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야키니쿠(焼肉)’가 있는 풍경 -‘저항적 정체성’이라는 문법을 넘어서 ‘재일’에 관해 말하기 = Scenery with Yakiniku : Talking about Zainichi beyond the frame of Resistant Identi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94(4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aims to newly interpret several texts, including Jeong Euishin’s Yakiniku Dragon, paying attention to the “Scenery with Yakiniku” that frequently appears in Zainichi Korean writers’ literature and movies. Yakiniku has been recognized as food and cuisine derived from Joseon or Korea in postwar Japan, and Zainichi Koreans themselves have also put forward it as a representative of their national identity. Accordingly, “Scenery with Yakiniku” was affirmed as an expression of the strong vitality or emancipatory energy of Zainichi Koreans who were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Japanese society, and was given the meaning of “resistance” or “anti-power” of that minority group.
However, if we look at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humans, or between humans and objects, rather than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or the level of identity,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ore complicated circumstances in the “Scenery with Yakiniku,” where characters of various ethnic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intersect and main events develop against this background.
If we see networks as “patterns of interconnections and exchanges that organize social and aesthetic experiences,” then Yakiniku, a key connection point in Zainichi’s network, needs to be re-recognized as actor that bilaterally composes patterns of interconnection and exchange with Japanese mainstream society, beyond the dichotomy of “resistance” or “conformity.” Such an attempt will be an experimental method to visualize that various objects (non-human agency) as well as a wide human network are closely involved in the meaning and production of texts, and will be an opportunity to connect texts into more multi-layered contexts.
이 연구는 재일작가의 문학 및 영화 등에 빈번히 등장하는 ‘야키니쿠가 있는 풍경’에 주목하여, 정의신의 <야키니쿠 드래곤>을 포함한 여러 관련 텍스트들을 새로이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야키니쿠는 패전 이후 일본에서 ‘한국·조선(인)’으로부터 유래한 음식 및 요리로 인식되어 왔고, 또 재일조선·한국인 스스로도 그것을 민족적 정체성을 대변하는 것으로 내세워 왔다. 이에 따라 ‘야키니쿠 있는 풍경’은 마이너리티 집단의 ‘강인한 생명력’이나 ‘해방적 기운’ 등의 표현으로 인식되어 왔고, 일본 주류 사회로부터 배제된 재일조선인들의 ‘저항’이나 ‘반권력’이라는 의미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주체의 내면이나 정체성의 차원이 아닌 인간과 인간, 혹은 인간과 사물의 관계성 차원에서 살펴보면, 다양한 민족적, 정치적 성격을 지닌 인물들이 교차하고, 이를 배경으로 주요 사건이 전개되는 ‘야키니쿠가 있는 풍경’에는 보다 복잡한 사정이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그 문화적 표상을 네트워크적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텍스트 해석의 새로운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네트워크가 “사회적, 미학적 경험을 조직하는 상호연결과 교환의 패턴”이라면, ‘재일’의 네크워크를 이루는 연결점으로서의 야키니쿠는 ‘저항’과 ‘순응’이라는 이분적 구분을 넘어, 일본 주류 사회와 그들의 상호연결 및 교환의 패턴을 양의적으로 구성하는 행위자로 재인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재일한다’는 것의 의미작용 및 생산에 광범한 인적 연결망은 물론이고, 다양한 사물(비인간 행위자) 또한 밀접히 관여하고 있음을 가시화하는 시론적 작업이 될 것이며, 텍스트들을 보다 다층적인 맥락으로 연결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3-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KCI등재 |
2020-03-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1 | 2.23 | 0.9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