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방송통신위원회의 이용자보호절차 개관 = An Overview of the User Protection Procedure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4-189(16쪽)
제공처
급격한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화는 방송시장과 통신시장의 경계를 허물고, 방송과 통신이 융합하는 새로운 시장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급변하는 시장환경 속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융합서비스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수평적 규제체제로의 전환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자칫 규제 공백으로 인하여 폐해 발생과 함께 서비스 이용자들의 권리보호가 미흡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이용자들은 새로운 서비스 유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자신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권리침해에 대응하는 이용자보호절차에 대한 무지로 인하여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방송법과 전기통신사업법 등 관련 법령상 산재된 이용자보호절차에 관하여 살펴보고, 현행 제도들의 장단점과 이용현황 및 개선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 심결절차에서 이용자가 권리주체로서 참여 할 수 있는 방안과 재정절차나 방송분쟁조정절차가 대안적 분쟁해결수단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다만, 이러한 제도들의 이용률을 원활하게 제고하기 위하여는 이러한 제도적 보완 외에도 그 원활한 운용을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제공, 접근기회 확대, 이용편의성 제공 등과 방송통신위원회 담당조직의 확대 및 인력의 확충 등 다양한 노력이 기울어져야 한다.
Rapid advancement in digital technology has led to convergence i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In the midst of various newly merged services and changes in regulatory environment temporary gaps in regulations may result in inadequate protection of consumers. The lack of information on part of the user regarding new services, rights under relevant laws and procedural measures exacerbate such circumstances.
This article reviews various user protection provisions scattered throughout various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laws and provides an overview on the status of actual utilization of such laws. The article also aims to offer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of such provisions, with a focus on mechanisms to allow users to participate in review procedures of the Korea Broadcasting Commission while suggesting ways in which adjudications or broadcast dispute adjustment committee could become effectiv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s. We also note the importance of access to information in protecting the users and the necessity for extension of personnel and divisions within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