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Crisis Regional Financial Architecture in East Asia for New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저자
오정근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59(3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During the last couple of decades, the East Asian economy has experienced the deepening of market-driven integr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trade,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and capital flows. 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ened regional economic linkages and interdependence provide a new challenge of the contagion of financial crisis. Nevertheless, government-led integration, such as institution- building for regional financial stability and monetary cooperation has fallen well short of expectations in its achievements. In addition,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originated from the US raised additional issues such as problems of excessive dependency on a single international vehicle currency and lack of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 etc.
In this paper, the regional financial architecture in East Asia is examined in three aspects; supply of foreign exchange liquidity, exchange rate stability and financial stability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similar financial distress in the region. First, for the supply of foreign exchange liquidity, the effectiveness of the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 such as CMIM, currency swaps among central banks should be enhanced. A creation of the regional currency such as ACU could be recommended as well,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exchange rates, the development of intra-regional capital market, the reflux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in the region, and as a consequence, the alleviation of foreign exchange liquidity crunch.
Second, for the stability of exchange rates intra-regionally and extra-regionally, first of all, macroeconomic policy dialogues should be developed towards more effective ways. Information sharing should be more enhanced, and the current simple information sharing stage should be upgraded to the peer review and peer pressure or due diligence stage. An independent, professional regional organization that prepares comprehensive papers for analyses, assessments, and discussion to support the process is necessary as well. Next, for the stability of exchange rates, in the short-term, different exchange rate regimes among countries over the region could be modified towards their convergence. As a possible practical approach, a soft basket band crawling(BBC) system could be recommended. In the medium/long-term, schemes for the exchange rate stability and for the supply of emergent liquidity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mong various options for monetary cooperation for exchange rate stability, ACU composed of regional currencies as well as some important extra-regional currencies such as dollar and euro could be proposed.
Third, in order to re-cycle East Asian savings in the region, to reduce the double mismatches, and to develop the regional financial system in a more balanced way, the regional financial market, e.g., the regional bond market and the foreign exchange market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financial stability in the region, communication for information sharing,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ystem on the vulner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and capital flows also should be enhanced.
For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the above regional financial architecture, the role of big countries in the region, China and Japan, is, needless to say, really crucial. Their rivalry towards hegemony over the region, which maybe the case, could not be conducive in any case to even the achievement of their hegemony as well as regional cooper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8 | 0.14 | 0.486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