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후과학의 생산과 수용을 통해 살펴 본 현대과학 = Modern Science Seen Through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Climate Scie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63(2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짙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지구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일반적인 상식이 되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를 부정하거나 온난화가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은 수그러들지 않았으며, 온난화에 대한 대응 역시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기후과학자들은 신뢰 받을 수 있는 절차와 내용을 갖춘 더 많은 그리고 더 정교한 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기후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더 찾아내서 연구가 정치해지고 또 엄정한 연구심사 제도를 만든다고 해서 과학계 밖의 사람들에게 호소력이 커질 듯싶지는 않다. 이 글은 우선 기후과학이 만들어지고 또 소비되는 과정을 살펴서 기후과학의 존재론적 위상을 짚어보려 한다. 그를 통해 좋은 기후과학의 호소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들이 드러날 것이다. 예를 들어 기후과학 자체가 과학행위와 정치행위의 공동산물이라는 점을 보여 줌으로써 좋은 과학이 어떤 과학인지 상당히 다른 의견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그 밖에도 현대의 기후과학에 의존하는 기후담론의 능동적인 수용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들이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의 기후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대기온도의 변화 안에서만 읽게 만드는 지나치게 환원론적인 관견(管見)이라고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런 환원론적인 과학관이 사회를 장악하게 되는 과정에 대한 성찰들로부터 우리는 또한 현대의 기후과학을 자연을 비추어 주는 거울로 보기보다는 인간의 삶과 인류의 미래에 대한 기대와 함께 만들어지는 지식체계로 보는 과학관을 심각하게 천착해야 할 이유가 있음을 알게 된다.
더보기Anthropogenic global warming is common sense knowledge now. But it does not come to be common knowledge easily. It became to be so through climate scientists’ effort to convince people of the necessity of immediate actions against the upcoming danger. Geologist cum philosopher cum historian Namomi Oreskes was particularly successful in her effort to convince people, especially scientists, the urgency of the action, emphasizing the philosophical validity and scientific rigor of the climate sciences. Yet, lay citizens as well as policy makers seem to be rather nonchalant about climate issues related with the regulatory measure. Climate scientists demand more research funds for better scientific research, and social scientists suggest the formation of extended epistemic community of climate science enrolling lay audience and social scientists. These seem to be inadequate measure because both suggestions are based upon rather naive image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limate science, namely, age old image of science as the objective and autonomous knowledge system.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many reasons which make us hesitate to accept the implications of modern climate science wholeheartedly. Appealing modern climate science as a good science is not an effective strategy for environmentalists; and through contemplating the reason why, we reach fresh insights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cience in general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climate science in particular.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1.432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