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신세대 문학에 나타난 기억 연구 : 유디트 헤르만의 『여름 별장, 그 후』와 『알리스』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Gedächtnis in der jungen deutschen Literatur : zur Analyse von "Sommerhaus, später" und "Alice" Judith Hermanns
형태사항
iii, 65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유현주
소장기관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die Erzählungen von Judith Hermann, die eine repräsentative Autorin der neuen Literatur in den 90er Jahren, im Zusammenhang mit soziologischem Gedächtnis zu betrachten. Indem die Handlungen der Figuren von der Erzählungen Hermanns, auf Basis des soziologischem Gedächtnis analysiert werden, stellt diese Arbeit fest, dass die Gründliche Unterschiede, die sich in den beiden Werken Hermanns befinden, im Zusammenhang mit dem Gedächtnisakt und dessen Beeinflussung steht.
Um den Forschungszweck zu erreichen, muss ein Verständnis für das soziologische Gedächtnis am ersten gefordert wird. Das kollektive Gedächtnis von Halbwachs behauptet, das als Ansatzpunkt für das soziologische Gedächtnis gegolten wird, dass die Gedächtnisakt ein soziologisches Phänomen ist. Nach dieser Theorie löst das Gedächtnis das Gedächtnis einer Gruppe bzw. eines Individuums aus und spielt mit dessen Entstehung und Erhaltung zusammen. Auf der Grundlage von kollektiven Gedächtnis erkennt das Individuum, dass es ein Mitglied einer Gesellschaft ist. Dadurch beteiligt sich das Individuum an dem Prozess der Sozialisierung.
Aleida Assmann entwickelt auch auf Basis der Theorie des kollektiven Gedächtnisses das kulturelle Gedächtnis. Sie behauptet, dass das Gedächtnis durch verschiedene kulturelle Wiedergabe gespeichert und überliefert wird. Assmann erklärt mit den Wörtern “Funktionsgedächtnis” und “Speichergedächtnis” die Vorgänge, in denen die kulturelle Bedeutung des Gedächtnisses auf verschiedener Weise aktualisiert wird. Das Speichergedächtnis, das eine Art Archiv ist, und das Funktionsgedächtnis, das im organischen Zusammenhang mit der Gegenwart steht, funktionieren im Zusammenhang mit dem Vordergrund und dem Hintergrund. Dann wird die Form des Gedächtnisses aufgelöst und erneut zusammengesetzt. Der Kernpunkt der Theorie Assmanns besteht darin, dass das Gedächtnis eine Alternative für Entdeckung der Entwicklungs- und Verständnismöglichkeit ist, die sich innerhalb eines Individuums und einer Gesellschaft ins Stocken geriet.
Auf Grund von diesem Begriff kann man die Aspekte der Gedächtnisses, die im Debütwerk von Hermann "Sommerhaus, später(1998)“ und "Alice(2009)“ auftreten, vergleichen und analysieren. Dieser Versuch nimmt Abstand von der Kritik, die die Erzählungen Hermanns in den letzten 11 Jahren veröffentlicht worden sind, fast keinen Unterschied zeigen und betrachtet die wiederholte Vergessenheit, Verständigungsunmöglichkeit und Identitätsverlust, die nach "Sommerhaus, später“erscheinen, wie anders in "Alice“.
'Rote Korallen' ist eine kernhafte Erzählung, in der verdichtet sich das Problembewusstsein, das die Autorin in "Sommerhaus, später“ erzählen wollte. In 'Rote Korallen' gibt es die Konflikte zwischen den Individuen, die sich erinnern oder nicht erinnern wollen. Deshalb treten die Einsamkeit, Entfremdungund Schwermütigkeit auf. Darin ist das Gedächtnis überlegen, das den Zusammenhang mit der Gegenwart verliert. Die Erzählung endet ohne Darstellung einer Andeutung bzw. Hoffnung für die Zukunft. Auf der anderen Seite erlebt die Hauptfigur von "Alice“ eine Reihe von Vorgängen, in denen das Gedächtnis durch den Tod der Bekannte erneut zusammengesetzt und gebildet wird. Dadurch kann sie mit Selbsterkenntnis zahlreiche Möglichkeiten für ihr leben und Zukunft überblicken.
