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원형 소재 오픈소스화를 위한디지털콘텐츠화사업’의 필요성 = The Need for Digital Contents Project for Open Source of Culture Archetype Material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9-133(25쪽)
KCI 피인용횟수
10
DOI식별코드
제공처
Contemporary society has entered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racterized by the internet of thing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so on. This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can be approached from several fields such as technologies, industry, education and human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That i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such matters as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importance of materials for creative works as the source. And it finally proposed the necessity for the digital contents project for development of the differentiated cultural industr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nd for open sourcing of cultural archetype.
An attempt to analyze the industry of cultural contents thus far development shows that materials for creative works are very diversely borrowed but most overwhelmingly from th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of each country. That is because the valuabl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of each country basically contains global universality along with the specificity(individuality) of the country. In this sense, our cultural contents industry should first devote itself to finding and developing our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re both the core materials for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the new resource of the 21th-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such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can be said to be the culture archetyp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discussion over archetypes. The point of discussion over archetypes can be said to be the division of originality and archetype. Among other things, it ascertained that having an interest in cultural contents is the archetype. And the culture archetype was made from the addition of the culture to the archetype meaning the ‘original basic pattern’.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is culture archetype has the layers of diverse culture archetypes organized into the time axis, the space axis and the subject axis. Accordingly, it could be said that the strategy of adopting this culture archetype as the material for creative works and developing it in consideration of the trends of the times and consumers’ needs can become the effective and realistic scheme at pres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project for translating new culture archetypes into contents should be based on the open sourc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conceiving a new project by presenting some more or less regrettable points through reflection on the culture archetype development project in the first half of the 2,000s.
현시대는 바야흐로 나노기술, 바이오 유전공학, 디지털기술,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으로 표상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돌입하였다. 이 4차 산업혁명시대는 기술, 산업, 교육, 그리고 인문학 등 여러 방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본 글은 이 중 ‘콘텐츠’의관점에서 생각해 본 글이다. 즉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기술 속에 담기는 ‘콘텐츠(contents)’가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먼저 문화콘텐츠산업과 창작소재의 중요성, 원천 창작소재로서의 문화원형의 문제를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4차산업혁명시대 차별화된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새롭게 ‘문화원형 오픈소스화를위한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개발된 문화콘텐츠산업을 분석해보면 창작소재는 매우 다양하게 차용되지만 가장 압도적인 것은 각 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자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각 나라의 가치있는 전통 문화자원은 기본적으로 자국의특수성(개별성)과 함께 세계적 보편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우리의문화콘텐츠산업도 먼저 우리의 전통 문화자원에 대한 소재 발굴과 개발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전통적 문화자원은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핵심 소재이자 21세기 지식산업사회의 새로운 자원이다. 바로 그러한 전통문화자원에 대한 체계적 이해가 文化原型 (culture archetype)이라 할 수 있다. 먼저 原型 논의를 검토하였는데, 원형 논의의 핵심은 原形(originality)과 原型(archetype)의 구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 문화콘텐츠에서 관심을 갖는 것은 原型(archetype)이라는 점을 확실히 하였다.
그리고 文化原型이란 ‘본래의 기본 틀’을 의미하는 原型에 文化를 붙여서 만든 용어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화원형은 시간축과 공간축, 주제축으로 전개되는 다양한 문화원형의 層位를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제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기술들이 콘텐츠의 중요성과필요성을 더욱 증강시켜준다는 관점에서, 새로운 문화원형 콘텐츠화사업을 오픈소스 기반으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2,000년대 초반 문화원형 개발사업의반성을 통하여 개선점 몇 가지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사업 구상에 도음을주고자 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7 | 2.031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