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한국적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의 모델로서 교회 분립 개척 연구 : 6개의 분립 개척된 교회 사례연구 = Study on church planting by churches as a model for the Korean missional church in the 21st century : based on the case study of six planted churche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ABSTRACT

    (A) Study on Church Planting by Churches as a Model for the Korean Missional Church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the Case Study of Six Planted Churches


    Park, Jongwon
    Ph. D. in Missiology
    The Graduate School,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oroughly investigate whether Church Planting by Churches can be a successful model for the Korean Missional Church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the reestablished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Church in the present Korean Church situation,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Church planting by Churches method can be a model for the Korean Missional Church. Two of the six planted churches, which have been planted by Mother churches, are well fitted with the reestablished Missional Church.
    The Korean Church is currently in crisis. Many Koreans have severely criticized both the quantitative and the qualitative fall of the Korean Church. On one hand, some Korean theologians believe that the Missional Church could be the solution for the current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However, they do not agree on which appropriate model or theor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the Missional Church in Korea. They just repeatedly insist that the Korean Church must be transformed into the Missional Church. On the other hand, other pastors and theologians believe the Church planting by Churches model as a viable solution for the woes of the Korean Church. They think the way that the Mother church bears the expense of planting the Daughter church can decrease the size of the Mother church body and increase the communality of the planted church. Therefore, this study hope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the Churches Planted by Churches and the Missional Church.
    For thi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issional Ecclesiology of Western and Korean theologians. The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tudy will try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Church in the present Korean Church situation.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Church is biased since the term “Missional Church”was originally formed from the Western Church perspective on the Trinity. Since the Missional Church defined by our view of God,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doctrine of Trinity. This paper tries to integrate the Western Church perspective and the Eastern Church perspective of the Trinity as it reconsiders the Trinity. From the review of the Trin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Church for the Korean Church are presented as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the interdependent community, and the contextualized ministry based on the need of the local community.
    With this as our foundation, the six church plants in this case study are thoroughly analyzed. Each of the senior pastors and four members from each the six churches are interviewed. Electronic materials, and archival documentations collected for the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som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significant missional transformations among the planted churches are found. Especially, the cases of GO church and LO church strongly support the position of this paper.
    This paper presents several missiological implications. First, the Church planting by Churches model could be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Church to rediscover the Gospel. Second, it could help to increase communality. Third, the worship place could affect the missional transformation. Fourth, the localized church could have strong communality. Fifth, both the pastors and believers are to consider and conduct the Church Planting by Churches method because of the diversity of implementation. Lastly, there is only minor deviations in the missional attributes when the senior pastor of the Mother church leads the process of church planting.
    This study has convincingly showed us the Church Planting by Churches method can be a successful model for the Missional Church in Korea because it creates opportunities for the planted church to be re-educated about the Gospel. The planted church could be reinforced of communality due to voluntarily participation. The planted church could contextualize the Gospel based on the needs of the local area. Of course, this study does not tell us how the leadership of the senior pastor of the Mother church aff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Gospel of the planted churches and how the missional attributes of the Mother church affect the missional attributes of the planted churches. These kinds of questions are left for the succeeding researchers. Nevertheless,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not only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Church planting by Churches, but also how to transform the planted church into the Missional Church.

