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발성 골다공증 척추 골절 치료 후에 속발된 골절의 잠재적 위험인자 = Potential Risk Factors for Subsequent Fractures according to Treatment of Primary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risk factors for subsequent vertebral fractur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primary vertebral fractur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bone mineral density, bone loss,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risk factors fo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subsequent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57 patients who had undergone follow-up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spin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vertebral fractures: the fracture group with 40 cases and the non-fracture group with 17 cases. The patients’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including bone mineral density, medication for osteoporosis, body mass index, vertebroplasty of primary vertebral fractures, thoracic kyphotic angle and lumbar lordotic angle, fat infiltration of the back extensor muscle, and primary multiple fractures were examined.
Results: The subsequent new vertebral fractures occurred at a mean of 24 ± 19 months after primary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Vertebroplasty for primary fractures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subsequent new vertebral fractures (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fat infiltration of the back extensor muscle after the primary vertebral fractures in the fracture group (p=0.001).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significance of vertebroplasty (odds’ ratio: 4.623, 95% confidence interval: 1.145–18.699, p=0.03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ertebroplasty for primary vertebral fractures and increased fat infiltration of the back extensor muscle could b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적: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치료에 따라 속발된 인접 부위 척추골절에 대한 잠재적 위험인자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기존의 연구들에서 골밀도 및 골소실, 척추 주위 근육 등 일차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위험인자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속발된 인접부위척추골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대상 및 방법: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있었던 환자들 중 골절 이후 추적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5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접 부위 척추골절이 발생한 40명과 발생하지 않은 17명을 두 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흉추 후만각, 요추 전만각, 요추 신전근의 지방 침윤 등 환자들의 방사선학적 요인들과 골밀도 수치, 체질량 지수, 골다공증 치료 약제 복용력, 척추 성형술 기왕력 등 전신 인자 및 임상적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인접 분절 척추골절은 선행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후 평균 24±19 개월 후에 발생하였다. 선행한 골절을 척추 성형술로 치료한 경우에 인접 부위 척추골절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척추골절이 발생한 군에서 요추 신전근의 지방 침윤 정도가 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척추성형술과 척추골절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OR 4.623, 95% CI 1.145-18.699, p=0.031).
결론: 선행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을 척추 성형술로 치료와 척추 골절 후 요추 신전근의 지방 침윤 증가는 인접 부위 척추 골절의 잠재적 위험인자의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3 | 0.03 | 0.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6 | 0.05 | 0.22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