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Kim Won-il literature has mainly consisted of works dealing with historical novels, divided novels, growing novels, and family conflicts, and has motives such as absence of the father, consciousness of the firstborn, violence of war, original experience of poverty, self-reflection. The existing study on Kim Won-il literature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terms of the research of writer theory and the three aspects of divisional novel, divided novels, growing novels, family history, and There is a tendency to lean toward works that form the great axis of division and historical novel. Although Kim Won-il is regarded as a long-time writer and division writer, it can be said that such an evaluation is clear. However, only one aspect of the world of works has been highlighted, pointing out the problem that the various meanings and inner values inherent in his literature can not be properly evaluated. In this thesis, I devoted myself to the study of Kim Won-il 's guilty consciousness, which is the subject of the whole work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discussion that had been biased toward the novel.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meaning of 'guilty consciousness' in Kim Won-il' s novel focusing on human emotion and inner consciousness, and to look at his work world in a whole new way.
    A guilty conscience is an emotional response to self-awareness when it fails to do bad things, fails to do what it wants to do, and recognizes the violation of social norms. Guilt conscience is a psychological mechanism closely related to good will, moral emotion, moral emotion, and conscience. The feelings of guilt, guilt, and moral feelings are the principles that guarantee the legitimacy of legal punishment, and it is also a means of personal enlightenment that enables inner moralization. Human guilt and feelings have a paradoxical meaning to threaten existence and to realiz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Looking at novels by Kim Won-il focusing on these guilt and emotions is useful for exploring the life and existence pattern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s and enables deep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n the first paragraph of chapter 2, we looked at the poor reality and guilt consciousness centering on the early fragments, and first, we investigated the aspect of guilt in the context of 'poverty' and the reality of de ethics. People who live in the miserable life of poverty and hunger appear to lack or lose guilt, and the cause is absurd reality. Secondly, we examined the aspect of guilt and consciousness expressed by anger and madness which is an 'evil' emotion, and we have looked at the reality that the characters who show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re driven to self-destruction.
    In the early short story of Kim Won-il, The reason that a man assault and murder a woman comes from a guilty conscience, and the anger derived from it acts as a cause for the person to fall into his own ruin. In Kim Won-il novels, the act of character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reality, and the moral judgment of any event or object is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The characters in Kim Won-il 's early short sto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loss of moral feelings and loss of guilt because of the external factors of the macro social structure. Thus, Kim Won-il embodies the life of the poor who are deprived of human rights and excluded from society, and reflects the social problems at that time. Kim Won-il 's early short stories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social problems that are manifested by lack of ethical consciousness of individuals and society due to the absurdity of reality and' disparity in wealth and social inequality '. It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a number of characters who are trapped in anger and reach their destiny by the madness of the moment. Their anger is not only the personal emotions of the individual, but also the social emotions, such as grudge, betrayal, hostility, etc., which are excluded from the collective order and received from unjust treatment and injustice. The causes of these people's anger are from reality of 'penury' and 'poverty', and the emotions of 'sin' caused by it are expressed in anger. Therefore, their anger can be sai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guilt.' The characters of the Kim Won-il novel in anger that is a group of novels show the aspect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hat commit criminal violence because of guilt, and it is characterized by dependence on violence in emotionally unstable situations. Kim Won-il criticize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social inequality, and symbolizes the frustration and disappointment of the poor and the sense of betrayal and hostility toward reality. The violence, which is frequently expressed in Kim Won-il's early short story, can be said to begin with guilt, and this means that the problem of social inequality arising from the reality of poor reality and de-ethics is pointed out sharply.
    In the second paragraph, we delved into the meaning of the era of 'uneasiness' centered on works published in the 1960s and 1980s and works based on the era, and how 'guilt' under the dictatorship regime appeared. First, I looked at the life of a person who is sacrificed by power and examined how the absurd reality of guilt is concealed. Second, I examined the murder of political judiciary in the era of the revivalist / dictatorship politics, focusing on the 'In Hyukdang incident', and investigated the aspect of guilt concealed in the reality of anti - ethics.
    Kim Won-il's works, which are based on the political and social era of the dictatorship regime, are based on the "era of insecurity" and the "silence" imposed on people living in the era and the "guilt" It shows the surface in detail. The 'inferior beings' who have undergone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4 · 19 Revolution and the 5 · 16 coup appearing in many of his works are in the position of the subaltern to be forced to silence, and their 'guilt' appears to be concealed by force. In addition, the national violence in the period of inequality deepening and the erroneous erroneous crime and the crime of the McCarthyism which succeeded after the liberation are presented. Kim Won-il regarded that people who are infected with time problems and immorality that obscure the boundaries of morality and immorality do not feel guilty as a 'moral pathology'. Kim Won-il criticized the anti-human behavior and immorality of the dictatorship regime and made a concrete picture of the situation in those days through the people who 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it shows the reality that the people were forced to silence before the duty of conscience because of the fear and dread caused by oppression. Thus, Kim Won-il's work reveals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are victimized by national violence, the falsehood and manipulation, the absurd reality of hoaxes, and the lack of justice in Korean society. Kim Won-il also criticizes national violence that erases the human dignity of Park Jung-hui's dictatorship and realistically kills the judicial murder of McCarthyism. In many works, victims of national violence feel guilty of not surviving themselves and guilty of damaging their family or colleagues, even though they did not commit wrongdoing. What is important is that, like the innocent victims of national violence, the ordinary people feel guilty because they were silent and insecure. It is silent to ignore injustice because of the fear and dread that it may become a victim of national violence, and it can be understood as giving up living humanly for survival. The main cause of violence is concealment of guilt, but the situation of anti - ethics in which victims and people of national crime feel guilty is the most brusque showing of violence and immorality of the nation. Kim Won-il shows that the era of military dictatorship was a time of darkness for the people, and that it was a more severe and horrible era for the victims of the In Hyuk Dang incident and their families. Kim Won-il criticizes Park Jung-hui's authoritarian regime and shows the unethical reality of those day and the guilt concealed by it.
