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형상점 자료의 변환을 통한 분류모형의 비교
저자
김준홍(Jun Hong Kim) ; 강창완(Changwan Kang) ; 최용석(Yong-Seok Choi)
발행기관
학술지명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주제어
KDC
3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51-463(1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Dryden, Mardia(2016)는 형상분석(shape analysis)을 기하적 공간상에서 형상점들(landmarks)에 의해 나타낸 개체들(objects)의 형상(shape)을 측정 및 기술하며 이를 비교하는 분석이라 정의한다. 형상분석에 활용되는 형상점 자료는 배열(array)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형상의 분류모형에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는 형태이다. 본 연구는 형상점 자료를 분류모형에 적용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 방법은 GPA(Generalized Procrustes Analysis) 적합을 적용한 후 리만거리, 중심크기 및 형상주성분분석을 통한 형상 주성분점수를 얻어내어 이를 변수로 선택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각 표본의 형태행렬(configuration matrix)을 벡터화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좌푯값들을 모두 변수로써 사용하는 방법이다. 새롭게 얻어진 자료들을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그리고 서포트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등 3가지의 분류모형에 투입하여 자료별 오분류율을 비교한다. 이를 위하여 Dryden, Mardia(2016)의 세 군집의 척추뼈 형상자료인 쥐(mice) 자료에 대하여 위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이 자료는 형상점의 수가 적은 2차원 자료인데 회전 모수가 군집 결정에 영향이 컸으며, 적합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원자료나 중심화 자료의 벡터화가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더보기Dryden, Mardia (2016) define shape analysis as an analysis that measures and describes the shapes of objects represented by landmarks in geometric space and compares them. The shape point data used for shape analysis has the form of an array, which is a for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shape classification model. This study presents two methods for applying shape point data to the classification model. The first method is to apply the Generalized Prospects Analysis (GPA) fit and then obtain Riemannian distance, centroid size, and shape PC scores to select them as variables, and the second method is to vectorize the configuration matrix of each sample to use all coordinate values as variables. The data obtained by these two methods are put into three classification models: Random For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VM to compare the misclassification rates for each data. To this end, the method above was applied to the mice data from Dryden, Mardia (2016),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mice data of three clusters, which is a 2-dimensional data set with a small number of shape points, showed that the rotation paramet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luster determination. Additionally, vectorization of the original data or centered data, which had not undergone the fitting process, yielded better resul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