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학 관련 대학 교양 교육의 현황과 전망 =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 of General Education for Litera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9-64(2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는 교양교육 또는 교양대학이 대학 내 이해 충돌의 첨예한 격전장이 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중앙대학교 문학 관련 교양 강좌 운영 현황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바람직한 교양교육으로서 문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문학텍스트는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이 조직적인 언어를 통해 삶의 보편적인 의미로 형상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문학은 주체가 언어를 매개로 삶의 구체성과 총체성을 경험할 수 있는 교양교육의 가장 중요한 재료라 할 수 있다. 문학텍스트와 주체(독자)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문학텍스트에 대한 이해·분석·해석·평가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주체(독자)는, 일차적으로 문학텍스트의 언어적 특징에 주목하고, 이어서 문학텍스트의 구조적 형식을 파악하고, 이를 문학텍스트를 둘러싼 콘텍스트와 연결하여, 마지막에는 문학텍스트의 미학적·정치적 의미를 평가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주체(독자)는 자신의 이성과 감성을 활용하여 타자 그리고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주체로 탄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학의 교양 관련 문학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문학 관련 교양 강좌는 ‘영역 분과주의’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첫걸음은, 중앙대학교 대학구성원들이 모든 역량을 집결하여 교양교육 과정 전체를 개편할 수 있는 강한 조직을 만드는 일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 강한 조직을 통해, 학문 간 경계를 넘어 서로 횡단하고 통섭하는 교양 강좌를 대폭 늘리는 일이 시급하다. 이는 복수전공이 활성화 된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인문학 관련 전공으로 유도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학문후속세대가 자신의 학문적 이력을 심화하고 확장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Based on the awareness that general education or general education colleges are becoming a battleground of conflicting interests within the university,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lecture related to Chung-ang University and presents literary education as necessary general education.
Literary texts display the humanistic experience of human life as a universal symbol through systematic language. Thus, literature can be defined as the most important ingredient in educational literature, where the subject can experience life and its geopolitical aspects. The literary text and subject (reader) attain the understanding, analysis, and evaluation of literature through interaction. Through these processes, the subject focuses primarily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exts, followed by understanding their structural form eventually determining the context surrounding literary texts and evaluating their meaning. Thus, the subject of self-reliance is nurtured with an autonomous self and independent entity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Hence, literature on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urther.
Currently, general education for literature in Korean universities is not beyond the scope of “ Academic egoism.” The first step in solving this problem begins with creating a strong organization that can assemble all its faculty members and reshape the cultural curriculum entirely. Through this strong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significantly increase general education courses across academic boundaries and disciplines. This can also assist students to engage in academic studies that can contribute to expanding their academic backgroun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