    In the first paragraph of chapter 3, we examine the horrible reality of war and the morality of war, and examined through the works the fact that the guilty 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tragedy of fratricidal war and genocide. First, he explored in depth the problem of war 's irregularity and essential 'sin' centered on works that portray the immorality of war violence and the horrors of war. Conflict, hatred, and inhumanity caused by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way in which 'survival' is closely related to human guilt. Second, we examine the tragic death of a fratricidal war and consciousness of human existence, and explore the aspects of metaphysical guilt in 'exceptional state'. 'Guilty of Survival' appears as a desire for self-punishment, an unconscious guilty conscience, and these 'self-punitive' characters are characteristic of Kim Won-il's novel. Kim Won-il 's work reflects the experience of war, division and empirical worldview that symbolizes the life of the child, and the artist' s consciousness that touches on the problem of life, death, and existence, and the guilt of survival, that is, the guilt of being alive,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Kim Won-il is criticizing the ruthless violence and unethical behavior of the war,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war is expressed in detail through the works. He saw that war is an 'immoral act' that puts hatred that hates humans, and war that kills his own people because of different ideologies can not be justified for any reason. Kim Won-il deeply searched ethical and moral aspects of the violence of the Korean War, human cruelty,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retaliation, and In a distorted reality in which violence and murder are commonplace, "survival" has show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guilt. He is also deeply searched for human existence and 'metaphysical sins' through the 'self-punishers' characters whose guilt is manifested as an act of self-punishment. The characters who have self-punishment desires appearing in various works are strong self-criticism in that they try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whole lives without turning their sins. They are dignified 'self-punishers' in that they try their moral self-purification in a way that they will bear their sins for life and punish themselves. The self-punisher, a characteristic character in Kim Won-il's novel,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artist who wants to reflect on human existence from the root. Kim Won-il shows human being 's ontological guilt and the problem of existence through the absurdity of the times, and deeply embodies the inner side of the anguish and reflection. Kim Won-il, who had experienced the cruelties and cruelties of war, seriously worried about the morality of war, and through his works, he closely shows the guilty conscience of human being guilty of 'sin of living', while concretely symbolizing the tragedy and devastation of war.
    In the second paragraph, I focused on the works that embody a religious world view and examined the meaning of religious guilt. First, Kim Won-il explores the religious worldview and the nature of religion, and examines the practice of religious life and the ultimate significance of human existence. Kim Won-il saw the essence of religion as having the same root, and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 the existential meaning of human existence. He saw religion as looking for the meaning of human being, and saw the practice of religious life as the ultimate human life. Secondly, we examined the Christian worldview and sin guilt consciousness that are embodied in the works, and examined the atonement rituals of the penitent and repentant characters. He deals exquisitely with the problems of 'original sin' and 'evil' which are the difficulties in theology, and explores the essence of religion in detail.
    For Kim Won-il, religion is investigating the ultimate aspect of life. Religious life is the ultimate life to find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and practice love and sacrifice. Many characters in the work of Kim Won-il, who is exploring the essence of religion, are practicing an ecstatic life that eliminates and empties themselves, and really live a life devoted to others. Kim Won-il 's view of religion is understood to be oriented toward moderation without bias or bias toward either side. It is a characteristic of Kim Won-il's religious world view that he is a Christian but not too much to Christian. In addition, Kim Won-il embodies the Christian guilt, repentance, and salvation through various works, and describes details the meaning of true salvation. The works of Kim Won-il's religious worldview can be said to be starting from the fundamental problem of human life and death, and dealing with 'existential-theological' thought that explores the essence of religion deeply. Kim Won-il deeply understands Christian doctrines and finds existential questions and answers about human life and death in religious thought. His work can be regarded as a worthy religious literature that politically expresses the essence of religion, the ultimate human life, the original sin in Christianity, and the essential question of "evil" and the ritual of atonement.
    Finally, in chapter Ⅳ, Kim Won-il compares and contrasts the aspects of guilt in literature of the same age that symbolizes the aspect of guilt in Kim Won-il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guilty consciousness'. By looking at the 'guilty consciousness' in the works of Lee Chung-jun and Choi In-hun, Hwang Sun-won and Park Wan-seo etc.., I could find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guilty consciousness' in Korean novels.
    Lee Chung-jun, like Kim Won-il, has a common point of dealing with the guilty conscience expressed by the "desire for self-punishment", but Kim Won-il's novel has the difference that the punishment act is more active. In addition, Lee Chung-jun's "The Story of the Worms" may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Kim Won-il's "The New Theory". However, if Lee Chung-jun focuses on the 'forgiveness' of sin, which is an ethical issue of Christianity, Kim Won-il focuses on the essential 'good' and 'evil' issues.
    Considering that in the case of Choi In-hun, the guilty consciousness in the work appears as an emotion of "uncanny", that is, an emotion of fear, in Kim Won-il's novel, it can be compared and discussed with the aspect of guilt consciousness expressed as feelings of anger. The sense of fear of Choi In-hun literature, which is understood as Freud's 'uncanny' concept, can be understood in a similar way to the guilt of Kim Won-il's novel accompanied by feelings of anger. Choi In-hun's guilty conscience, like Kim Won-il, is "coupled with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victim of national and global violence", and 'guilt of the survivor' is related to fear. This is in common with the guilty conscience of survival in Kim Won-il's novel,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Choi In-hun's sense of guilt for being alive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In this way, Kim Won-il and Choi In-hun have a common sense that 'guilt consciousness' expressed in works is expressed as 'emotion' derived from 'guilt consciousness'.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emotion appears as anger and fear.
    It is also possible to compare religious guilt in Hwang Sun-won and Kim Won-il's religious worldview with the original sin and atonement rituals. In Hwang Sun-won's "Moving Castle", Christianity appears to be superior to shamanism. While Kim Won-il has a critical view of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Hwang Sun-won differs in that he sees the church's active mission strategy as a new aspect of Christianity. If the work of Kim Won-il is pointed out in the practical life of sacrifice and love, Hwang Sun-won's work can be said to be interested in 'practicing missions'. The most obvious commonality between Kim Won-il and Hwang Sun-won is that it shows the lives of true religious people who have overcome guilt and sought salvation.
