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인천수륙재(仁川水陸齋) 범패·작법무의 전승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ditional Values of Beompae·Jakbeopmu in Incheon Suryukjae
저자
우상희 (능인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5-158(24쪽)
제공처
본 논문은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2호, 제15호 인천수륙재 예능보유자인박일초 스님의 범패·작법무에 나타나는 독자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보존가치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인천에서 수륙재가 자리를 잡게 된 역사적배경과 지역적 특성을 살펴본 후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2호 범패·작법무와제15호 인천수륙재에 나타나는 범패와 작법무의 독자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2호 범패·작법무와 제15호 인천수륙재의 전승·보존 과정 중 현시대에서 소실되었거나 인천수륙재에서만 설행되고 있는특수한 작법무에 대한 보존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인천수륙재의 예능보유자는 박일초스님으로 2002년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2호 범패·작법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2004년에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제15호 인천수륙재 보유자로도 지정을 받아 현재까지 꾸준히 학인 양성에 기여하며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두 종목을 보유하였기 때문에 범패와 작법무를 다룰 수 있는 영역이 수륙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영산재·시왕각배재·상주권공재 외에 재의식 전반에 해당하는 모든 범패와 작법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은 박일초 보유자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이를 토대로 인천이라는 도시에서 수륙재가 자리 잡게 된 배경과 상황, 그 안에서전승·보존되고 있는 박일초 스님의 수행과 공력이 녹아있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제10-2호 범패·작법무와 제15호 인천수륙재에서 보여지는 범패와 작법무의 독자적인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 논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한 결과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에 대한 연구의 시발점이 되어 향후 학계에서 인천의 무형문화재들이 활발히 연구될 수 있는 기점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2호 범패·작법무와 제15호 인천수륙재는 예능보유자 박일초스님의 개성 있는 성음과 간성이 더해진 화려하지만 무상한범패와 지역적 특성인 해풍을 연상시키는 작법무의 춤사위가 보존·전승 되어오고있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많이 설행되고 있는 작법 외에 소실되었거나 타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수한 작법무에 대한 보존력이 상당히 높았으며 그렇기 때문에한국불교의식과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의 전승을 위한 그 보존의 가치성에 주목할필요가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lore values of Monk Park Il-cho, the holder of Incheon Metropolitan City's Intangible Cultural asset(No.10-2).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cheon Suryukjae, and then examines the lore valu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Intangible Cultural asset such as Beompae, Jakbeopmu and Incheon Suryuk- jae. Finally, during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process of Incheon Metro- politan City’s Intangible Cultural asset, I will examine the high preservation of the special Jakbeopmu that has been lost in the current era or is performed only in Incheon Suryukjae.
The artistic holder of Incheon Suryukjae is Monk Ilcho Park. In 2002, he was designated as Incheon Metropolitan City Intangible Cultural asset. Contribute to training and continue activities. It is the characteristic and advantage of Park Il-cho that the area that can deal with Beompae and Jakbeopmu is not limited to Suryukjae because it has two events, but it can also accommodate Yeongsanjae, Siwanggakbaejae, and Sangjugwongongjae.
Based on this, the background and situation in which Suryukjae took its place in the city of Incheon, and the ascetic practices and power of Monk Park Il-cho, which have been passed down and preserved in it, are mel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tangible Cultural assets. I would like to introduce and discuss the lore values of the beompae and jagbeopmu that are shown.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based on these studies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research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active research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Incheon in the academic world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Beompae, Jakbeopmu and Incheon Suryukjae are colorful but free-of-charge Beompae with the unique voice of Monk Park Il-cho and the dance of Jakbeopmu reminiscent of the sea breeze, which is a regional characteristic. In particular, the preservation power of special dances that have been lost or cannot be found in other regions, other than the commonly performed dances, is quite high. There- 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of preservation for the transmission of Korean Buddhist rituals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