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디지털전환 정책에 따른 무용교육의 방향성 탐색 =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Digital Conversion Policy of Cultural Arts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3-280(28쪽)
제공처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따른 학교 현장의 교육 전략의 변화, 그에 상응하는 정부의 기존 교육 정책 및 상황을 살펴보고, 예술교육의 디지털 역량 개발에 대한 현황을 진단해 봄으로써 무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유추해 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한 귀납 분석방법이다. 결과: 문화예술의 디지털화에 입각한 무용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화 방향성은 첫째, 무용교육 콘텐츠의 디지털화는 학생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예술 작품, 강의, 자료, 및 프로젝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무용교육의 디지털화는 학생들 스스로의 관심사와 수준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의 제공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스스로 작품을 구성하고 결과물에 대한 공유를 통해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디지털화를 통해 구성한 작품은 세부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하고, 학생들을 지원하고 협력해 줄 수 있는 피드백 제공이 빠르다. 넷째, 무용교육의 디지털화는 기존 아날로그 교육 자료보다 보관 및 관리에 효율적이며 교육적 개선이 보다 효율적이다. 결론: 현재 디지털 리터러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만큼 무용교육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교수학습역량을 키우기 위한 방안으로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Purpose: This study aims to improve dance education by examining changes in educational strategies in schools according to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government's existing educational policies and situations corresponding to them, and diagnosing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competency development in arts education. Methods: Inductive analysis method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sult: First, the digitalizatio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means that students can easily access artistic works, lectures, materials, and projects through online platforms. Second, digitalization of dance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select content that suits their interests and level and control the learning speed. This provides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 opportunity to collaborate through constructing their own work and sharing the results. Third, works created through digitization are evaluated in detail and efficiently, and feedback is quickly provided to support and cooperate with students. Fourth, digitalization of dance education is more efficient in storage and management than existing analog educational materials, and makes educational improvement more efficient. Conclusion: As digital literacy is currently essential, a change in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is needed in the dance education field, and thi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as a wa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capabilit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