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中央日報 二十年史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中央日報二十年史
      • 제1편 創業 = 137
      • 제1장 創業者 湖巖 李秉喆 名譽會長 = 138
      • 中央매스컴의 創業理念 = 138
      • 한국 貿易業의 善驅者 = 139
      • 商業資本家에서 産業資本家로 = 140
      • 韓國經濟의 原動力된 「借款」構想 = 141
      • 經營哲學의 實踐 = 142
      • 21世紀 「尖端韓國」에의 도약 = 143
      • 제2장 中央日報 創刊준비 = 144
      • 新聞發刊준비위원회 결성 = 144
      • 題號 「中央日報」로 결정 = 145
      • 종합매스컴센터 建設과 完工 = 146
      • 言論報國 의지담긴 中央日報 社是 = 146
      • 社章과 社旗의 제정 = 147
      • 言論名門 이룰 人材확보 = 148
      • 창간당시 記者들의 스카웃 秘話 = 148
      • 最新·最高의 印刷시설 도입 = 150
      • 第1期 修習記者시험 풍경 = 150
      • 15대 1의 普及所長 경합 = 151
      • 創刊 카운트다운 = 152
      • 제3장 中央日報 紙齡 제1호 = 154
      • 1965년 9월 22일 創刊, 그 時代的 意味 = 154
      • 유니크한 感覺, 品位있는 編輯 = 156
      • 설레임과 흥분의 創刊日 표정 = 156
      • 創刊號 各面 編輯의 特徵 = 157
      • 創刊辭·社說·「噴水臺」·「逆光線」의 특성 = 158
      • 創刊號와 창간특집 내용 = 161
      • 캐시미르에 파견됐던 첫 海外특파원 金永熙기자 = 162
      • 品位와 아이디어 넘친 企劃연재물 = 166
      • 就任辭와 창간 紀念辭에 나타난 使命 = 169
      • 創刊號, 20萬部 발행 = 170
      • 創刊 최초의 外信호의 발행 = 170
      • 創刊 전후 방대한 資料와 圖書수집 = 171
      • 調査部와 資料室 설립 = 172
      • 紙齡1百號에 나타난 「中央日報」의 새 偉容 = 173
      • 國際言論機構會議 매년 참석
      • 제2편 總論 = 175
      • 제1장 中央매스컴 20年 槪觀 = 176
      • 胎動期-첫 시험 放送과 新聞創刊 時代 = 176
      • 開花期-新聞·放送·雜誌의 종합매스컴 時代 = 177
      • 跳躍期-新聞 1百萬部 돌파 등 매스컴 융성 時代 = 179
      • 中興期-放送 통폐합에 따른 新聞의 새 活路 개척기 = 182
      • 제2장 紙面으로 본 中央日報 20年 = 187
      • 生動感 넘치는 新聞製作 = 187
      • 활발하게 發行되는 각종 出版物 = 191
      • 꾸준하게 改善되는 新聞製作기술 = 192
      • 제3장 經營으로 본 中央日報 20年 = 193
      • 企業性 내서운 合理經營 = 193
      • 활발한 文化事業 = 194
      • 확장되는 社勢 수용위한 新社屋 구상 = 195
      • 放送 통폐합 試鍊 극복한 經營 = 195
      • 제3편 참신한 紙面 = 197
      • 제1장 의욕넘친 製作一線一各部20年 = 198
      • 編輯部 = 198
      • 編輯部 20년의 뒤안길 = 200
      • 政治部 = 201
      • 經濟部 = 207
      • 막강 經濟部를 이끌었던 창간지자들 = 208
      • 社會部 = 209
      • 文化部 = 212
      • 外信部 = 217
      • 객관적 視覺으로 일관했던 韓日 關係報道記者들 = 218
      • 體育部 = 220
      • 科學部 = 222
      • 校正部 = 224
      • 校正의 哀歡과 넌센스 = 224
      • 寫眞部 = 226
      • 연재만화 = 227
      • 만화의 시대적 성격 = 228
      • 만화 착상과정 = 228
      • 「왈순아지매」 탄생 = 229
      • 有名人士 來訪 = 230
      • 제2장 正論에 빛나는 社說 = 231
      • 中庸과 公正유지한 論旨 = 231
      • 社是정신 뚜렷이 부각 = 231
      • 國論의 지표와 方向설정 = 232
      • 국민의 意議啓發에 크게 기여 = 234
      • 敎化的·은유적인 論調 = 235
      • '활기찬 經濟'의 力說 = 236