    The guilty 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Park Wan-seo novel comes from the guilty of "still alive" that survivors first feel to the dead, a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guilt of Kim Won-il's novel. Both Park Wan-seo and Kim Won-il have in common that they portray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a deplorable manner and exquisitely treat the guilt of those who survived the war. There is difference in that while Park Wan-seo novels' guilty consciousnes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ubject's sense of loss, Kim Won-il's novel's guilt is expressed as' desire for self-punishment '. The characters in Kim Won-il and Park Wan-seo all feel 'sin of being aliv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guilt is understood as 'something similar to reproach of ethical responsibility and conscience'.
    As such, 'guilt consciousness'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mechanism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tial problem in the Korean War and the violence of the 'disloyal' ag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can also be said that religious literature is an intrinsic factor directly related to the practice of religious life, the overcoming of suffering, and the problem of salvation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atonement. Sense of guilt in Kim Won-il's literature can be understood as a human being's unique character and important emotional expression, which lies in the foundation of moral emotion. This sense of guilt has the meaning of functioning as an important criterion in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sins' and reflection on human life and existence itself. The study of the whole Kim Won-il literature based on the guilty consciousness enables us to explore in depth the inner dynamics of the human being, the inner order and the psychological dynamics that have been alienat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finding the meaning behind the surface of the work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past.

    더보기

    김원일 문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작가론 연구와 주제적 측면에서 분단소설, 성장소설, 가족사소설의 세 가지 양상으로 주로 논의되어 왔으며, 분단·역사소설이라는 큰 축을 형성하는 작품에 기울어진 경향이 있다. 이러한 평가는 김원일을 장편 작가이자 분단 작가라고 인정하여 그 작가적 위치를 분명하게 한다고 할 수 있으나, 작품 세계의 한 단면만이 부각되어 그의 문학 전반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의미와 내적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분단소설에 편향되어 있던 기존 논의의 틀에서 벗어나, 김원일의 전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 주제인 ‘죄의식’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인간의 감정과 내면의식을 중심으로 김원일의 소설 전반에 나타나 있는 ‘죄의식’의 의미를 고찰하여, 새로운 측면에서 그의 작품 세계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는 일이라는 데 의의를 갖는다.
    죄의식은 나쁜 행위를 하거나 하고자 하는 일을 실패했을 경우, 사회적 규범을 위반했을 시 그 사실을 인식한 후 스스로 갖게 되는 감정적 반응을 말한다. 죄의식은 선의지, 도덕 감정과 도덕적 정서, 양심 등과 긴밀하게 연관된 ‘심리적 기제(psychological mechanism)’라고 할 수 있다. 죄의식과 죄의 감정, 도덕 감정은 법적 처벌의 정당성을 보장해주는 원리이기도 하며, 내면의 ‘도덕화(moralization)’를 가능하게 하는 인격적 교화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죄의식과 감정을 중심으로 김원일의 소설을 살펴보는 일은 작품 속 인물들의 삶과 존재양상을 면밀하게 탐구하여 인간 존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Ⅱ장에서는 ‘도덕 감정의 결여(lack of moral sense)’에 따른 병리적 죄의식의 양상을 살펴본다. 1절에서는 가난과 사회적 불평등을 형상화한 작품을 중심으로 죄의식을 살펴보고, 첫 번째로 ‘빈곤’의 상황과 탈윤리의 현실에서 나타나는 죄의식의 양상을 탐구한다. 가난과 굶주림의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인물들은 죄의식이 부재하거나 상실되는 양상을 보이며, 그 원인은 부조리한 현실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죄의식이 ‘악’의 감정인 분노와 광기로 표출되는 양상을 살펴보며,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를 보이는 인물들이 자기파멸에 치닫게 되는 현실을 살펴본다.
    김원일 소설에서 인물들의 행위는 그들이 처한 현실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며, 어떤 사건이나 대상에 대한 도덕적 판단은 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다. 김원일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거시적 사회구조의 외적 요인으로 인해 ‘도덕 감정의 결여’와 ‘죄의식’의 상실을 경험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처럼 김원일은 인간의 기본권이 박탈되고 사회적으로 배제되는 빈민층의 삶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당시 사회적 문제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김원일의 단편 소설들은 현실의 부조리함과 ‘빈부격차와 사회적 불평등’으로 인해 개인과 사회의 윤리의식이 결여되어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분노에 휩싸여 순간의 광기로 자기파멸에 이르는 인물들이 다수 등장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의 분노는 개인의 사적인 감정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 질서에서 배제되어 부당한 대우와 불의로부터 받은 원한과 배신감, 적대감과 같은 사회적 감정과 함께 형성되는 것이다. 김원일의 단편소설에서 빈번하게 표출되는 폭력성은 죄의식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빈곤’과 탈윤리의 현실로부터 기인한 사회적 불평등의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2절에서는 군사정권과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불온’한 시대의 의미와 독재정권 하에서의 ‘죄의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탐구한다. 첫 번째로 권력에 희생당하는 개인의 삶을 살펴보고, 죄의식이 은폐되는 부조리한 현실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살펴본다. 두 번째로는 유신정권·독재정치의 불온한 시대에 행해진 정치적 사법살인을 ‘인혁당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반윤리의 현실에서 은폐되는 죄의식의 양상을 탐구한다.
