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大乘起信論≫之“真心本覺”思想探析 = Analyzing the Theory of “Original Enlightenment of True Heart”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저자
徐玲 ( Xu Ling ) ; 한미경 ( Han Mi Kyung ) ; 한흥식 ( Han Heung Sik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1-149(29쪽)
제공처
『大乘起信論』 中, “真心”은 “真如心”을 가리킨다. 동시에 “衆生心”, “如來藏心”,“阿賴耶識”等 다른 이름이 있지만 통칭하여 “一心”이라 하기도 한다. “一心”은 본론 사상전개의 핵심개념이다. 본론에 따르면, 衆生心的 體와 用, 양방면의 해석이 대승불법의 교리이다. 用, 즉 心眞如門과 心生滅門으로 일체의 세간법과 출세간법을 설명하며, 一心에 의해서 二門이 성립한다. 心眞如門에서 진여는 法界總相的 法體이며, 心眞如는 불생불멸적 심성 즉 真如心이다. 心生滅門에서 생멸은 용이며, 생멸심에 의거 여래장이 존재하고 일정한 인연조건하에서 生起혹은 還滅이 생기고 불생불멸적 眞如와 生滅妄念的 心識, 이 심식이 아뢰야식인데, 아뢰야식은 생기만법 섭유만법하며 有覺과 不覺의 두가지 뜻을 담고 있다. 眞心本覺說에 의거하여 覺과 不覺이 건립하며, 覺은 心性不生不滅, 不覺은 심성적 생멸변화, 本覺은 만법본체가 되는 人心의 본성이다. 眞心本覺說은 변증법적 사고방식을 사용하여 "一心" 體用不二, 심성본체적 이론을 구축하고 체와 용, 染과 淨, 진여심과 생멸심, 각과 불각의 관계를 통일한다. 이 이론적 구성에 의거, "眞心"은 내면의 "本覺"으로 지적인 자각을 실현할 수 있으며, 진실과 무지의 힘을 통해 淸淨本心으로 돌아가려는 목표를 실현함으로써 해탈성불하게 된다. 眞心本覺說은 중국 儒家의 “反身內求”의 사상과 결합하여 불교의 중국화 과정을 추동하였고 후에 불교의 교파 탄생에 영향을 주었다. 진심본각설은 화엄종, 천태종, 선불교 등 많은 불교 종파에 영향을 미쳤다. 불교의 중국화 발전과정의 관점에서 본다면, 진심본각설은 불교의 衆生成佛的 주체성 차원의 중요성을 고양하였고, 중요한 이론적 가치와 실천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더보기“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s an important classic of the Chinese Buddhism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true heart” refers to the “tathata heart”, and it also has the synonyms names of "the heart-mind of Sentient Beings", "Tathagata hidden heart" and the " Alaya-consciousness ", etc., which can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ne Heart-Mind". The "One Heart-Mind" is the core concepts of the development of its theory. The theory explains the doctrines of Mahayana Buddhism from two aspects, which are the body and the use of "the heart-mind of Sentient Beings", by using the “the door of the heart as true” and “the door of the heart as birth and death” which can explain all worldly dharma and transcendental laws. The "One Heart-Mind" stands on the basis of the two doors, From the aspect of “the door of the heart as true”, tathata is the body of the general state of the dharmadhatu, which can be named “the true heart” as the immortal nature of the mind; from the aspect of “the door of the heart as birth and death”, which is the use, “the heart of generates and destroys” exists according to the Tathagata, and which arises or be exterminated under certain conditions, containing mind conscience of immortality tathata and delusion of birth and extermination. The heart-mind is the “Alaya-consciousness”, which rises and governs all dharma, including two phases of Enlightenment Non-enlightenment.
The theory of “original Enlightenment of true heart” is established by "Enlightenment" and “Non-enlightenment". "Enlightenment" means the neither dying nor being of the nature of heart-mind, and "Non-enlightenment" means the changes of heart’s birth-death.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the nature of the human heart as the nature of all dharma, which cannot be revealed because it is contaminated and covered by delusions. Sentient Beings can enter into the Buddha realm by eliminating delusional thoughts, translating “Nonenlightenment" into "Enlightenment" in order to make originally features emerged. The says of “original Enlightenment of true heart” uses a dialectical way of thinking to construct the heart-mind ontology theory in which the body and use of “One Heart-Mind” is not dual, un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use, dye and clean, heart as true and heart as birth and death, enlightenment and non-enlightenment. In the construction of this theory, the “true heart” can realized self-enlightenment by using the “original Enlightenment” of inner heart, realizes the goal of return pure conscience by using the perfumate power of tathata on delusion, and realizes the Liberation into Buddha hood.
The theory of “original Enlightenment of true heart” is consistent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of "seeking from the inside" or "introspective inner pursuit", promoted the process of which promotes the process of sinicization of Buddhism and has influenced many later Buddhist sects, such as Huayan sect, Tiantai sect, and Chan sect and so on, which have more or less inherited some thoughts of the theory of " original Enlightenment of true heart ", which has greatly improved the subjectivity of Sentient Beings to become Buddha, and ha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