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충북지역 건축에 나타난 지역적 표현 및 보편적 표현 특성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Expression and Universal Expression in Chungbuk Regional Architecture since the 1990s)
저자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THE INSTITUTE OF HO-SUH CULTURAL STUDIES SEOWON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7-132(46쪽)
제공처
In the 1960s, Cheongju City began to the modern urbanization process with the population passing by 10 million than any other region of Chungbuk provinces. Early in the 1970s, it began to the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the opening of the Gyeongbu Expressway and the improvement of rural community structure in rural areas,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had become active.
From the 1990s, the Building ordinance of the city and municipal assembly was enacted, the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were constructed a residential section at the outskirts of downtown. After ninety nineties, because of non self-regulating quantitative growth of Chungbuk provinces without the concern of local identity and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ness went on, so it is true that there are no buildings of represented contemporary architectures of the region.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s of the Chungbuk region since 1990s, and has a purpose of examinations of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Chungbuk architectures.
For the architectural case study, the target buildings of analysis are selected at published works of the famous monthly magazine of Korea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awarded works of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and as well as they are in Chungbuk region. These works were visited for taking photos and collecting architectural inform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1960s,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ere the continuation of functional Modernism Architectures and Post Modernism Architectures, High-Tech Architectures of Machine aesthetics and Deconstructivism as Neo Modernism. These are influenced many aspects in the development and advance of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Second, since the 1990s,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began to appear the Minimalism Architectures as Neo Modernism, the New Media Architectures applie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e Sustainable Architectures as Eco-friendly and green architecture.
Third, this pluralistic tendencies of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like as function oriented tendency, post-modern tendency, neo-modern tendency, technic expressive tendency and tendency of seeking Korean characteristics. The tendency of seeking Korean characteristics is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falls into four sections like as the outspoken restor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historical compromise, the abstract representation of tradition, the critical localism.
Lastly, the results of 33 examples Investigation Cases of the Chungbuk contemporary architectures appeared as follow. As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Chungbuk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function oriented tendency showed 12 greatest trends, and as the tendency of seeking Korean characteristics, there are four examples of the critical localis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