    더보기
    • I. 서론 1
    • A. 연구 배경 1
    • B. 연구의 중요성 5
    • C.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들 6
    • 1. 핵심 연구 문제 6
    • 2.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들 7
    • 3. 이론적 명제와 종속 변수들 9
    • D. 연구 방법론 9
    • 1. 사례연구의 적합성 11
    • 2. 사례연구란 13
    • 3. 자료 선정 21
    • 4. 자료 수집 30
    • 5. 자료 분석 33
    • E. 연구 한계 37
    • II. 선교적 교회와 분립 개척에 대한 선행 연구 39
    • A. 선교적 교회의 출현 배경 39
    • 1. 성경적 배경 40
    • 2. 복음주의 입장에서 본 신학적 배경 46
    • 3. ‘선교적 교회’ 용어의 출현 배경 52
    • B. 선교적 교회 특징 54
    • 1. 삼위일체 하나님 55
    • 2. 하나님 나라 63
    • 3. 환원된 복음의 회복 69
    • 4. 선교적 리더십 75
    • 5. 공동체 78
    • 6. 니케아 신조의 교회 지표 86
    • 7. 상황화 92
    • 8. 선교의 목적과 수단으로서 교회 95
    • 9. 해외 선교와의 관계 98
    • C. 삼위일체 하나님의 특성을 통한 선교적 교회 재정립 100
    • 1. 지금까지 연구된 한국의 선교적 교회 101
    • 2. 삼위일체 하나님 재검토 111
    • 3. 선교적 교회의 재정립 117
    • D.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분립 개척 122
    • 1. 교회 개척의 필요성 123
    • 2. 분립 개척의 정의와 선행 연구 126
    • 3. 분립 개척과 선교적 교회의 연관성 136
    • E. 결론 140
    • 1. 하나님 나라 복음의 부재 141
    • 2. 공동체의 부재 145
    • 3. 상황화의 부재 151
    • III. 사례 분석 156
    • A. 프로파일 156
    • 1. 인터뷰 대상자들의 프로파일 156
    • 2. 교회별 특성에 따른 분류 160
    • B. 교회별 세부 분석 164
    • 1. MO교회 164
    • a. 개요 164
    • b. 단어 빈도 분석 166
    • c. 분립 개척 과정 170
    • d. 모교회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173
    • e. 분립 개척이 주는 유익과 어려움 174
    • f. 분립을 건강하게 하는 요인 175
    • g. 성장 176
    • h. 선교적 변화 177
    • i. 요약 181
    • 2. GO교회 183
    • a. 개요 183
    • b. 단어 빈도 분석 184
    • c. 분립 개척 과정 188
    • d. 모교회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192
    • e. 분립 개척이 주는 유익과 어려움 193
    • f. 분립을 건강하게 하는 요인 197
    • g. 성장 197
    • h. 선교적 변화 198
    • i. 요약 203
    • 3. MSO교회 204
    • a. 개요 204
    • b. 단어 빈도 분석 206
    • c. 분립 개척 과정 210
    • d. 모교회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213
    • e. 분립 개척이 주는 유익과 어려움 215
    • f. 분립을 건강하게 하는 요인 217
    • g. 성장 218
    • h. 선교적 변화 219
    • i. 요약 226
    • 4. LO교회 227
    • a. 개요 227
    • b. 단어 빈도 분석 228
    • c. 분립 개척 과정 232
    • d. 모교회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236
    • e. 분립 개척이 주는 유익과 어려움 237
    • f. 분립을 건강하게 하는 요인 239
    • g. 성장 239
    • h. 선교적 변화 240
    • i. 요약 246
    • 5. CO교회 247
    • a. 개요 247
    • b. 단어 빈도 분석 248
    • c. 분립 개척 과정 252
    • d. 모교회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254
    • e. 분립 개척이 주는 유익과 어려움 255
    • f. 분립을 건강하게 하는 요인 256
    • g. 성장 257
    • h. 선교적 변화 258
    • i. 요약 263
    • 6. SO교회 264
    • a. 개요 264
    • b. 단어 빈도 분석 266
    • c. 분립 개척 과정 269
    • d. 모교회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272
    • e. 분립 개척이 주는 유익과 어려움 273
    • f. 분립을 건강하게 하는 요인 274
    • g. 성장 275
    • h. 선교적 변화 276
    • i. 요약 281
    • IV. 연구 결과 283
    • A. 분립 개척의 유익 283
    • B. 분립 개척의 어려움 286
    • C. 선교적 교회의 모델로서 분립 개척의 가능성 287
    • D. 교회론적 논의 294
    • 1. 선교의 목적과 수단으로서 교회 295
    • 2. 개체성과 공동체성의 조화 297
    • 3. 선교적 교회의 선교 방법 302
    • 4. 교회 사명의 특성 306
    • V. 결론 309
    • A. 요약 309
    • B. 시사점과 적용점 313
    • 1. 시사점 313
    • 2. 적용점 315
    • C. 연구의 한계와 제언 317
    • <참고문헌> 320
    • <부록1> 351
    • <부록2> 352
    • <부록3> 357
    • <ABSTRACT> 429
    더보기
    • 1 민장배, "『교회개척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 2 정재우, "『성령의 역사』", 교회성장연구소,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2
    • 3 정흥호, "“문화와 상황화”", 『선교를 위한 문화인류학』. 강승삼 외 15인 저. 서울: 이레서원, -302, 2001