      • 기라성같은 執筆陣 = 237
      • 年頭辭와그 精神의 展開, 그 해의 新聞製作 = 238
      • 제3장 歷史의 현장에 선 中央日報 = 243
      • 三選改憲 상세하게 보도 = 243
      • 7·4공동성명과 南北會談 = 245
      • 8·3措置와 石油波動 = 248
      • 金大中 납치사건 = 249
      • KAL 무르만스크 不時着사건 = 252
      • 80年代의 經濟파동들 = 253
      • 預金 實名制파동 = 256
      • 光州事態 취재와 보도 = 258
      • 「안개政局」격동기의 신문제작 = 258
      • 버마 아웅산 사건 = 261
      • 제4장 끈질긴 取材정신 = 263
      • 靑丘洞 軍수송기 추락 = 263
      • 무장공비 金新朝생포 = 265
      • 在日동포 金嬉老사건과 民族차별 = 266
      • 忠北지방 水害보도 = 267
      • 국회의원 選擧法 특종 = 268
      • 潭陽 高氏일가 수은中毒 = 269
      • 修習기자가 올린 創刊 첫 특종 = 269
      • 국회의원 成樂絃의 여고생 醜行사건 = 270
      • 馬山 衛戍令 = 272
      • 우여곡절 겪었던 經濟面 특종 = 272
      • 全공무원 淸廉度 측정 = 273
      • 敎授추천제 義務化 = 274
      • 李哲熙·張玲子 사건 = 275
      • 大盜 趙世衡 탈주사건 = 276
      • '84년의 2次 解禁 = 276
      • 새 國際空港 건설 = 278
      • 經濟面의 大特種들 = 279
      • 外信部의 特種들 = 280
      • 報道사진 特種들 = 282
      • 못나간 特種記事들 = 287
      • 光州體典 참사보도로 창간 첫 히트 = 288
      • 제5장 企劃力의 승리 特輯·長期연재물 = 290
      • 3백 70回 계속된 「컬러의 눈」 = 290
      • 1백 17개 마을 소개된 「우리마을 최고야」 = 291
      • 민족의 뿌리찾는 「姓氏의 故鄕」= 292
      • 전국을 누비며 「우리 마을 最高야…」 취재에 열올려 = 292
      • 祖上의 뿌리캐기-「姓氏의 故鄕」 = 294
      • 國土개발 깨우친 「푸른廣場」 = 295
      • 長期연재물의 특성과 내용 = 297
      • 政界에 진출한 中央가족 = 301
      • 제6장 돋보이는 固定欄들 = 312
      • 固定欄의 由來 = 312
      • 新鮮感 넘치는 「噴水臺」 = 314
      • 寸鐵殺人의 短評 「逆光線」 = 315
      • 객관적 터치의 「中央塔」과 「週末政譚」 = 316
      • 經濟面의 「經濟往來」와 「家計와 生活」 = 317
      • 유머 넘친 社會面 「주사위」 = 317
      • 표정있는 칼럼 「來日에 산다」= 318
      • 生活法律 일깨운 「法窓話題」 = 319
      • 「文化散策」 과 「文化廣場」 = 320
      • 女性의 애환 담은 「손거울」 = 321
      • 현실을 보는 女性의 눈 「窓가에서」 = 322
      • 「오늘을 사는 지혜, 禮」 = 322
      • 앞서가는 「해외여행」 = 322
      • 다채로운 外信面의 固定欄 = 323
      • 讀者 性向의 바로미터-興論調査 = 324
      • 스포츠 時評欄 「시그널」 = 326
      • 제7장 取材記者의 受難, 筆禍 = 327
      • 朴永秀기자 「反共法위반」 拘束 = 327
      • 妓生觀光파티 亡國論 = 329
      • 「朴永復 사건」과 李源達기자 拘束 = 329
      • 검열하의 經濟面 = 329
      • 李源達기자-朴永復사건 보도로 抱束 = 331
      • 「進步黨 사건」 연재와 筆禍 = 332
      • 「티우」 題下의 「噴水臺」筆禍 = 333
      • 탤런트 深貞花양 사건 = 334
      • 막강한 會社部의 法曹팀 = 334
      • 韓水山의 연재소설 사건 = 336
      • 佛敎관계 記事사건 = 336
      • 基督基 物量主義비판 사건 = 337
      • 言論基本法과 各種제소사건 = 337
      • 제8장 言論自由에 앞장서다 = 341
      • 기자들의 自由言論 선언 = 341
      • 10·26 事態와 自由言論 결의 = 345
      • 5·8선언과 三段空白사건 = 347
      • 제9장 활발한 國內外 取材網 = 348
      • 地方記者의 體質改善 = 348
