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가야 왕경 취락의 주거문화 검토 = A Study on the Residential Culture in the Royal Capital Settlement of Daegay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98(3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에서는 통시적 관점에서 대가야 왕경 취락의 주거문화를 검토해보았다. 지금까지 고령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가야의 주거연구는 개요 정도로만 다루어져 왔다. 이에 대가야 왕경에서 나타나는 주거의 제 속성과 특징을 고찰하는데 우선 초점을 맞췄다. 대가야 왕경의 주거는 크게 수혈주거지와 지상식건물지로 대별된다. 수혈주거지는 본격적으로 고령지역 내에서 5세기 이전 자료는 확보되지 않았지만, 청동기시대 후기 송국리문화권에 속하는 점, 주거문화는 주변지역과 연동하여 상호관계 속에 전개되는 점에 착안하여 검토를 진행해 보았다. 5세기를 포함한 이후, 왕경 취락에서 확인되는 수혈주거지를 유적별로 개괄하면서 특징을 살펴보았다.지상식건물지는 왕경 내에서 다수 분포하고 있는 정형성 없는 주혈군들의 고고학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주거용과 그에 부속된 시설들로 보아 취락의 건물지로써 중요한 요소로 인식될 수 있음을 되짚었다. 왕도 내에는 새롭게 백제에서 수용된 것으로 보이는 벽주건물지를 검토하였다. 궁성지 벽주건물지는 백제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대가야 나름대로의 축조방식으로 재창출했을 가능성이나, 지산리 막골 일대의 유적에서 벽주건물로 볼 수 있는 유구를 적극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이후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왕경을 왕도와 외곽지역으로 나누어 주거에서 보이는 공간적 분포정형과 입지적 요소를 살펴보았고, 최종적으로 주거에서 위계를 논의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와 연결 지어 보았다. 5세기 후반대부터 대가야 왕경에서 확인되는 주거의 위계는, 이 시기 대가야의 사후공간에서 보이는 고분 간의 입지, 규모, 부장유물 등의 차이가 생활공간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가야의 정치체제가 발전하면서 갖춰진 사회규범과 제도 속에 주거 양식 또한 그 위계적 질서 안에서 잘 작동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HeritageThis paper examines the residential culture of Daegaya's royal capital settlement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on Daegaya's residential culture, particularly in the Goryeong area, have only provided an overview.The residential structures in Daegaya’s royal capital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pit dwellings and ground-level buildings. While no substantial data on pit dwelling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Goryeong area prior to the 5th century, this study considers the region’s cultural affiliation with the Late Bronze Age Songguk-ri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culture in interaction with neighboring regions. From the 5th century onward, the study reviews pit dwellings identified in the royal capital settlement and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by site.Ground-level buildings,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royal capital,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irregular posthole clusters. These structures are interpreted as important components of the settlement, likely serving both residential and auxiliary purposes. Additionally, wall-post buildings, which appear to have been newly adopted from Baekje, were examined. The study compares wall-post structures with those in Baekje regions, exploring the possibility that they were reconstructed using Daegaya’s own construction methods. The archaeological remains in the Jisan-ri Makkol area were actively interpreted as potential wall-post buildings.Based on this review, the royal capital was divided into central and peripheral area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al factors of reside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a hierarchical order is discernible in the residential structures, reflecting the social stratification evident in the burial practices of the late 5th century, such as differences in tomb location, size, and grave goods. This indicates that as Daegaya’s political system developed, its residential architecture operated within a well-established hierarchical order, mirroring the societal norms and institutions of the tim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