    독재정권이라는 정치적·사회적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김원일의 다수의 작품은 ‘불온’한 시대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강요되었던 ‘침묵’, 그리고 그 침묵 이면에 내재되어 있던 ‘죄의식’의 면면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에 다수 등장하는 4·19 혁명과 5·16 쿠데타라는 정치적 사건을 겪은 ‘불온한 존재’들은 침묵을 강요받는 ‘서발턴(subaltem)’의 위치에 놓여있으며, 그들의 ‘죄의식’은 강제에 의해 은폐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불평등이 심화·정립되는 시기의 국가폭력과 해방 이후부터 이어지는 ‘매카시즘(McCarthyism)’의 시대적 오류와 범죄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김원일은 도덕과 부도덕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시대적 문제와 부도덕성에 감염된 인물들이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것을 시대의 ‘도덕적 병리 현상’으로 보았다. 이처럼 김원일 작품에는 국가폭력으로 희생당하는 개인의 삶과 거짓과 조작, 날조가 횡행하는 부조리한 현실, 정의를 상실한 한국사회의 면면이 드러나 있다. 다수의 작품에서 국가폭력의 피해자들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음에도 스스로 견디지 못했다는 자책감과 가족이나 동료에게 피해를 입혔다는 죄의식을 느끼게 된다. 중요한 것은 국가폭력에 무고하게 희생당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일반 국민들이 침묵하고 방관했다는 이유로 죄의식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김원일은 박정희 독재정권을 비판하면서 당대의 비윤리적 현실과 그로 인해 은폐되는 죄의식의 양상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실존’의 문제와 형이상학적 죄의식의 양상을 살펴본다. 1절에서는 전쟁으로 인한 참혹한 현실과 전쟁의 도덕성에 대해 탐구하고, 죽음과 대량 학살,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인한 죄의식이 인간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것을 살펴본다. 첫 번째로 전쟁폭력의 비도덕성과 전쟁의 참혹함을 형상화한 작품을 중심으로 전쟁의 부정의와 본질적인 ‘죄’의 문제를 탐구하고, 이념 대립으로 인한 갈등과 증오, 보복으로 점철된 비인간적 행태와 ‘생존’이 인간의 죄의식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을 살펴본다. 두 번째로 민족상잔이라는 비극적 죽음과 ‘예외상태’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형이상학적 죄의식의 양상을 탐구한다. ‘생존의 죄책감’은 무의식적 죄의식인 도덕적 마조히즘으로 나타나며, 이로 인해 스스로를 처벌하는 ‘자기처벌자’의 인물들은 김원일 소설의 특징적인 인물 유형이다.
    김원일은 한국전쟁의 폭력성과 인간의 잔인함, 이념 대립과 보복 행위로 행해진 ‘대량학살(genocide)’의 문제들을 윤리적·도덕적 측면에서 구현하고, ‘생존’의 경험이 인간의 죄의식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죄의식이 자기처벌의 행위로 나타나는 ‘자기처벌자’인 인물들을 통해 인간의 실존과 ‘형이상학적 죄’에 대해 천착하고 있다. 다수의 작품에 등장하는 자기 처벌의 욕구를 지닌 인물들은 모두 자신의 죄를 외면하지 않고 삶 전체로 책임지려고 한다는 점에서 자기비판이 강한 인물이다. 김원일 소설에 등장하는 특징적인 인물의 한 유형인 ‘자기처벌자’는 인간 존재를 근본에서부터 성찰하고자 하는 작가적 문제의식과 연관되어 있다. 김원일은 인간의 존재론적 죄의식과 실존의 문제를 그 시대의 부조리를 통해 보여주고, 고뇌하고 반성하는 인간의 내면을 심층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2절에서는 종교적 세계관을 내재하고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종교의 본질과 원죄로서 주어진 죄의식의 의미를 살펴본다. 첫 번째로 김원일의 종교적 세계관과 종교의 본질을 탐구하고, 그의 작품에 나타난 종교적 삶의 실천과 인간 존재에 대한 궁극적인 의미를 고찰한다. 두 번째로 기독교적 세계관과 원죄의식을 탐구하고, 회개하고 참회하는 인물들의 속죄의식을 살펴본다.
    종교의 본질을 탐색하고 있는 김원일의 작품에 등장하는 다수의 인물들은 모두 자기를 없애고 비우는 ‘자기비움(abgeschiedene)’의 삶을 실천하고 있으며, 진정으로 타인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아간다. 김원일의 종교관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편향됨이 없이 중용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김원일의 종교적 세계관이 내재된 작품들은 인간의 삶과 죽음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서 출발하여, 종교의 본질을 깊이 탐구하는 ‘존재-신학적(onto-theologischen)’ 사상을 다루고 있다. 그의 작품은 종교의 본질과 인간의 궁극적인 삶, 기독교에서의 원죄·속죄의식과 선과 악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를 고찰한 종교 문학으로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김원일 문학에서의 죄의식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죄의식’의 문제를 형상화한 동시대 작가들과 비교‧고찰한다. 손창섭, 최인훈, 김승옥, 이청준, 황순원과 박완서 등의 작품에 나타난 ‘죄의식’과 김원일 소설의 ‘죄의식’이 갖는 한국소설에서의 문학사적 의미를 짚어본다. 여러 작가들에 의해 형상화된 ‘죄의식’은 시대적·정치적 상황에서의 윤리성을 내재한 인간의 고유한 소질이자 정서적 표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한국문학사에서 ‘죄의식’은 ‘빈곤’의 부조리한 현실과 ‘불온’한 시대의 폭력, 한국전쟁에서의 실존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심리적 기제라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종교 문학에서 종교적인 삶의 실천과 고난의 극복, 속죄에서 얻을 수 구원의 문제와 직결된 본질적인 요인이다. 이러한 죄의식은 인간의 삶과 존재 자체에 대한 성찰과 ‘죄’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척도로 기능한다. 따라서 죄의식을 중심으로 김원일 문학의 전반을 고찰하는 일은 그간 소외되어 왔던 인간의 내면 심리와 내적 질서, 심리의 역동성에 대한 심층적 탐색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에 논의되어 온 작품의 표면 아래, 그 이면에 내재된 의미를 찾는 일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김원일의 작품에 나타난 죄의식은 사회·역사적인 시대 상황과 맞물려 나타나는 도덕적 판단과 윤리적 실천의 문제로 귀결된다. 본 연구를 통한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에 대한 이해는 한국문학에 나타난 죄의식과 윤리성에 대한 이해를 더욱 선명하게 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 Ⅰ. 서론 1
    • 1. 연구사검토 및 문제제기 1
    • 2.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12
    • Ⅱ. 도덕 감정의 결여와 병리적 죄의식 29
    • 1. 가난의 사회학적 표상 29