    • 4 김형국, "『교회를 꿈꾼다』", 포이에마, 서울: 포이에마, 2012
    • 5 문상철, "“선교적 교회 개척”", 한국선교연구원, 『현대선교20호-선교적 교회 개척』. 문상철 편. 서울: 한국해외선교회출판부, -6, 2017
    • 6 김형국, "『청년아 때가 찼다』", 죠이선교회, 서울: 죠이선교회, 2012
    • 7 김세윤, "『복음이란 무엇인가』", 두란노아카데미, 서울: 두란노, 2011
    • 8 안점식, "『세계관을 분별하라』", 서울: 죠이선교회, 1998
    • 9 최형근, "“선교적봉사적교회론.”",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5집 191-207, 2002
    • 10 강만원, "『그것은 교회가 아니다』", 서울: 창해, 2015
    • 11 하도균, "“하나님 나라와 복음전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복음과 실천신학 제 31집 133-162, 2014
    • 12 박준형, "“협력 개척의 모델을 본다”", 「목회와 신학」년 5월호. 86-89, 2008
    • 13 정이철, "『신사도 운동에 빠진 교회』",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2
    • 14 양송희,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포이에마, 서울: 포이에마, 2014
    • 15 이복수, "“선교적 교회론에 대한 고찰”",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고신신학」 73-105, 2008
    • 16 김경진 ( Kyoung Jin Kim ), "하나님의 나라로서의 복음 이해",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제9집 7-33, 2014
    • 17 김영천, 정상원, "『질적연구방법론V: Data Analysis』", 파주: 아카데미프 레스, 2017
    • 18 이후천, "선교적 교회론과 한국 교회 선교",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43집 137-160, 2016
    • 19 문상철, "“선교학적 연구의 경험적 차원”", 『현대선교18호-선교학적 연구 방법론』. 문상철 편. 서울: 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76, 2015
    • 20 최형근,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26집 241-271, 2011
    • 21 정재영, "“가나안 성도, 그들은 누구인가?”", 『갈 길 잃은 현대인의 영성 』. 년 목회사회학연구소 공개세미나. 39-47; http://www.psik.co.kr/bbs/board.php?bo_table=tb14&wr_id=14&page=3&cate_id=30, 2017년 07월 30일, 2013
    • 22 신수진, 최준식,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파주: 집문당, 2004
    • 23 최형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선교」제31집 369-389, 2005
    • 24 노희상, "“분립개척을 통한 교회성장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일장신대학 교 한일신학대학원, 2002
    • 25 이채준, "“분립 개척을 통한 교회개척 방안”", 침례신학대학교, 신학석사학위논문, 침례신 학대학교, 2010
    • 26 최동규,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교회”", 「선교신학」제36집 327-353, 2011
    • 27 최동규, "“선교적 실천의 작용 구조와 방식”",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37집 371-406, 2014
    • 28 박철수, "『하나님 나라: 기독교란 무엇인가』", 대장간, 대전: 대장간, 2015
    • 29 김영천, 이현철, "편. 『질적 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파주: 아카데미프레 스, 2017
    • 30 최형근, "“한국적 상황에서의 선교적 교회론”",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선교세계 제9집 1-13, 2007
    • 31 안성호, 함태경, 이재훈, "“대형교회의 선교 책무: 온누리교회”", 『대형교 회의 선교 책무: 글로벌 사례 연구를 통한 비판적 평가』. 드와이트 베이커 외 편. 서울: 두란노, -87, 2016
    • 32 안진섭, "“분립 개척을 통한 건강한 교회 성장”", 「목회와 신학」년 4 월호. 62-75, 2008
    • 33 김민규,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성공회 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7
    • 34 박은조, "“분립 개척의 동역목회, 서울영동교회”", 「목회와 신학」1995년 6월호. 217-221, 1995
    • 35 최형근, "“선교적 교회개척(Missional Church Planting)”", 『현대선교20호 -선교적 교회 개척』. 문상철 편. 서울: 한국해외선교회출판부, -33, 2017
    • 36 박은조, "“차세대의 새로운 개척교회 유형 모색”", 「목회와 신학」년 4월호. 115-118, 1995
    • 37 이호, "“선교적 교회론에 의한 교회 개척 연구”", 목회신학박사학위, 장로 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6
    • 38 홍순석, "“개척교회 현장대담: 수원형제침례교회”", 「목회와 신학」년 11월호, 182-185, 2003
    • 39 홍정길, "“개척교회는 목회자의 자질에 달려 있다”", 「목회와 신학」년 3월 호. 42-47, 1999
    • 40 최동규(Dongkyu Choi), "선교적 교회의 내적 동력으로서의 공동체성",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 44집 409-443, 2016
    • 41 최동규, "“선교적 교회개척의 의미와 신학적 근거.”",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28집 263-290, 2011
