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반발 심리를 활용한 영화의 분노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 영화 <서울의 봄>을 사례로 = A Study on Anger Emotion Communication in Films Utilizing Reactance Psychology : A Case Study of the Film <12.12: The Day>
저자
박진후 (한국외대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5-102(18쪽)
제공처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은 감정의 공유로 이뤄진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의 성공과 실패는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자기감정을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달려 있다. 분노는 감 정 이입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서 타인에게 전달하기 어려운 감정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영화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활용해서 관객에게 분노 감정을 전달한 다. 그 중에서 반발 심리로 분노를 전하는 방법은 영화가 오래전부터 사용한 커뮤니 케이션 기술이다. 반발 심리는 저항의 표현양상 중 하나로, 개인의 자유가 외부 압력 에 위협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이때 반발 심리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상황적 요 인’과 ‘기질적 요인’이다. 상황적 요인에는 ‘위협의 강도’, ‘위협받는 자유의 중요도’, ‘위협의 범위’가 있고, 기질적 요인에는 ‘자기 결단력’, ‘주체성’, ‘의도성’이 있다.
영화는 관객의 반발 심리를 끌어내려고 관객을 영화 속 사건에 몰입시킨다. 몰입에 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몰입이동’과 ‘정보원 동일시’가 있다. 몰입이동은 관객의 정서가 영화 속 사건에 깊숙이 관여한 상태를 말하고, 정보원 동일시는 관객이 영화 속 캐릭터에게 동질성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영화에 몰입한 관객은 피해자 캐릭터 와 같은 가치관을 공유하고, 피해자 캐릭터가 자유를 억압받는 사건과 환경을 반복해 서 목격한다. 그리고 가해자 캐릭터가 피해자 캐릭터를 위협하는 모습을 보면서 피해 자 캐릭터에게 동질감을 느낀다. 이때 관객은 가해자 캐릭터의 불순하고 의도적인 위 협 때문에 분노한다. 하지만 관객이 분노하는 대상은 가해자 캐릭터가 아니라, 가해 자 캐릭터가 지시하는 실존 대상이거나, 그와 유사한 현실의 대상이다.
Human communication is built on the sharing of emotions. Therefore, the success or failure of communication depends on how the sender conveys their emotions to the receiver. Anger is an emotion that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energy for emotional engagement, making it difficult to convey to others. For this reason, films employ various communication techniques to convey anger emotions to the audience. Among them, the method of conveying anger through reactance psychology is a communication technique that films have used for a long time. Reactance psychology is one expression of resistance, occurring when an individual’s freedom is threatened by external pressure. The determining factors for the size of reaction are ‘situational factors’ and ‘dispositional factors.’ Situational factors include the ‘intensity of the threat,’ ‘importance of the threatened freedom,’ and ‘scope of the threat.’ Dispositional factors include ‘self-determination,’ ‘subjectivity,’ and ‘intentionality.’ Films aim to evoke the audience's reactance psychology by immersing them in the events of the film. Immersion involves two types: ‘emotional immersion’ and ‘identification with the character.’ Emotional immersion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the audience’s emotions deeply engage with the events in the film, while identification with the character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the audience feels a similarity with the characters in the film. Immersed audience members share values similar to the victimized character, repeatedly witnessing events where the victimized character’s freedom is oppressed. As the antagonist character threatens the victimized character, the audience develops a sense of identification with the victim. In this scenario, the audience becomes angry due to the antagonist character’s impure and intentional threats. However, the target of the audience’s anger is not the antagonist character but rather the real-life target indicated by the antagonist character or a similar real-life targe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