      • 修習記者의 지방 로테이션 = 349
      • 쟁쟁했던 지방취재기자들 = 350
      • 폭넓은 통신취재망 = 351
      • 無敵의 야전특공대 지방기자들 = 351
      • 言論통폐합과 地方記者 철수 = 352
      • 바둑이사건 誤報와 과감한 訂正 기사 = 352
      • 地方版 제작의 어제와 오늘 = 353
      • 기동 취재반의 活動 = 353
      • 世界로 뻗는 海外取材網 = 354
      • 安眠우체국 집배원 순직 보도 = 354
      • 中央日報를 빛내는 世界 굴지의 독점·제휴사 = 356
      • 海外支社와 現地版제작 = 357
      • 심층보도의 韓美관계 기사 = 358
      • 제10장 撮影장비의 첨단화 = 361
      • 사건당일 1面컬러제작 = 361
      • 現代장비 活用으로 한발 앞선 取材 = 362
      • 사진전송기 도입 = 362
      • 入試경쟁 取材에 기동력 발휘 = 364
      • 취재용 비행기 구입 = 365
      • 1面컬러빛낸 전송 사진들 = 365
      • 제11장 방대한 資料의 寶庫, 調査資料室 = 367
      • 데이터 뱅크로 機構 확대 = 367
      • 데이터 開發部와 社會經濟 = 368
      • 開架式 閱覽制의 채택과 관계사 자료실 설립 지원 = 368
      • 所藏 圖書 및 定期刊行物 新聞 = 368
      • 言論통폐합과 機構축소 = 369
      • 마이크로 필름 시스팀의 導入 = 369
      • 완벽 자랑하는 記事 및 寫眞資料소장 = 370
      • 新社屋 이전과 調査資料室 = 371
      • 情報化 사회에 대처한 調査資料室 = 372
      • 제12장 東西問題硏究所 = 373
      • 제4편 製作精神 = 375
      • 제1장 紙面에 넘치는 휴머니즘 = 376
      • 난치병 이긴 李相基목사 = 376
      • 旌善의 네 쌍동이 = 376
      • 安眠우체국 집배원 吳基洙 = 377
      • 낳은 情, 기른 情 = 377
      • 任官탈락 소아마비法官 = 378
      • 12살 소녀家長 金允淑양 = 379
      • 服役囚의 인간승리 = 379
      • 人間回復 캠페인 = 380
      • 社會部의 꽃-事件기자 = 380
      • 제2장 道義文化 양양과 文化창달 = 382
      • 道議文化 양양 = 383
      • 不條理척결 紙上캠페인 = 383
      • 「한국, 오늘과 내일의 사이」심포지엄 = 384
      • 「도의문화」심포지엄 = 385
      • 文化창달 = 387
      • 新春 中央文藝의 발자취 = 387
      • 가장 권위있는 中央文化大賞 = 388
      • 「겨례시 짓기」운동 = 388
      • 柳周鉉 문학상 = 391
      • 文化財 보호의식 고취 = 392
      • 제3장 精誠쏟은 史實의 記錄化 = 398
      • 생생한 기록 「民族의 證言」 = 398
      • 각 분야의 秘話발굴한 「남기고 싶은 이야기」 = 401
      • 大河기획물의 효시-「景武臺四李」 뒷얘기들 = 402
      • 「남기고 싶은 이야기」 제 74화 韓美外交 요람기 = 404
      • 韓日관계 재조명한 「日本에 심은 韓國」 = 405
      • 空前의 대히트-「第3共和國」 = 406
      • 메가톤級 다큐멘터리 「第3共和國 秘話」 = 407
      • 「실패한 挑戰, 鄭求瑛備忘錄」 = 408
      • 「6·25와 李承晩대통령」 = 410
      • 제4장 未知의 世界에 도전하다 = 412
      • 學術的으로 조명한 「洞窟탐사」 = 413
      • 지구의 寶庫, 「海底탐사」 = 414
      • 韓國人 최초의 「南北極 탐험」 = 416
      • 李相 기자 한국등반대 취재渡日 = 416
      • 新聞·放送합동 「아프리카 橫斷취재」 = 420
      • 제5장 세계로 뻗는 取材 = 421
      • 세계적 碩學들과의 만남 = 421
      • 許 準외신부장 순식 = 422
      • 越南戰 생생하게 取材 = 423
      • 女權伸張과 「世界속의 韓國人」 시리즈 = 426
      • 女性의 현주소 추적한 「世界의 女性」 = 428
      • 海外敎育시리즈 「앞서가는 社會」 = 429
      • 유럽敎育 분석한 「幼兒園에서 大學까지」 = 430
      • 한발 앞선 共産圈 보도 = 430
      • 스포츠와 共産圈 취재 = 432
      • 철의 장막을 넘어 共産國 해외추재 = 432