    • 1-1. ‘빈곤’과 탈윤리의 현실 31
    • 1-2. 분노와 광기의 자기파멸 49
    • 2. ‘전환기의 시대’와 하위주체 64
    • 2-1. 국가폭력과 강요된 침묵 69
    • 2-2. 매카시즘과 정치적 사법살인 86
    • Ⅲ. ‘실존’의 문제와 형이상학적 죄의식 104
    • 1. 전쟁의 부정의와 생존의식 104
    • 1-1. 전쟁 폭력과 이념대립 109
    • 1-2. 생존의 죄책과 자기처벌 욕구 128
    • 2. 종교적 세계관과 구원 메커니즘 140
    • 2-1. 종교의 본질과 궁극적인 삶 146
    • 2-2. 고난의 극복과 속죄의식 158
    • Ⅳ. 죄와 책임의 윤리의식과 죄의식 175
    • Ⅴ. 결론 185
    • 참 고 문 헌 191
    • Abstract 203
    더보기
    • 1 김원일, "『노을』", 문학과 지성사, 1997
    • 2 한홍구, "『유신』", 한겨레, 한겨레출판, 2014
    • 3 한홍구, "『사법부』", 돌베개, 2016
    • 4 김수현, "한국의 가난", 한울, 한울, 2009
    • 5 조현일, "『잿빛전쟁』", 접힘펼침, 2014
    • 6 김동춘, "『전쟁정치』", 길, 2013
    • 7 김재천, "『종교입문』", 여래, 여래, 2014
    • 8 김용환, "『리바이어던』", 살림, 2005
    • 9 최인기, "『가난의 시대』", 동녘, 2012
    • 10 이원규, "『인간과 종교』", 나남출판, 나남출판, 2006
    • 11 김경학, "『전쟁과 기억』", 한울, 2005
    • 12 이민수, "『전쟁과 윤리』", 철학과 현실사, 1998
    • 13 신원하, "『전쟁과 정치』", 대한기독교서회, 2003
    • 14 이희진, "『한국 전쟁사』", 살림, 살림, 2014
    • 15 김원일, "『마당 깊은 집』", 문학과 지성사, 1998
    • 16 정동익, "『도시빈민연구』", 아침, 아침, 1985
    • 17 김원일, "『기억의 풍경들』", 작가, 2007
    • 18 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폴리티쿠스, 2012
    • 19 신화연, "『부끄러움 코드』", 좋은책만들기, 2010
    • 20 김원일, "『아들의 아버지』", 문학과 지성사, 2016
    • 21 권보드래, 천정환, "『1960년대를 묻다』", 천년의 상상, 2012
    • 22 Dylan Evans, "임건태 역, 『감정』", 이소출판사, 2002
    • 23 강준만, "『희생양과 죄의식』", 개마고원, 2004
    • 24 곽지현, "「김원일 소설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4
    • 25 양현준, "「김원일 소설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 석사논문, 2001
    • 26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 향문사, 향문사, 1963
    • 27 김선하, "『종교와 철학 사이』", 늘봄, 늘봄, 2013
    • 28 류보선, "「죽음 앞에 선 노년」", 『또 다른 목소리들』, 소명, 2006
    • 29 김기원, "『기독교사회복지론』", 교육과학사, 2009
    • 30 김원일, "『삶의 결 살림의 질』", 세계사, 1993
    • 31 정호웅, "『한국현대소설사론』", 새미, 새미, 1996
    • 32 G.W.F. Hegel, "임석진 역, 『법철학』", 한길사, 2008
    • 33 G.W.F. Hegel, "전원배 역, 『논리학』", 서문당, 1978
    • 34 조희연, "편, 『동원된 근대화』", 후마니타스, 2010
    • 35 조희경, "「가족, 그 슬픈 초상」", 『우리문학연구』,16, 우리문학회, 2003
    • 36 Mircea Eliade, "이은봉 역, 『성과 속』", 한길사, 1998
    • 37 서정기, "「역사의 신화적 열림」", 『작가세계』 여름, 1991
    • 38 김원일, "『마추피추로 가는 길』", 월간에세이, 월간에세이, 1994
    • 39 Bertolt Brecht, "『살아 남은자의 슬픔』", 김광규 역, 한마당, 2014
    • 40 Douglas P Lacky, "『전쟁과 평화의 윤리』",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06
    • 41 Wolfgang Sofsky, "이한우 역, 『폭력사회』", 푸른숲, 2010
    • 42 Thomas Aquinas, "정의채 역, 『신학대전』", 바오로딸, 2014
    • 43 성민엽, "「분단소설과 복합소설」",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사회』, 가을, 1997
    • 44 김별아, "「사랑의 길, 사람의 길」", 『김원일 소설전집 7-사랑의 길』, 강, 2011
    • 45 김병오, "『부끄러움과 가정폭력』", 학지사, 2009
    • 46 Karl Jaspers, "이재승 역, 『죄의 문제』", 앨피, 2014
    • 47 David Howe, "이진경 역, 『공감의 힘』", 지식의 숲, 2013
    • 48 김근희, "「김원일 성장소설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2003
    • 49 전선영, "「김원일 성장소설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남대 석사논문, 2009
    • 50 진방식, "『분단 한국의 매카시즘』", 형성사, 2004
    • 51 이진경,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휴머니스트, 2011
    • 52 이대영, "「김원일 장편소설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43, 한국언어문학회, 1999
    • 53 정호웅, "「다시 읽는 김원일 문학」", 『한국예술총집 문학편Ⅵ』, 대한민국예술원, 2009
    • 54 마혜정, "「분단 기억과 가족 서사」",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59,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 55 Adam Smith, "김광수 역, 『도덕감정론』", 한길사, 2016
    • 56 G.W.F. Hegel, "김양순 역, 『정신현상학』", 동서문화사, 1987
    • 57 Thomas Hobbes, "신재일 역, 『리바이어던』", 서해문집, 2007
    • 58 David Griffin, "이세형 역, 『과정신정론』", 이문출판사, 2007
    • 59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9-전갈』", 강, 2014
    • 60 Lucius Annaeus Sene, "김경숙 역, 『화에 대하여』", 사이, 2013
    • 61 Hannah Arendt, "김정한 역,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 62 Michael Walzer, "유홍림 역, 『전쟁과 정의』", 인간사랑, 2009
    • 63 David Day, "이경식 역, 『정복의 법칙』", 휴먼앤북스, 2006
    • 64 Paul Tillich, "이계준 역, 『문화와 종교』", 전망사, 1984
    • 65 Martin Heidegger, "이기상 역,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 66 Paul Tillich, "차성구 역, 『존재의 용기』",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
    • 67 Cesare Beccaria, "한인섭 역, 『범죄와 형벌』", 박영사, 2010
    • 68 임영천, "「김원일 기독교소설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5
    • 69 이성희, "「김원일의 분단문학 연구」", 부산대 박사논문, 2008
    • 70 이종호, "「김원일의 분단소설 연구」", 청주대학교, 『어문논집』, 청주대학교, 1995
