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환경에서의 Digital Contents Design 교육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Educational Direction of Digital Contents Design in Digital Environment
저자
한붕기 (주성대학 컴퓨터그래픽디자인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58.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75(11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Digital 기술 발달은 다양한 입력기능과 출력 기능을 현실화 할 뿐 아니라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의 발전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교육현장에서 Digital 매체의 활용도와 응용범위를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오늘날 각 국 대학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예술 문화 관련 강좌는 사진, 영화, 비디오, 방송, 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미디어, 광고, 기호학, 그래픽디자인(Visual Art)등 외에도 실제로 다양한 장르에 걸쳐서 분산되어져 있다. 이것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분야의 다양함이 전제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예술교육의 분산된 형태라기 보다도 오히려 광대한 통합의 과정이라고 말하는 편이 맞을 것이다.
Digital Contents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아직은 이에 대한 전문가가 부재하고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여러 대학들에서 경쟁적으로 영상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지만 일반 학원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수준이라 하겠다.
테크놀러지의 형식에 의해 영상의 형식이 결정되는 체계에만 매달리는 국내의 교육환경이나 연구방식은 대대적인 수정을 요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예전부터 지적해 왔듯이 영상의 전 영역을 다룰만한 원리와 본질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디지털 콘텐츠가 새삼스럽게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Digital Contents의 영향을 받는 디자인 분야의 변화를 시각디자인 교육의 내용차원에서 연구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미래산업에서 Contents 디자이너로 활동하게 될 Contents 디자인의 전문가를 위한 시각디자인 교육 내용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한다.
Digital Content에 관련한 첨단기술, 사회의 변화는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교육방법 뿐 아니라 교육의 내용까지도 변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필요로 하는 Digital Contents 속에서 미래산업에 따른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제시되어야만 한다.
미래산업을 위한 Contents디자인 분야의 시각디자인 전문가 교육은 Digital 환경이 주축을 이루는 미래 산업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디지털 마인드를 포함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그래픽 프로그램을 비롯한 컴퓨터 환경과 Digital 매체에 대한 경험이 필수적이다. 또한 Digital 매체에 대한 교육은 매체사용기능 훈련만을 위한 측면보다는, 학습내용을 새롭고 흥미롭게 제시하는 것 이외에도 종전의 미디어 시스템들이 가지지 못했던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여 시각매체, 청각매체의 경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시간적인 효율성과 전문분야의 응용력을 높인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겠다.
Contents는 공간과 신간을 초월하며 무한대의 세계 시장 질서를 재편하는 새로운 경제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실로 놀라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Contents 기술의 발전은 향후의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며, 이를 대비한 전략적 교육에 심도 깊게 반영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eveloped Digital Technology has not only actualized various input functions and output functions practical but has also been accelerating development of multimedia and networks. Such features have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extent of utilization and scope of application of the digital media in classrooms.
Today, lectures related to digital media arts and culture in colleges of all countries cover a wide range of diversified genres in addition to photographs, films, videos, broadcasting, communication, journalism, media, advertising, semiotics, graphic design (visual art), etc. This has been made possible on the basis of diversified areas of multimedia. Such tendency, however, may be correctly termed the process of extensive unification rather than the dispersed forms of art education.
necessity fo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igital contents have been emphasized but there are no specialists in the field and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on the field are not yet available. In such situation, quite a few colleges have been trying to organize their programs related to image, but the programs are more or less at the similar level to that of private academies.
The domestic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research methods in which the forms of images are determined by those of relevant technologies need to be drastically rectified. What counts now in such situation is that such recognition of the principles and substance as may handle th whole domains of image is required. Raising such issue may be said to be linked to current tendency stressing the importance of digital content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tudy the changes in design areas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contents in terms of contents of graphic design, based on which I would like to make some propositions regarding the contents of graphic design education for the contents design specialists who will act as contents designers in future industries.
State of the art technologies related to digital contents requires the change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s well as teaching methods in classrooms and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suitable for future industries should be proposed within the digital contents requiring new paradigms.
That the ducation for graphic design specialists in the field of contents design for future industrie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level of the digital mind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future industries the main axes of which are formed by digital environments is important.
To this end, the experiences on the computer environments including graphic programs, and digital medium are essential. With respect to education on digital medium, education based on students' direct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visual medium, hearing medium and motion medium, which was not available in the previous media system, on top of making the contents of learning new and amusing rather than just emphasizing the training in functions to use the media may be very important in respect of enhancing the efficiency in terms of time and the ability to apply the special field.
Contents are expected to bring about amazing changes in forming new economic structures which will reorganize unlimited world market systems, transcending the space and time. The development of contents technology will be a major issue of interest of the new millenium in a whirlpool of changes, which should be carefully incorporated into the strategic educations against thi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