Hier wird das kulturelle Gedächtnis, das als ein Paradigma der deutschen Literatur gilt, im Zusammenhang mit dem Text von Hermann betrachtet. Dabei nimmt man Abstand von den Kritiken, die sich auf dem kursgefassten Stil und dem melancholischen Ton in den Werken Hermanns konzentrieren. Dadurch kann man die Gelegenheit finden, dass "Sommerhaus, später“ und "Alice“ auf einem neuen Horizont des kulturellen Gedächtnisses bewehren zu können.
이 논문에서는 90년대 “신세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인 유디트 헤르만 Judith Hermann의 단편들을 모리스 알브바슈 Maurice Halbwachs에서 알라이다 아스만 Aleida Assmann으로 이어지는 사회학적 관점의 ‘기억’ 개념과의 연관성 하에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헤르만의 텍스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동을 사회학적 기억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두 작품에서 드러나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기억의 행위와 그 영향력에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헤르만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기억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선 기억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기억에 관한 사회학적 인식의 출발점으로 간주되는 알브바슈의 ‘집단 기억’ 이론은 기억이 집단 혹은 타인이 개인의 기억을 촉발하거나 그 형성과 보존에 관여하여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사회적인 현상임을 주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은 기억을 통해 사회의 구성원임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사회화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알라이다 아스만 역시 알브바슈의 집단 기억 이론을 토대로 기억이 다양한 문화적 재현을 통해 저장되고 전승된다는 ‘문화적 기억’ 이론을 펼친다. 아스만은 ‘기능 기억’과 ‘저장 기억’이라는 용어를 통해 기억의 문화적 의미가 다양하게 현재화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고 있다. 일종의 문서 보관소인 ‘저장 기억’과 현재와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기능 기억’이 전경과 배경의 연관 하에서 작동함으로써 기억의 형식은 해체되고 새롭게 조합된다. 이를 통해 기억이 정체된 개인과 사회 내부에 잠재하고 있는 발전가능성과 소통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아스만 이론의 핵심이다.
이러한 사회학적 기억 개념을 바탕으로 헤르만의 데뷔작인 『여름 별장, 그 후 Sommerhaus, später』(1998)와 『알리스 Alice』(2009)에서 나타나는 기억의 양상을 비교 분석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도는 11년 동안 출판된 헤르만의 단편집 들이 각각의 이야기들에서 그 차별성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비판들과는 거리를 두고, 이전 『여름별장, 그 후』에서 나타나는 반복적인 망각의 태도, 소통 불가, 정체성 상실의 문제가 『알리스』에서는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붉은 산호」는 『여름 별장, 그 후』에서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이 응축되어 있는 단편으로, 기억하려는 개인과 기억을 부정하는 개인 사이에 갈등으로 인해 고독과 소외, 우울함이 나타난다. 이야기에서 현실과의 연관관계를 잃어버린 기억이 우세하게 되면서, 이야기는 미래에 대한 어떠한 암시나 희망을 제시하지 않은 채 끝난다. 반면에 『알리스』의 주인공은 지인의 죽음을 통해 기억을 발굴하고 새롭게 조합·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과 함께, 자신의 삶과 미래에 대한 수많은 가능성을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독일 문학의 한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문화적 기억’ 이론을 헤르만의 텍스트와 연결 지어 살펴봄으로써, 일련의 헤르만의 텍스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간결한 문체와 멜랑콜리한 어조에 집중되어있던 비평에서 벗어나, 『여름 별장, 그 후』와 『알리스』를 ‘문화적 기억’이라는 새로운 지평에서 평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