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브랜드 팬덤 현상을 형성하는 팬덤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Fandom Framework that Shapes Brand Fandom Phenomen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87-398(12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이제는 익숙한 용어인 ‘브랜드’와 공동의 관심사와 취향을 공유하며 교류하는 ‘팬덤’활동은 보편화된 현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주로 스타를 향하던 팬덤 활동이 확장되어 브랜드를 소비하는 과정에서도 팬덤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팬덤은 브랜드 충성도를 넘어, 소비자가 브랜드와 감성적 관계를 형성하고 자발적인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과정으로 이어져 기업의 브랜딩 전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팬덤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브랜드 팬덤이 형성되는 구조와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브랜드 팬덤 형성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브랜드별 팬덤 형성 단계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팬덤과 팬덤 프레임워크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단계별 브랜드 팬덤 형성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분석틀을 적용하여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으로는 브랜드 팬덤 순위의 상위 10위에 포함된 브랜드 가운데 브랜드 팬덤의 영향이 큰 테크놀로지 분야의 삼성전자와 애플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 및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브랜드 팬덤 프레임워크에서는 팬 아이콘 요인과의 관계에서 동일시가 초반부터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랜드 팬덤 프레임워크에서 동일시는 몰입보다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애플과 삼성의 브랜드 팬덤 형성 과정에서 동일시가 팬덤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애플은 감동 이후 동일시가 강하게 형성되면서 몰입과 숭배, 헌신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반면, 삼성은 동일시 단계가 상대적으로 약하여 브랜드 충성도가 애플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 팬덤 프레임워크에서 동일시가 몰입보다 선행하며, 소비자가 브랜드를 자신의 정체성과 결부시킬 때 팬덤이 강하게 형성됨을 시사한다. 또한, 대중성과 호환성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정체성과 미학적 취향을 중시하는 소수의 고객을 타겟층으로 둔 애플의 경우 대 팬덤이 보다 폐쇄적이고 강력하게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창의적 분야 종사자와 미적 취향 중시하는 소비자 등 사회적 상징성이 강한 타겟층에서 동일시가 더 강하게 작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브랜드 팬덤 형성의 중요성과 단계별 브랜드 팬덤 형성 프레임워크 정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에 대한 방향성으로 결론을 내린다. 첫째, 브랜드의 관리 및 운영에 있어 팬덤 프레임워크를 적용해야 하며 단계별 브랜드 팬덤 형성 프레임워크에 맞춰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브랜드 팬덤 형성 프레임워크에서 동일시는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 정체성 간의 연결로 인해 기존 팬덤 프레임워크에 비해 초기 단계에서 나타남에 따라 감동-동일시-몰입-숭배-헌신의 단계를 거치는 브랜드 팬덤 형성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며, 셋째, 브랜드 팬덤을 형성하는데 있어 아비투스와 정체성 표출의 측면이 크게 작용하여 이를 중시하고 사회적 상징성이 강한 소수의 고객을 타겟층으로 둘수록 보다 강력한 팬덤을 형성할 수 있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The term "brand" has become a familiar concept, and "fandom" has become a widespread phenomenon. As a result, fandom, which was traditionally centered around celebrities, has expanded its scope to include brand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brand fandom in the consumer experience. Brand fandom goes beyond brand loyalty, as consumers form emotional connections with brands and voluntarily establish communities, making it a crucial element of corporate branding strategie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brand fandom formation based on the fandom framework, and the stages of brand fandom framework across different brands. (Method) This study builds upon prior research on brand fandom and fandom frameworks to conduct a comprehensive theoretical review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is process, a step-by-step framework for brand fandom forma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ase analysis. Samsung and Apple, two technology sector brands ranked among the top 10 in brand fandom rankings, were selected as case study subjects for comparative analysis, leading to valuable insights. (Results) The cas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Brand Fandom Framework, ‘identifying’ occurs earlier in the process than ‘absorbing’ due to its relationship with the fan icon factor. It was confirmed that ‘identifying’ plays a key role in the brand fandom framework for both Apple and Samsung. While Apple exhibited a strong ‘identifying’ phase following the emotional impact, which naturally progressed into ‘absorbing’, ‘worshipping’, and ‘dedicating’, Samsung demonstrated a relatively weaker ‘identifying’ stage, resulting in lower brand loyalty compared to Apple. This suggests that in the Brand Fandom Framework, identification precedes absorption, and consumers form stronger fandoms when they associate a brand with their personal identity. Additionally, Apple's brand fandom, which targets a niche group that prioritizes innovation, creativity, and aesthetic values over mass appeal and compatibility, was observed to be more exclusive and intense.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brand fandom formation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ep-by-step framework for its development, concluding with actionable directions. First, the fandom framework should be applied in brand management and operations, with strategies aligned to the stages of the proposed framework. Second, the study suggests a brand fandom formation framework comprising the stages of Touching-Identifying-Absorbing-Worshiping-Dedicating. This sequence reflects the early emergence of ‘Identifying’ due to the connection between brand image and consumer identity, contrasting with traditional fandom frameworks. Third, the findings underscore the pivotal roles of habitus and identity expression in fostering brand fandom. Brands that prioritize these aspects and target niche audiences with strong social symbolism can cultivate more powerful and loyal fandom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