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의 현황 = A Study on the Status of Migrating Shorebirds on Major Wetlands in Cheju Island , Korea
본 연구는 제주도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도요ㆍ물떼새류의 지소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1998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2년간 매월 2회씩, 1) 동부지역(하도리 양어장, 종달리 해안 및 성산포 양어장)과, 2)서부지역(용수리 저수지, 금등리 해안 및 대정읍 일과리 해안)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2개 지역에서 관찰된 도요ㆍ물떼새류는 총 45종 5,117개체였으며, 지역별로는 동부지역에서 40종 4,910개체, 서부지역에서 38종 927개체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봄철 2,821개체, 가을철 1,229개체로 봄철에 도래하는 개체수가 가을철보다 많았다. 우점종은 제1차 조사기간인 봄철에는 민물도요 Calidris alpina 2,024개체(88.5%), 흰물떼새 Charadrius alexandrinus 84개체(3.7%),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11개체(2.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을철에도 민물도요 384개체(82.9%), 흰물떼새 20개체(4.3%), 흰목물떼새 11개체(2.4%)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2차 조사기간에는 봄철에 좀도요 Calidria ruficollis 116개체(21.8%), 민물도요 67개체(12.6%), 청다리도요 Tringa nebularia 58개체(10.9%)의 순으로, 가을철에는 민물도요 191개체(24.9%), 노랑발도요 T. brevipes 156개체(20.4%), 삑삑도요 T. ochropus 104개체(13.6%)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부지역은 서부지역에 비하여 우점도는 높았으나, 종다양도와 균등도는 낮게 나타났다. 동부지역과 서부지역간의 유사도는 0.85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물꿩 Hydrophasianus chirurgus,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바늘꼬리도요 Gallinago stenura, 흰꼬리좀도요 Calidrius temminckii 등 4종의 제주도 미기록종과, 검은머리물떼새, 흰목물떼새, 넓적부리도요 Eurynorhynchus pygmeus,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등 3종의 환경부 지정 보호조류가 관찰되었다.
더보기This study was part of a continuous research project on the status of migrating shorebirds on major wetlands in Cheju Isl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wice every month for two years, from March 1998 to February 2000. The investigated location are mainly two areas. The first census areas were Hado-ri fishfarm and the coast of Jongdal-ri in Kujaw-up and Sungsan-po fishfarm in Sungsan-up, all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Cheju Island. The second census areas were Yongsu-ri reservoir and the coast of Kumdung-ri in Hangyoung-myon and the coast of Ilgwa-ri in Dejong-up, all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Cheju Island. In total, 45 species consisting 5,117 individuals were observed during the census period. There were 40 species and 4,910 individuals in the eastern area, 38 species and 927 individuals in the western area.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shorebirds in the spring migratory season was greater than in the autumn. The dominant species researched during the first census period were 2,024 individuals of Calidrius alpina (88.5%), 84 individuals of Charadrius alexandrinus (3.7%), 59 individuals of Charadrius placidus (2.6%) in spring and 384 individuals of Calidrius alpina (82.9%), 20 individuals of Charadrius alexandrinus (4.3%), 11 individuals of Charadrius placidus (2.4%) in autumn. The dominant species researched during the second census period were 116 individuals of Calidrius ruficolis (21.8%), 67 individuals of Calidrius alpina (12.6%), 58 individuals of Tringa nebularia (10.9%) in spring and 191 individuals of Calidrius alpina (24.9%), 156 individuals of Tringa brebipes (20.4%), 104 individuals of Tringa ochropus (13.6%) in autumn. Dominance index were recorded better in the eastern area than the western area, but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were recorded lower in the eastern area than the western area. Similarity index were 0.85 between the eastern area and the western area. Hydrophasianus chirurgus, Haematopus ostralegus, Gallinago stenura and Calidrius temminuckii, which are observed during the census period ar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on Cheju Islan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ere observed such as Haematopus ostralegus, Charadrius placidus, Numenius madagascariensis, and Eurynorhynchus pygmeu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