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김현감호」에 나타난 虎女의 상징에 대한 의미와 재해석 = The meaning and reinterpretation of the symbol of the Honyeo in Kimhyungamho folk tal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3-195(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김현감호」의 주제는 인간인 남자와 호랑이인 여자와의 사랑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호랑이의 희생을 통한 호원사연기설화로서 정착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여기서 주된 논의 대상은 호랑이 여자인 虎女의 상징에 대한 것이다. 호녀라는 의미를 통해서 산신적 존재로 이해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高麗世系>의 기록인 호경장군과 여산신이었던 호랑이를 근거로 삼은 결과였다.
하지만 김현과 사랑에 빠진 호녀의 희생은 김현을 위한 것이기 보다는 호랑이인 오라버니의 징치를 대신한 결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이러한 사정은 숫호랑이에 주목하지 않고, 주로 김현과의 사랑과 호원사 창건과 관련한 내용에 더 의미를 부여하였다. 무엇보다도 이런 사정으로 끌고 간 이유는 「김현감호」의 말미에 달아놓은 「신도징」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보인다. 그러나 「신도징」을 제시한 것은 「김현감호」식의 의미를 추출하기 보다는 불교의 포교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 일연의 『삼국유사』 집필전략 때문이다. 「신도징」의 경우 제자와 스승과의 관계로 제시되어 있어 「김현감호」식의 맥락과는 전혀 무관한 면모를 갖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김현감호」의 호녀는 산신적 속성보다는 당대의 표현 흐름으로 볼 수 있는 異物交婚적 속성으로서의 동물계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이러한 사정은 작제건의 부인인 저민의나 강감찬의 모친으로 등장한 여우들의 표현이 이루어지는 당대의 문화적 특징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아진다. 저민의나 狐母의 경우 그들의 역할을 마친 후에 다시 동물계로 귀환한다. 즉 인간계에 남지 못하고 자신의 세계로 다시 회귀할 수밖에 없는 것이 바로 당시의 이물교혼적 표현방식이었기 때문이다.
「김현감호」의 虎女의 경우에는 죽음이라는 장치를 사용하기는 했어도 인간계로 편입되지 못하고 동물계에 잔존한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자신의 희생은 김현의 출세를 위한 것이라는 표면적인 표현이 있기는 하나, 실제로는 자신의 세계인 호랑이계를 존속시키기 위한 의도가 더 강했다는 것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런 관점에서 호녀는 산신적인 존재물이기 보다는 이물교혼적 속성을 지닌 존재로서 이해하는 것이 더 유의미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the Honyeo (the tiger that turns into a woman) in Kimhyungamho (a folk tale of Kim Hyun who married a tiger woman in the Silla dynasty). Until today, the Honyeo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symbol of the tiger or mountain deity. However, I would like to propose the view that the focus is on Imulgyohon (marriage between man and animal).
When connected with the cultural attributes of the time, it makes more sense when the Honyeo is explained with a view of Imulgyohon rather than as the symbol of the tiger or mountain deity. In previous research, the Honyeo was considered to be a special figure that was connected with the mountain deity. Thus, it was believed that this kind of tale showed the transition to Buddhism from folk beliefs. However, the Honyeo is different
from the mountain deities in terms of its behavior and purpose. In many stories, they appeared before the king or noblemen and expressed concern about the comfort of the country. However, in the story of Kimhyungamho, the Honyeo is closer to the Buddhist propagation.
At that time, the concept of Imulgyohon was widely used in order to disseminate Buddhism. The Honyeo was not incorporated into the human world, and they could not escape their world even through death. There are several examples in folktales that show Honyeo who could not be incorporated into the human world.
Along with this, Ilyeon’s (a Buddhist monk as well as a writer) writing strategy is clear in his writing of Samgukyusa, considering the sky’s will to rule the Tigers. For example, a male tiger that represented the Honyeo’s older brother was punished by the sky because of his misbehavior. This shows the victory of Buddhism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Buddhism and folk beliefs.
The Honyeo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spread Buddhism. It becomes clearer when the Honyeo returned to the animal world after death. The Honyeo had femininity, but she could not reach to the god’s position. To conclude, the Honyeo was used for disseminating Buddhism, and the concept of Imulgyohon made the Honyeo’s character more distinctiv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