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의 HMR제품 선택속성이 고객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저자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학위논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경기도
기타서명
The study about HMR products of one person household is Optional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형태사항
vii, 75p.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기영
참고문헌 : p. 63-67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3859
소장기관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and the increase in national income, values have been changing and the dining market has grown significantly. The population structure of society is changing continuously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nhanced level of education and social advancement of women. The pattern of consumption has been polarizing proportionately and dietary lifestyle is changing drastically. Also,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the highest, accounting for 27.2% (518 million households)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15.
The rapidly changing percep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call for a reduction in housework hours, particularly due to health, long life and the increase of double-income families. Major dietary lif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live alone are variety, and convenience to ea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refore, the
consumption of HRM products has been increasing as they can conveniently consume a variety of foods. Because most single-person households eat alone, it is common for them to consume nutritionally insufficient meals with only a limited number of foods or instant products. Moreover,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spend most weekends alone need to use HMR products for convenient mealtimes, and their number of use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ouseholds or double-income families. Hence, their reliance on HMR products and the subsequent satisfaction level is expected to be very influential.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impact the development of HMR product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dentifying the selection properties of HMR produc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dentify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and survey questions were set regarding the HMR product usage type, selection property,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 consumers.
Surveys were conducted against 280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Seoul, where there is a high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46.2%), who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HMR products. Survey questions of this study divided into 5 categories and consisted of 45 questions in total,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usage status of HMR products, selection property,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then analys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PC+ ver. 18.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alid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convenience of product’ and ‘quality of product’ from the single-person household’s HMR selection property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t was also found that ‘convenience of product’ and ‘price of product’ from the single-person household’s HMR selection property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HMR product market that is targeting the continuously growing single-person household, through the menu development of dining companies that produce HMR products, and good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and hope that research on the dietary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continue.
우리나라가 경제가 급속적으로 성장하고 국민소득의 증대로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으며 외식 시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사회 인구구조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1인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여성의 사회진출, 교육수준의 향상이 높아지고 이에 비례하여 소비패턴의 양극화가 되어가면서 식생활 형태가 크게 바뀌고 있다. 또한 1인 가구의 2015년 총 인구의 27.2%(518만 가구)인 가구비중이 제일 높다.
빠르게 변화하는 1인 가구의 인식은 건강 및 장수,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한 가사노동시간의 감소를 요구하고 있다. 혼자 사는 1인 가구들은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식사가 가능한 편의성을 추구하고 다양성이라는 식생활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의 소비를 하며 간편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HMR제품의 소비량이 늘어나고 있다. 1인 가구는 거의 혼자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고 한정된 가짓수의 음식을 섭취하거나 인스턴트류의 식품을 섭취하며 영양적으로 불충분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게다가, 주말에도 거의 혼자 지내는 경우가 많은 1인 가구는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HMR제품의 이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용횟수도 일반가정이나 맞벌이 부부보다 더 많아서 HMR제품에 대한 의존도와 그에 따른 만족도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인 가구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여 1인가구의 HMR제품의 선택속성을 파악하고 고객만족·구매의도에 대하여 파악함으로써 1인 가구를 위한 HMR제품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1인 가구인 소비자의 HMR제품 이용형태, 선택속성, 고객만족도, 구매의도에 관한 설문항목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1인 가구 비율이 높은 서울 (46.2%)에 거주하고 있는 20이상의 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HMR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자로 설문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문항은 5가지로 나뉘었으며 HMR제품의 이용현황, 선택속성, 고객만족, 구매의도, 일반적 사항으로 총4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Window용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PC+ ver.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타당성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1인 가구의 HMR 선택속성 요인 중‘제품의 편의성’, ‘제품의 품질’은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1인 가구의 HMR 선택속성 요인 중 ‘제품의 편의성’, ‘제품의 가격’이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를 타깃으로 하고있는 HMR제품 생산 외식기업의 메뉴개발과, 타 기업 간의 선의의 경쟁으로 HMR제품 시장의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1인 가구의 식생활에 관련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