    • 42 차정식, "기독교 공동체의 성서적 기원과 실천적 대안", 짓다(SFC출판부), 서울: 짓다, 2015
    • 43 최동규, "선교적 교회의 평신도들을 위한 사도직 이해",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 41집 453-490, 2016
    • 44 박창현, "“한국 교회 개척 방식의 문제점과 그 대안”",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7집 270-299, 2003
    • 45 방동섭, "“21세기 현대 교회의 위기와 선교적 교회론”", 「성경과 신학」34 집: 250-276, 2003
    • 46 박원길, "“‘선교적 교회’를 위한 목회 리더십 연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철학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5
    • 47 지성근, "“교회의 존재양식을 묻는다: 선교적 교회론”", [교회의 본질과 공적책임의 범위: 교회론의 갱신과 사회론적 성찰을 위하여]. 제8회 바른교 회아카데미 연구위원회세미나, -148; http://gcacademyresources.tistory.com/70. 2017년 06월 15일, 2010
    • 48 박노철, "“나의 분립 개척 이야기(2): 구리지구촌교회”", 「목회와 신학」 년 5월호, 84-85, 2008
    • 49 유병용,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 교회개척 방안 연구”", 목회학박사학위논 문,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0
    • 50 송성민, "“선교적 교회론을 통한 지역사회 선교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목회신학박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5
    • 51 최동규, "“GOCN의 선교적 교회론과 교회성장학적 평가,”",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선교신학」 제25집 231-261, 2010
    • 52 안용성, "“신약 교회의 토대가 된 하나님 나라의 복음”", 「제20회 바른교 회아카데미 연구위원회세미나」 52-66; http://gcacademyresources.tistory.com/229. 2017년 06월 16일, 2016
    • 53 강영안, 양희송, "『묻고 답하다: 강영안, 양희송 2박 3일의 대화』", 서울: 홍성사, 2013
    • 54 유준상, "“교회 분립 개척에 필요한 교회내부 준비작업”", 침례신학대학교, 신학석사학위논 문, 침례신학대학교, 2007
    • 55 김남균,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이해와 의미”",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 문,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7
    • 56 정용암, "“도시지역 교회개척을 통한 교회성장방안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신학박사학위논 문, 총신대학교 목회신학과교회성장학, 2007
    • 57 박종원, "“An Invitation to the Revolution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한국사회언어학회 담화-인지언어학회 공동학술대회, -278, 2007
    • 58 박영철, "“개척교회의 공동체성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하나”", 「목회와 신 학」년 4월호. 110-117, 2002
    • 59 김주덕, "“한국교회의 교회개척 형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 제17집 37-54, 2008
    • 60 계재광, "“유교문화가 한국 교회 리더십 형성에 미친 영향”", 「신학과 실 천」제22집 77-106, 2010
    • 61 최동규, "“초기 한국 개신교의 교회개척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 제30집 271-298, 2012
    • 62 권오훈,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A. Snyder)의 선교적 교회론”", 『선 교적 교회론과 한국교회』. 한국선교신학회 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44, 2015
    • 63 이철호, "“한국교회의 교회 개척 현장에 대한 분석과 제안”", 「신학정론」 제28집 , 332-363, 2010
    • 64 이후천, "“한국적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가 갖는 의미 연구”", 「선교신학」 제21집 81-107, 2009
    • 65 오동섭, "“기성 교회들의 신생 교회 지원 유형과 협력 사역”", 『선교적 교 회의 오늘과 내일』. 성석환 편.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44, 2016
    • 66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나무, 파주: 생각 의 나무, 2012
    • 67 신현수, "“’성전’개념을 중심으로 본 선교적 교회론 연구”", 철학박사학위 논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 68 최방은, "“선교적 교회론에 따른 지역교회의 선교방향 연구”", 목회신학박 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6
    • 69 송우룡, "“성육신적 회중 사역으로서의 선교적 교회론 연구”", 철학박사학 위논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6
    • 70 신광은, "『메가처치 논박: 나의 교회여, 크기에서 자유하라!』", 정연사, 부천: 정연, 2009