    • 71 허주현, "「김원일의 성장소설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 석사논문, 2004
    • 72 김철희, "『한국의 빈곤과 노동시장』",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6
    • 73 김기정, "「김원일 중 단편소설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2006
    • 74 이대영, "「김원일 중 단편소설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유폐된 자아의 소설』, 국학자료원, 1998
    • 75 하응백, "「김원일 중 단편소설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14, 한국현대소설학회, 2001
    • 76 정호웅, "「분단 소설의 후퇴와 전진」", 『문예중앙』, 가을, 1987
    • 77 손병석, "『고대 희랍 로마의 분노론』", 바다, 바다출판사, 2013
    • 78 Immanuel Kant, "백종현 역,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2
    • 79 하응백, "「장자의 소설, 소설의 장자」", 『문학으로 가는 길』, 문학과 지성사, 1996
    • 80 F. W. Nietzsche, "강영계 역, 『도덕의 계보학』", 지식을 만드는 지식, ;, 2008
    • 81 Antoine Vergote, "김성민 역, 『죄의식과 욕망』", 학지사, 2009
    • 82 Arnaud Guigue, "민혜숙 역, 『법, 정의, 국가』", 동문선, 2003
    • 83 Jack Barbalet, "박형신 역, 『감정과 사회학』", 이학사, 2009
    • 84 Gottfried Wilhelm Leibniz, "윤선구 역,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2010
    • 85 David Hume, "이준호 역, 『정념에 관하여』", 서광사, 1996
    • 86 Antonio Damasio, "임지원 역, 『스피노자의 뇌』", 사이언스 북스, 2007
    • 87 Martha Nussbaum, "조계원 역,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 88 유성호, "「한국문학과 종교적 상상력」", 『문학과 종교』8,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03
    • 89 이재윤, "『군사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지문당, 지문당, 2014
    • 90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년대편 2』", 인물과 사상사, 2004, 1960
    • 91 정과리, "「이데올로기 혹은 짐승의 삶」", 『현대문학』, 1987
    • 92 정호웅, "「한국 소설 속의 자기처벌자」", 『문학사 연구와 문학교육』, 푸른사상사, 2012
    • 93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1-푸른 혼』", 강, 2011
    • 94 Rudolf Otto, "길희성 역, 『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 2009
    • 95 Immanuel Kant, "정진 역, 『영구평화를 위하여』", 정음사, 1974
    • 96 조희연, "편, 『박정희와 개발독재 시대』", 역사비평사, 2007
    • 97 Martin Kriele, "홍성방 역, 『정의의 판단기준』", 유로, 2014
    • 98 정찬영, "「증언소설과 가족 공동체주의」", 『지역문학연구』2, 1998
    • 99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3-바람과 강』", 강, 2009
    • 100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7-사랑의 길』", 강, 2011
    • 101 김승국, "『마르크스의 「전쟁 평화」론』",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8
    • 102 전갑생, "『한국전쟁과 분단의 트라우마』", 선인, 2011
    • 103 이동하, "「가족사의 다양한 소설적 변형」", 『마음의 감옥』 해설, 문이당, 1997
    • 104 홍정선, "「기억의 굴레를 벗는 통과제의」", 『노을』 해설, 문학과 지성사, 1997
    • 105 최인혁, "「김원일 분단소설의 시점 연구」", 숭실대 석사논문, 2012
    • 106 김근희, "「김원일 소설의 성장주체 연구」", 문창어문학회, 『문창어문논집』39, 문창어문학회, 2002
    • 107 정호웅, "「한국 역사소설과 성장의 행로」",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18,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 108 이건혜, "『박정희는 왜 그들을 죽였을까』", 책으로 보는 세상, 책보세, 2013
    • 109 김원일, "『사랑하는 자는 괴로움을 안다』", 문이당, 1991
    • 110 Martha Nussbaum, "조형준 역, 『감정의 격동2-연민』", 새물결, 2015
    • 111 서경석, "「1970년대 김원일 소설의 현대성」", 『도요새에 관한 명상』 해설, 문이 당, 1997
    • 112 이진희, "「김원일 소설의 죽음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대 석사논문, 2011
    • 113 김 현, "「이야기의 뿌리, 뿌리의 이야기」",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사회』, 봄, 1989
    • 114 전영태, "「현실을 투시하는 두 겹의 시각」", 『허공의 돌멩이』, 삼중당, 1993
    • 115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5-불의 제전1』", 강, 2010
    • 116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6-불의 제전2』", 강, 2010
    • 117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7-불의 제전3』", 강, 2010
    • 118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8-불의 제전4』", 강, 2010
    • 119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9-불의 제전5』", 강, 2010
    • 120 Immanuel Kant, "백종현 역,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2005
    • 121 Max Weber, "전성우 역, 『직업으로서의 정치』", 나남, 2007
    • 122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어둠의 축제』", 강, 2009
    • 123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4-겨울 골짜기』", 강, 2014
    • 124 Wilfred Cantwell Smith, "길희성 역, 『종교의 의미와 목적』", 분도출판사, 1991
    • 125 Bruce Milne, "안종희 역, 『기독교 교리 핸드북』",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2017
    • 126 Antonio Gramsci, "이상훈 역, 『그람시의 옥중수고1』", 거름, 1999
    • 127 김종성, "「한국 현대소설의 생태의식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2003
    • 128 Herant Katchadourian, "김태훈 역, 『죄의식: 일말의 양심』", 싸아이알, 면, 2016
    • 129 정호웅, "「『불의 제전』, 작가에게 듣는다」", 『불의 제전1』, 강, 2010
