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성 - Bandura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 =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Art Subject in High School - Focusing on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and Visual Culture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5-130(46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and visual culture, apply it to the field, and test its effects to provid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art classes. The study followed this procedure: first at the model development stage, the investigator set the components of a model and developed an initi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round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and visual culture based on literature study; secondly, the validation stage involved three internal validity tests and usability evaluations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ird, the field application and assessment stage saw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16 students of tenth graders at B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roughout six times art classes to confirm the model based on reactions from learners and teachers; fourth,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tested with the character level inventory(KEDI, 2014)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the pre- and post-test. The t-test results of the two dependent sample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2.0 statistical program to examine their significance and provide findings; and fifth, the conclusion stage offered discussion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confirm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classes outcomes. The comprehensiv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bunch of major strategies were set for art classes for character including selective observation activities, leading appreciation activities, collaborative inquiry activities, imagery and linguistic expression activities,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independent check and revision activities for an expressive process, exhibit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based on exchanges among learners, and self- and peer-evaluation activities. The process of learning activities moved up the steps of observing, making an inquiry into, utilizing, and confirming character elements; and secondly, the visual culture-based character modeling leaning model(VCML) had its validity secured, and the classes applying the model had positive impacts on the character levels of learners, who formed will to practice their character acts.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수업을 통한 인성학습을 위해 반두라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반두라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모형의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교수학습 초기 모형을 개발한다. 둘째, 타당화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모형에 대해 3회의 내적 타당도 검증과 사용성 평가를 시행한다. 셋째, 현장 적용 평가 단계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B고등학교 1학년 1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해 미술수업 6차시를 실행하고 학습자 반응과 교수자 반응을 통해 모형을 확정한다. 넷째,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개발한 인성 수준 검사도구(현주 외, 2014) 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두 종속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해 유의미성을 파악한 연구결과를 도출한다. 다섯째, 연구의 결론 단계는 확정된 교수학습 모형과 수업 결과를 토대로 논의,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 한다. 종합적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을 위한 미술수업을 위한 주요 전략은 선택적 관찰 활동, 주도적 감상활동, 협동 탐구 활동, 심상 및 언어적 표현활동, 창의적 발상 및 표현활동, 표현과정에 대한 주체적 점검 및 수정 활동, 학습자 간 교류를 기반으로 한 전시 및 감상활동, 자기 및 동료평가 활동으로 설정하였으며, 학습 활동 과정은 인성요소 관찰-탐구-활용-확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시각문화 인성 모델링 수업 모형(VCML)의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인성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인성 행동에 대한 실천 의지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5-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10-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 KCI후보 |
2005-10-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4 | 0.933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