    • 71 박준용, "“복음주의 관점에서 본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평가”",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석사 학위논문,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 72 김영민, "“한국교회 갱신을 위한 ‘작은 교회’에 대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석사학위 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 73 김성준, "“한국교회의 선교 갱신을 위한 선교적 교회론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박사 학위논문,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74 권문상, "『성경적 공동체: 삼위일체 하나님을 닮은 가족교회』", 킹덤북스, 용인: 킹덤 북스, 2013
    • 75 김경동, "『기독교 공동체 운동의 사회학Koinonia의 이론과 전략』", 한들, 서 울: 한들출판사, 2010
    • 76 고힌, 마이클, "『열방에 빛을: 온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 복 있는 사람, 박성업 역. 서울: 복있는사람, 2012
    • 77 이상훈, "『처치 시프트(Church Shift): 선교적 교회 사역 패러다임』", 경 기: 워십리더, 2017
    • 78 이세용,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 이해와 교회의 본질과 사명”",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신학석 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 79 박운암,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을 위한 목회행정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박 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6
    • 80 최동규, "『초기 한국 교회와 교회개척: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문서선교회, 서 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5
    • 81 정요석, "『기도인가 주문인가: 기도의 오해를 바로잡는 16가지 주제』", 세움북스, 서 울: 세움북스, 2015
    • 82 안점식, "“세속화와 세속주의 개념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의 독특성.”",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신 학정론」제22집 241-265, 2004
    • 83 홍정길, "『년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결과발표 세미나 』", 서울: 기독교윤리실천운동, 2017. 9-10; file:///C:/Users/goble/Desktop/2017_%ED%95%9C%EA%B5%AD%EA%B5%90%ED%9A%8C%EC%8B%A0%EB%A2%B0%EB%8F%84%EC%A1%B0%EC%82%AC_%EC%9E%90%EB%A3%8C%EC%A7%91.pdf. 2017년 08월 15일, 2017
    • 84 오지영, "“도시선교를 통한 도시교회 개척과 교회성장모델에 대하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 85 장남혁, "『교회 속의 샤머니즘: 한국 샤머니즘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 파주: 집문당, 2007
    • 86 조영태,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론을 통한 한국의 선교적 교회론 연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복음과선교」제10집 141-172, 2008
    • 87 김세윤, 정현구, 김회권, "공저. 『하나님 나라 복음: 신구약을 관통하는 하나님의 다스림』",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3
    • 88 최형근, "“선교적 교회의 태동과 발전, 그리고 한국적 적용에 대한 소 고”", 『현대선교14호-선교적 교회』, 문상철 편. 서울: 한국해외선교회출판부, -27, 2012
    • 89 이후천,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접근 방법들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선교와 신학 제30집 49-72, 2012
    • 90 김남식,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교회개척의 현황과 진단(2000-2015)에 관한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41집 (2016). 13-46, 2016
    • 91 전병금, "『한국기독교분석리포트: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보고서』", 서울: 도서출판URD, 2013, 2013
    • 92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하나님나라 복음에 기초한 일대일 제자훈련 』", 포이에마, 서울: 포이에마, 2014
    • 93 김택진, "“한국성결교회 분립에 대한 비교연구: 1936년과 1961년을 중심 으로”", 성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성결대학교신학대학원, 2001
    • 94 이재근, "『세계복음주의지형도: 세계 기독교 관점에서 보는 복음주의 역 사』", 복 있는 사람, 서울: 복있는사람, 2015
    • 95 박종원, "“민간종교 세계관을 통한 세속화된 한구 교회 이해와 신학적 고 찰”", 「복음과 선교」제35집 113-152, 2016
    • 96 김호경,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시각장애인 선교 접근에 관한 연 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신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6