    • 130 정재림, "「기억의 회복과 분단 극복의 의지」",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연구』30, 한국현대소설학 회, 2006
    • 131 이창기, "「소설 속에서의 상상력과 그 근원」", 『동서문학』, 가을, 1996
    • 132 Gerhard Wehr, "이부현 역,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안티쿠스, 2009
    • 133 Giorgio Agamben, "정문영,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새물결, 2012
    • 134 박찬모, "「『겨울골짜기』의 개작양상 고찰」", 『현대문학이론연구』41, 현대문학이론 학회, 2010
    • 135 장사선,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주택문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24, 1989
    • 136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8-김씨네 사람들』", 강, 2019
    • 137 Ludwig Feuerbach, "강대석 역, 『종교의 본질에 대하여』", 한길사, 2006
    • 138 Michel Foucault, "박정자 역,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동문선, 1998
    • 139 류보선, "「분단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문학사상』, 1989
    • 140 양진오, "「해원하는 영혼과 죽어가는 노인들」", 『문학과 사회』, 가을, 2001
    • 141 박형신,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한길사, 2015
    • 142 이소정, "「김원일 성장소설의 결핍 양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 석사논문, 2013
    • 143 조소명,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6
    • 144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0-늘푸른 소나무1』", 강, 2015
    • 145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1-늘푸른 소나무2』", 강, 2011
    • 146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12-늘푸른 소나무3』", 강, 2011
    • 147 한상범, "『법은 어떻게 독재의 도구가 되었나』", 삼인, 삼인, 2012
    • 148 Pierre Bourdieu, "정일준 역,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1995
    • 149 고려대, "철학연구소, 『감정의 인식론적 고찰』", 한국학술정보, 2014
    • 150 김병희, "「가족공동체를 향한 염원, 그 지향점」",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태릉어문연구』8, 서울여대 국문 과, 1999
    • 151 Werner Maihofer, "심재우 역, 『법치국가와 인간의 존엄』", 삼영사, 1996
    • 152 정호웅, "「분단문학의 새로운 넘어섬을 위하여」", 『분단문학 비평』, 청하, 1987
    • 153 오생근, "「분단문학의 확장과 현실인식의 심화」", 권오룡 역음, 『김원일 깊이 읽 기』, 2001
    • 154 이승환, "「주자 기질변화설의 성품윤리적 의미」", 고려대 철학연구소, 『감정의 인 식론적 고찰』, 한국학술정보, 2014
    • 155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6-아우라지 가는 길』", 강, 2014
    • 156 Jeremy Bentham, "고정식 역,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나남, 2011
    • 157 F. W. Nietzsche, "김정현 역,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 책세상, 2002
    • 158 석유진, "「김원일 소설의 가족서사적 양상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01
    • 159 백지연, "「역사적 기억의 내면화와 고백의 화법」",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9, 경희대 비교 문화연구소, 2005
    • 160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0-슬픈 시간의 기억』", 강, 2011
    • 161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7-미망 오마니별 외』", 강, 2013
    • 162 길소영,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가족 양상 연구」", 인제대 석사논문, 2004
    • 163 정주아,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억 방식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5
    • 164 김원일, "(대담) 「열정으로 지켜온 글쓰기의 세월」", 『김원일 깊이 읽기』 문학 과 지성사, 2002
    • 165 권명아, "「가족 이야기, 그 역사적 형식에 관하여」", 『동서문학』, 겨울, 2000
    • 166 박혜경, "「실존과 역사, 그 소설적 넘나듦의 세계」", 『작가세계』, 여름, 1991
    • 167 Emile Durkheim, "노치준 외 역,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992
    • 168 Immanuel Kant, "백종현 역,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아카넷, 2011
    • 169 정학진,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사상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2014
    • 170 조희경,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장자의식의 양상」", 한중인문학회, 『한중인문학연구』16, 한중인 문학회, 2005
    • 171 이상우, 전선영, "「성장소설 연구: 김원일 소설을 중심으로」", 『교육연구』19, 한남 대 교육연구소, 2011
    • 172 채대일, "「이청준 소설의 죄의식과 고백 양상 연구」", 서강대 석사논문, 2002
    • 173 F. W. Nietzsche, "김미기 역,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Ⅰ』", 책세상, 2001
    • 174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6-오늘 부는 바람 연 외』", 강, 2013
    • 175 이평전, "「김원일 소설의 ‘기억’과 ‘회상’ 연구」", 『우리문학연구』39, 우리문학회, 2013
    • 176 이화진, "「김원일 소설의 전략적 글쓰기와 현실탐색」", 『반교어문연구』27, 반교어 문학회, 2007
    • 177 임유경, "「1960년대 '불온'의 문화 정치와 문학의 불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 박사논문, 2014
    • 178 권오룡, "「개인의 성장과 역사의 공동체화: 김원일론」", 『문학과 지성』, 봄, 1997
    • 179 강진호, "「민족사로 승화된 가족사의 비극: 김원일론」", 『현대소설연구』14, 한국현 대소설학회, 2001
    • 180 Sigmund Freud, "윤희기 박찬부 역,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000
    • 181 조희연, "편, 『국가폭력, 민주주의 투쟁, 그리고 희생』", 함께읽는 책, 2002
