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국제인권조약 당사국의 역외 인권의무: ‘관할’의 의미와 초국경적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 Extraterritorial Human Rights Obligations of State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e Meaning of “Jurisdiction” and Transnational Human Rights Problems
저자
신윤진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76(7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With the growth of transnational mobility and global interdependence, human rights violations are increasingly acquiring transnational features. A territorial approach to the scope of states’ international human rights obligations is inadequate for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diverse and complex aspects of transnational human rights problems. It is first necessary to recognize important norm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concept of jurisdiction under public international law that delimits the scope of a sovereign state’s legal competence and the meaning of jurisdiction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at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rights-holder.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owever, interprets the term ‘jurisdiction’, a standard for defining the scope of protected individuals under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s in principle identical to territorial jurisdiction as understood in general public international law. In relevant decisions, the Court has proceeded to review whether there are justificatory grounds in individual cases for the exceptional recognition of extraterritorial human rights obligations of states parties. While the Human Rights Committee and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have in recent years sought to deliver new interpretive approaches that more proactively address today’s transnational human rights issues, those attempts exhibit theoretical loopholes, conflating elements of the existence of obligations and those of their vio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h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stituting human rights obligations in a way that does not confine the scope of protected individuals on the basis of specific jurisdictional links and instead emphasizes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universal realization of human rights. A critical examination of recent practices and scholarly proposals illuminates the urgent need to develop a systemic and detailed interpretive model that adequately reflects the diverse dimensions, types and features of human rights obligations. For negative human rights obligations (the duty to respect), jurisdictional restrictions on the scope of protected individuals should be eliminated. With regard to positive human rights obligations, including the duty to protect and the duty to fulfil, more comprehensive and contextualized approaches are needed that take into account the prescriptive jurisdiction of the relevant state and a du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More precise interpretive approaches to states’ extraterritorial human rights obligations will reduce the gap i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the risk of outsourc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nsure that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will accomplish its intrinsic and contemporary roles in widely transnationalizing human rights realities.
더보기초국경적 이동성과 지구적 상호의존성이 증대하고 인권침해와 인권위기의 양상이 다변화, 초국경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국제인권조약 당사국의 인권의무 범위에 대한 영토중심적 접근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주권국가 간의 법적 권한 경계로서의 국제공법상 전통적 ‘관할권’ 개념과 국가와 인권주체 개인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국가가 가지는 인권의무의 상대방 범위를 정하는 국제인권조약상 ‘관할’(jurisdiction) 개념은 규범적으로 중요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유럽인권재판소는 유럽인권협약 당사국이 부담하는 인권의무 상대방 범위로서의 ‘관할’의 의미가 원칙적으로 일반 국제공법상 해당 국가의 영토적 관할권과 일치한다고 보면서, 개별 사안에서 ‘실효적 지배’라는 개념을 통해 예외적으로 당사국의 역외 인권의무가 인정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자유권규약위원회와 미주인권재판소의 경우 초국경적 인권사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해석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으나, 의무의 존재 요건과 위반 요건을 혼용하는 등 이론적으로 정교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사회권규약위원회는 보편적 인권 실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의무를 강조하여 특정 개인과의 관할 관계에 구속되지 않는 방식의 인권의무 구성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있다. 인권조약 당사국의 인권의무 상대방 범위에 대한 현재까지의 해석 실무와 그간 국제학계에서 제안된 대안적 해석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인권의무의 다양한 층위와 종류, 성격을 반영한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해석 모델의 필요성이 도출된다. 소극적 인권의무인 인권 존중 의무에 대해서는 관할이나 상대방 범위의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타당하고, 적극적 인권의무인 인권 보호 의무와 인권 실현 의무의 경우 관련 국가의 입법관할권과 국제 협력의무를 함께 고려한 종합적이고 맥락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국가의 역외 인권의무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론적 발전은 인권침해의 외주화 위험과 초국가적 인권사안에서의 인권보장 공백을 최소화하고 인권의 지구적 보편성을 지향하는 국제인권조약이 본래적, 그리고 시대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