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러시아 아무르주의 한인사회와 정교회 선교활동(1872~1916) : 블라고슬로벤노예(Благословенное) 마을을 중심으로 = The Korean Society and Mission for Koreans in Amurian Oblast' in Russia(from 1872 to 1916) : With Priority Given to Blagoslovennoe Village
저자
이병조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7-91(45쪽)
제공처
러시아 세속당국과 정교회 지도부는 정교신앙과 학교교육을 통해서 아무르주 블라고슬로벤노예 마을(사만리) 한인들의 러시아화를 유도해내고자 했다. 한인교육의 성장 원동력은 세속당국 및 정교회 선교부의 적절한 활동과 교구교육을 받은 젊은 한인세대의 협조 속 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또한 블라디보스톡 주교구 설립(1899), 그리고 그해 설립된 동방대학과 포드스타빈(G.V. Podstavin)의 한국학 연구도 한인의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세속당국과 정교회의 블라고슬로벤노예 마을 한인의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 정책은 가시적인 성과들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인 문제와 한계 속에서 수행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우선은 20세기에 들어서까지 이어진 한인의 고립적인 조선식 생활방식의 유지를 들 수 있다. 또 하나는 정교신앙을 통한 한인들의 삶이 여전히 비기독교적인 상황에 머물러 있었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한인들의 러시아화가 낮은 수준에 있었다는 점과 마지막으로 한인들의 행정적인 자치권한도 한인들의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의 진행을 더디게 만들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20세기에 들어서까지 한인들의 만족스럽지 못한 내적인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의 요인은 지방당국의 관심과 노력이 지속되지 못한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러시아 정부는 자신들의 발의로 이주시킨 한인들에 대해서조차 지속적인 관심과 충분한 지원을 하지 않았으며, 이는 결국 한인들의 낮은 러시아화라는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즉 러시아 정교회의 아무르주 한인선교 활동은 세속당국의 적은 관심과 한계 속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그로 인해 한인들의 러시아화 상태 또한 마을의 형성배경에 비해 만족할 만한 수준 가운데 있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In the past, Blagoslovennoe in Amurian oblast' of Priamurian region was one of the model settlements established and designed by the Russian government which would cost 15,271 ruble to immigrate people.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 were trying to russianize Koreans through Russian schooling and mission work in the long run. For this, the first cathedral was built in memory of Aleksander Nevski in September, 1871 and a school for Koreans was established in Blagoslovennoe, in May 1872.
In the 20th century, a boy’s and a girl’s school were newly established and education for Koreans continued to thrive with the effort of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 With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s efforts and cooperation of young generation of Korea resulted in such growth. Additionally, establishment of the Vladivostok main parish church in Siberia, 1899 helped the education for Koreans to gain further attention and support. And G.V. Podstavin’s study on the ways to develop the education for Koreans encouraged the Priamurian authorities to continue to support the russianizing education for Koreans.
However, although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s policy for mission and russianization for Koreans in Blagoslovennoe produced some visible results, there were still substantial matters and limitations to be solved.
One of the problems was in the Korean way of life, which is isolated. Although almost 20 years had passed after Koreans moved into Blagoslovennoe, they still lived in the same way they used to in Korea and the Eastern Orthodox Church, which Koreans believed, made it hard to successfully Christianize Koreans. Also, the state of russianization of Koreans was at a low level and there was no resident priest until early of 1880’s(there were no resident priests not later than 1890’s). Lastly, Korean’s administrative autonomy hindered the russianization and mission for Koreans.
The reason that russianization and mission for Koreans could not make success was resulted from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s discontinuous concerns and insufficient efforts. Furthermore, the Anti-Korean policy conducted under the domination of P.F. Unterberger, who was the General-governor of Priamurian,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ussianization and mission for Koreans.
Considering the backgrounds of movement and settlement of Blagoslovennoe, the Russian government regarded it one of the best regions satisfies the required condition for assimilation and russianization. However, discontinuous concerns and insufficient support brought about unsatisfactory results. In other words, despite all the formative features, the Russian Orthodox Churches’ efforts for Christianize Koreans could not make a great success with the Priamurian authorities’ unsustained attention and considerable limita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