    • 182 오태호, "「자영 생태계에 년대 소설적 대응 양상 고찰」", 『고황논집』23, 경희대 대학원 원우회, 1998, 1960
    • 183 이영아, "「김원일 소설 연구: 생태아니키즘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06
    • 184 정호웅, "「자기 완성의 길-김원일의 『늘푸른 소나무』」", 『한국의 역사소설』, 역 락, 2006
    • 185 김미영, "「김원일의 성장소설과 ‘삶의 수수께끼’ 풀기」", 한국언어문화학회, 『한국언어문화』37, 한국 언어문화학회, 2008
    • 186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5-어둠의 혼 잠시 눕는 풀 외』", 강, 2013
    • 187 장미영, "「기로원 노인들: 김원일의 『슬픈시간의 기억』」", 『열린전북』154, 열린전 북, 2012
    • 188 설혜경, "「김승옥 소설의 죄의식의 경제와 자본주의 논리」", 한국문학연구학회,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 189 박윤지, "「김원일 소설의 주체 연구-분단인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대 석사논문, 2007
    • 190 Paul Ricoeur, "박영범 역, 『악, 철학과 신학에 대한 하나의 도전』", 성광문화사, 2015
    • 191 이수형,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자의식의 발현 양상 연구」", 동악어문학회, 『한국어문학연 구』56,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1
    • 192 강상대, "「7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김원일의 경우」",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문학논집』15, 단국대 국문과, 1997
    • 193 Max Weber, "전성우 역,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학문 종교 정치』", 나남, 2002
    • 194 김춘규,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담론에 관한 고찰」", 『현대문학이론연 구』60,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 195 이수형, "「1950년대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계명대 한국학연구소, 2010
    • 196 김한식, "「김승옥 소설에서 생활의 문제-성 죄의식 가치 교환」", 겨레어문학회, 『겨레어문학』47, 겨레어문학회, 2011
    • 197 Paul Tillich, "이병섭 역, 「신앙의 역학」, 『세계기독교사상전집8』", 신태양사, 1975
    • 198 문흥술, "「김원일 『늘푸른 소나무』의 서사구조와 그 의미망」", 『구보학보』15, 구 보학회, 2016
    • 199 박덕규, "「김원일, 엄정한 비판정신에서 넉넉한 자기완성까지」", 『문학이 들려주는 49가지 속삭임』, 한뜻, 1997
    • 200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3-마음의 감옥 히로시마의 불꽃 외』", 강, 2012
    • 201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4-손풍금 물방울 하나 떨어지면 외』", 강, 2012
    • 202 John Hick, "김장생 역, 『신과 인간 그리고 악의 종교 철학적 이해』", 열린책들, 2007
    • 203 조문희, "「김동리와 황순원 소설의 샤머니즘과 기독교 수용 양상」", 성균관대 석 사논문, 2005
    • 204 이성희, "「김원일의 <손풍금>을 통해 본 분단과 이산에 관한 연구」", 문창어문학회, 『문창어문논 집』44, 문창어문학회, 2007
    • 205 이수형, "「주체의 책임과 자유-김승옥의 중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16, 상허학회, 2006
    • 206 이미나, "「『바람과 강』에 나타난 ‘죄’의 감정과 죽음의식 연구」", 구보학회, 『구보학보』15, 2016
    • 207 정학진, "「김원일의 의식변화 연구-『노을』 초판과 재판 비교 연구」", 『우리말글』 58, 우리말글학회, 2013
    • 208 김원일, "『김원일 소설전집 22-도요새에 관한 명상 환멸을 찾아서 외』", 강, 2012
    • 209 이미나, "「『내 유령 형의 기억들』의 ‘불온한 존재들'에 대한 고찰」", 한국문예창작학회, 『한국문예창 작』13, 2014
    • 210 배경열, "「생태문학의 관점에 김원일의 「도요새에 관한 명상」 연구」", 『생명연구』 27, 서강대 생명문화연구원, 2013
    • 211 이성희, "「『슬픈 시간의 기억』 을 통해 본 김원일의 분단에 대한 인식」", 반교어문학회, 『반교어 문연구』23, 반교어문학회, 2007
    • 212 Karl Jaspers, "권영경 역, 『위대한 사상가들: 소크라테스 석가모니 공자 예수』", 책과 함께, 2005
    • 213 Gottfried Wilhelm Leibniz, "이근세 역, 『변신론: 신의 선, 인간의 자유, 악의 기원에 관하여』", 아카넷, 2014
    • 214 설혜경, "「60년대 문학 주체의 마조히즘의 윤리학-김승옥 소설을 중심으로」", 『현 대소설연구』60,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 215 정소이, "「김원일 분단소설 연구-분단인식과 폭력의 표출 양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 희대 석사논문, 2007
    • 216 서영채, "「최인훈 소설의 세대론적 특성과 소설사적 위상: 죄의식과 주체화」", 한국현대문학회, 『한 국현대문학연구』37, 한국현대문학회, 2012
    • 217 홍선의, "「김원일 분단 소설연구 : 인물의 갈등 양상과 작가 의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서강대 석사논문, 2005
    • 218 이상우, "「죄의식의 표출과 예술가의 고통-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에 대하여」", 『국제어문』10, 1989
    • 219 최화성, "「문학공간 스토리텔링의 실제-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 석사논문, 2012
    • 220 마혜정, "「노년의 욕망, 발설과 은폐: 김원일의 『슬픈시간의 기억』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4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 221 박찬효, "「김원일의 『노을』에 나타난 ‘죽은’ 아버지의 귀환과 이중 서사 전략」", 『한국문학이론과 비평』5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 222 이수형, "「한국 근현대사와 박완서: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애도와 죄의식에 관한 연구」", 『 여성문학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 223 유예현,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공포와 죄의식 연구-‘언캐니(uncanny)’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석사논문, 2016
    • 224 박찬효, "「김원일 『슬픈 시간의 기억』에 나타난 죄의식의 표출과 과거 기억의 재 현 양상」", 『한국언어문학』86, 한국언어문학회, 2013
    • 225 김병덕, "「김원일 분단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 유년기 전쟁 체험의 분단 문학적 변용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석사논문,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