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산업기술보호법」 상 ‘산업기술’의 범위와 판단기준 :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저자
손승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전 원장)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9(31쪽)
제공처
산업기술 유출 관련 소송에서 가장 큰 쟁점 중 하나는 ‘산업기술의 범위’를 획정하는 것이다. 최근 ‘첨단기술’ 유출 사건에서 법원은 어떠한 제조기술에 관한 정보가 산업기술에 해당하는지 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해당 정보가 ① 대상 제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대상 제품에 고 유한 정보로서 다른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 그 정보만 있다면 바로 대상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 능한 정보이거나, ② 위와 같은 정도의 정보에는 해당되지 않더라도 해당 정보로부터 직접 논리 적으로 대상 제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도출해 낼 수 있는 정보인지를 그 기준으로 함이 타당하다고 판시했다. 즉 법원은 산업기술의 범위를 해당 기술의 구현에 있어서 고유하고 필요불가결한 정보로 한정하고, 개발과정에서 생산된 실험데이터, 제품의 원료 구입처 등과 같은 정보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 연구는 산업기술 중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산업기술의 범위’와 ‘그 판단기준’에 관해 논한다. 첨단기술 관련 고시와 확인제도 등을 살펴보면 명확성 원칙을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고, 또 산업기술보호법과 영 업비밀보호법 간의 관계를 비추어보면 산업기술의 범위를 제품·공정을 구현하는데 필요불가결 한 기술정보로 한정하고, 그 외 제품·공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부수적인 실험데이터 등은 영업비밀의 영역에 맡기는 것이 양 법률의 입법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글로벌 기술 패권경쟁이 장기화되면서 산업스파이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법제의 강화 요구가 거세지 는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산업기술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사건 연구데이터 등과 같이 기업의 주요자산으로 인정되는 정보를 산업기술의 보호영역으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사회 적 논의를 거쳐 입법으로 해결해야 한다.
더보기In litigation concerning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one of the primary issues is defining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In recent case of advanced technology leakage, the court has established standards for determining whether certain manufacturing-related information qualifies as industrial technology. Specifically, the court has ruled that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whether the information: (1) is unique and essential to the manufacture of the target product and, if the necessary conditions are met, enables the product's production on its own; or (2) even if not directly meeting such criteria, can easily be logically derived from the information as necessary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 In this regard, the court limited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to information inherently unique and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technology, exclud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such as experimental data generated during development processes or the sources of raw materials. This paper examines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its standards of assessment,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advanced technology, which constitutes the vast majority of industrial technology. Upon reviewing regulations related to advanced technology and relevant verification systems, it appears that these do not sufficiently satisfy the principle of clarity.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and the Trade Secrets Protection Act, it seems consistent with the legislative intent of both laws to limit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to indispensable technical information required for product or process implementation, while leaving ancillary experimental data, generated during development, under the domain of trade secrets. However, given the intensifying demands for stronger legislation to curb industrial espionage amid prolonged global competition for technological supremacy, there is a need to consider expanding the scope of industrial technology. Nonetheless, to incorporate information such as research data recognized as a core asset of companies into the realm of protected industrial technology, a legislative solution through societal discourse is requir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