field of life, not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classics, and to propose a way in human life with words and logic that all the people can understand, not with limited communication among scholars. Here there are three grounds.
First, it is effective to study on humanities for concrete society in which we liv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on our society, not other society, by claiming to support ‘a frog which knows everything in the well’. Village culture means culture of our society which is narrow and concrete like in the well.
Second, it is important to study on the field where we see and experience culture of life in reality. It is an alternative of study on humanities to study on the field of culture that we can explore and experience ourselves, not to study on the field of a strange culture like culture of the Western or the 3rd world. Village culture is an ‘old culture in the future’ as a realistic culture which we are familiar with and a traditional culture easy to be handed down in the future.
Third, it is to find ‘hope of humanities’, differing from ‘Riches for the poor the Clemente Course in Humanities’ by Earl Shorris, from village culture. ‘Riches for the poor the Clemente Course in Humanities’ teaching the poor and the homeless in cities is content with humanities education campaign. ‘Hope of Humanities’ aims at a new academic campaign to find a desirable life in culture of village community and to make hope in human life. In designing new humanities as an academic campaign, village culture is the best object of study.
Therefore, we can find concrete contents which village culture can suggest a desirable way of humanities from the following seven kinds of value. First, it is value of free sharing as community culture. Second, it is historical value as life history of the people. Third, it is creative value as diversity of culture. Fourth, it is traditional value as racial culture. Fifth, it is creative value as culture sovereignty. Sixth, it is ecological value as eco friendly. Seventh, it is economic value as culture resources. In the future, I will write a paper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value of village culture in the side of humanities by studying on the above seven problem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