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빙, #몽타주, #동시대성 : 역사 인식 방법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Archiving, #Montage #Contemporary : Some Thought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DC
601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66(26쪽)
제공처
오늘날 영상 작업들에서 아카이브 푸티지의 사용이 자연스러워지고 있는 만큼, 기록이 지시하는 역사와 그에 대한 기억의 문제는 복잡해졌다. 전통적으로 아카이브는 과거에 대한 기록으로서 공적 역사가 기반하는 배경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오늘날 작가들은 소위 창조적인 몽타주를 통하여, 아카이브 이미지가 비판적 역사의 재료일 뿐 아니라 반-역사, 즉 대안적 기억을 호출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연상 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 내면서도 그 자체로 새로운 맥락에 접합될 수 있는 이미지의 양면성에 주목, 오늘날 기억의 저장고로서 이미지 아카이빙이 지니는 미학적 가능성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아카이빙 이미지는 분명히 존재해 왔음에도 기존 체제에는 묻혀있던 것들로, ‘역사(History)’에 대한 물적 증거라기보다 ‘역사’를 전복하는 기억(Memory)이다. 그렇다면 의도된 몽타주에 의해 새로운 맥락 안에 매끄럽게 전유되는 이미지는 여전히 전복적일까? 대문자 역사 안에서 주목받지 못하던 개별 이미지들에 주목했던 두 가지 프로젝트-즉 발터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와 아비 바르부르크의 므네모시네 아틀라스 프로젝트-는 통일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연속되는 오늘날 영상작업들에 흥미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
‘아카이브 욕망’이라는 표현처럼, 이미지는 객관적 기원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축적되지만 사실 아카이브는 그 기록 이전에 ‘기억’의 욕망을 증명하기에, 파운드 푸티지 몽타주는 이미지가 사적으로 전유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듯 보이기도 한다. 이 글은 아카이브 이미지가 제공하는 기억은 주관화될 수 없기에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수많은 무명의 기록들이 과거 이미지가 매개하는 과거는 수많은 무명의 기록들로부터 되살아나는 것, 그것이 아카이브의 특성이며, 아카이브 이미지로부터 이성적 의미화를 넘어서는 역사 인식이 가능한 이유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아카이브 몽타주가 일종의 대안 서사로 인식되는 것은 의미 중심 체제로 환원하는 것과 같다. 마치 해시태그로 대변되는 뉴미디어 네트워크가 의미 중심의 시스템이 분리시켜 버린 사건과 발견들을 분산된 형태로 재연결하는 것처럼, 오늘날 몽타주된 이미지들은 감독의 의도에 따라 구성된다기보다 즉각적으로 전시, 연결되며, 역사성 그 자체 뿐 아니라 역사 중심에 있는 인민을 가시화한다. 그렇게 동시대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공공의 역사를 만드는 것이 오늘날 영상 작업의 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re archival footage in contemporary film works, the bigger question it becomes how to deal with the history and memories which the footage directs and collects. Traditionally, archives mean documentation of the past, on which the would-be History stands as it is. These days, artists tend to use them as materials for creative montage, highlighting the fact that archive images summons counter-memory lending itself to critical history. This essay concentrates on the ambivalence of images-i.e. clarity and ambiguity- articulating how images can clearly demonstrate meanings through association, but also inosculate completely opposite things together into new contexts at the same time. This is in order to contemplates on the question where the essence of potentiality of image archiving as an aesthetic regime lies. Archival image presents memories of things that existed but never recognized. Therefore, they subvert History rather than support it as material evidences. This is how this paper comes to focus on two unfinished projects, which recognized and recollected individual images unclaimed in history, i.e. Aby Warburg’s Bilderatlas Mnemosyne and Walter Benjamin’s Passagenwerks. Images in these projects never construct continuous narratives but constellate forgotten pathos to draw its breaths in the contemporary.
As intimated by “archival fever,” images accumulated in the pursuit of objective origins, proves the desire of memory among other things. Found-footage appropriated in personal montage attests to this well, not by its denoted meanings but by the presentation as a whole. Along the line, this essay underscores that the memories provided by montage of archival footage cannot belong either to the director, or to the author as an individual. Unnamed documents mediate the past not as specific contents but as the pastness itself which flits by in present moments. Archives reanimate the moments in a disseminate way. This parallels the way we ge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ree from a fixed frame of idea and reason. This is why interpreting archive montage as alternative narrative can be considered reductive. The possibility of boundless awareness of history should not be redirected to certain meaning-centered construction of stories, whether alternative or not. In a new-media era, networking enabled by hashtags or ‘autocomplete’ revives the unfulfilled projects which come close to so-called new historical consciousness, in which no individual is buried in a grand narrative of a History. Only in that sense, montage images of today not only present the historicity itself but also visualize demos as dispersed. This is how the contemporary film works contribute to building collective history toda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