    • 97 이동현, "“한국의 도시화에 따른 도시선교, 도시교회 개척 및 성장 전략 연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철학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 98 이진상,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큰빛교회 비전센터운영’ 사례연 구”", 박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 99 최순남, "“지역교회로의 분립을 통한 교회 성장 방안: 아가페 교회를 중 심으로”", 목회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7
    • 100 장정훈, "“개혁주의 선교신학의 입장에서 본 Missio Dei에 대한 비판과 선교적 교회론”", 신학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목회산학전문대학원, 2015
    • 101 허주, "“헤르만 리덜보스의 공관 복음서 해석이해: 하나님 나라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성경신학회, 「교회와 문화」제7집 33-78, 2001
    • 102 박종원, "“한국 가나안 성도 출현과 이해를 통한 변증학적 고찰: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복음과 선교」제34집 51-91, 2016
    • 103 이바울, "“다문화 사역을 통한 선교적 교회 모델 연구: 여의도새성북교 회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4
    • 104 최형석, "“교회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전략이 교회 성장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연구”", 신학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4
    • 105 조해룡, "“선교적 교회론 연구: 레슬리 뉴비긴, 위르겐 몰트만, 대럴 구더를 중 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대학원, 2011
    • 106 한국일, "“선교적 교회의 실천적 모델과 원리: 한국 현장으로부터 배우 는 선교적 교회”", 「선교신학」제36집 355-401, 2014
    • 107 임경재, "“선교적 교회론에 기초한 선교적 사회봉사: 교회의 사회봉사사 역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목회신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1
    • 108 신은철, "“선교적 교회를 위한 새가족 정착 활성화 방안 연구: 인천신광 교회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목회신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 원, 2012
    • 109 나현수, "“한국의 도시상황에서의 성공적인 교회개척 방안 연구: 남서울 노희를 중심으로”", 신학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2
    • 110 서영곤,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적 개념 모 델 개발을 중심으로”", 예명대학원대학교, 신학박사학위논문, 예명대학원대학교, 2016
    • 111 손정호,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전도전략 개발 방안: ‘예심전도 대학’을 중심으로”", 목회신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 원, 2016
    • 112 황기덕, "“선교적 교회론에 따른 디아스포라 한인교회 갱신 연구: 시드 니 동산교회를 중심으로”", 목회신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 문대학원, 2017
    • 113 김형일, "“선교적 교회론의 도시 지역사회 적용 방안: 묘동교회 문화교 실과 노인대학을 중심으로”", 목회신학박사학위,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 대학원, 2017
    • 114 서정웅, "“도시화 생활양식으로 전환된 지역에서의 교회개척 전략: 포항 연일명성교회를 중심으로”", 목회신학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4
    • 115 나성권,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론과 영국 성공회의 ‘선교형 교회’: 선교 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6
    • 116 허정, "“셀 교회 개척과 성장을 통한 건강한 사역자 양육 방법과 효과적 인 분립개척에 대한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117 최도훈, "“한국교회의 선교적 교회론 적용을 위한 교회유형 연구: 기독 교대한성결교회를 중심으로”", 신학박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 학원, 2015
    • 118 김형국, "“어떻게 하나님 나라 신학으로 종교개혁의 정신을 심화시켜 우 리 교회를 회복할 수 있을까?”", 「목회와 신학」년 12월호. 165-173, 2013
    • 119 이상규, "“분립 개척을 통한 교회 성장과 목회자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분당 샘물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선교학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2005
    • 120 한완상, "『예수 없는 예수 교회: 한국 교회가 회복해야 할 역사적 예수 의 체취와 숨결, 그리고 그분의 꿈』", 파주: 김영사, 2008
    • 121 권문상, "“삼위일체의 공동체성: 인간의 존재 방식을 통한 하나님의 존 재 양식 증거, 그리고 교회에의 적용”", 「개혁 신학」제18집 203-237, 2005
    • 122 황병배, "“선교 공동체로서의 농촌교회와 통전적 선교 가능성 연구 – 농촌교 회의 통전적 선교를 위한 필수요소.”",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제36집 445-48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