      • 시각효과 높인 海外컬러 취재 = 433
      • 제6장 健康·科學의 생활화 = 435
      • 癌協會 창립과 「癌을 이기자」 시리즈 = 435
      • 다양한 건강칼럼 = 437
      • 尖端기술·정보전달에 앞장서 = 439
      • 未來를 내다본 「21世紀 事業」 = 443
      • 제7장 家庭에서 읽히는 新聞 = 445
      • 庶民生活에 역점둔 經濟정보 = 445
      • 主婦도 쉽게 친근해진 生活經濟 = 446
      • 여성생활 전반 다룬 女性面 = 447
      • 온 가족이 함께 보는 「어린이 欄」 = 450
      • 제8장 讀者가 참여하는 新聞 = 451
      • 활발한 讀者投稿 = 451
      • 젊은 영상인의 廣場-學生寫眞콘테스트 = 452
      • 讀者가 찍은 뉴스寫眞 특종 = 453
      • 사진작가의 産室-中央寫眞콘테스트 = 453
      • 제5편 工務 = 455
      • 제1장 創刊 당시의 新聞製作 시설 = 456
      • 最新 고성능 輪轉機 도입 = 456
      • 창간 字母의 준비 = 456
      • 印刷효과 우수한 벤톤 字母제작 = 457
      • 美麗한 인쇄의 창간호 紙面 = 457
      • 書體가 크고 안정된 扁平活字 채택 = 458
      • 原稿마감시간 줄다리기 = 458
      • 最新 寫眞製版시설 = 459
      • 제2장 원활한 新聞製作 = 460
      • 創刊號의 선명한 印刷 = 460
      • 輪轉機 설치 및 試運轉 = 460
      • 本社 固有書體 확보 = 462
      • 活版工程의 기계화 = 463
      • 제목용 書體개발 = 463
      • 活字書體의개발 = 464
      • 활자鑄造機 설치 = 464
      • 판활자 개발 = 465
      • 컬러인쇄시설 도입 = 466
      • 海外版 新聞발행에 따른 기술개발 = 466
      • 외국어 교육으로 工務要員 자질향상 = 467
      • 新聞製作 電算化 준비완료 = 468
      • MC6型 寫眞植字機 설치 = 468
      • 국내 최초의 香料印刷 = 469
      • 文選·整版 實技경진대회 = 470
      • 제3장 新社屋 시대의 印刷 = 470
      • 新社屋건설과 오프셋 및 CTS = 470
      • 전면 오프셋化 위해 윤전기 개조 = 470
      • 완전 CTS化의 전망 = 471
      • 刷版 = 471
      • 롤카메라 및 圖形合成機 도입 = 472
      • 제6편 出版 = 473
      • 제1장 韓國出版의 嚮導, 出版製作局 = 474
      • 中央日報 出版의 어제와 오늘 = 474
      • 出版事嶪에 본격적으로 진출 = 476
      • 10版이상 발행된 「中央新書」 = 476
      • 「月刊中央」 筆禍受難과 廢刊 = 478
      • 국내 제일의 아동잡지, 「소년中央」= 482
      • 기대회 = 483
      • 頂上의 家庭잡지, 「여성中央」 = 484
      • 「여성中央」창간 秘史 = 484
      • 「여성中央」의 주요 사업들 = 486
      • 「학생中央」의 全國大學 학과별 豫試평균점 일람표 = 488
      • 中高生의 교양잡지, 「학생中央」 = 488
      • 국내 권위의 美術전문지, 「季刊美術」 = 490
      • 「季刊美術」창간팀 구성 = 490
      • 「季刊美術」의 主要行事 「文藝中央」新人文學賞과 創刊號 발행 = 492
      • 순수문학의 대명사, 「文藝中央」 = 493
      • 미혼여성의 生活정보지, 「영레이디」 = 494
      • 기대속에 선을 보인 「영레이디」 = 494
      • 영레이디의 주요 사업들 = 495
      • 팝송 音樂專門誌-「음악세계」창간 = 496
      • 팝세대를 위한 전문지, 「음악세계」 = 497
      • 수준높은 作品의 산실, 出版寫眞部 = 498
      • 출판사진부의 어제와 오늘 = 498
      • 國內 최대규모의 신사옥 스튜디오 = 499
      • 제2장 出版販賣 = 500
      • 능동적인 外販組織 도입 = 500
      • 「여성中央」과 「소년中央」부수공개 = 502
      • 제3장 出版廣告 = 505
      • 質量面에서 빈약했던 초창기의 出版廣告 = 505
      • 70년대 중반부터 괄목할 成長 = 505
      • 不定期刊行物 등 새로운 廣告개발 = 506
      • 出版 廣告單價의 變遷 = 507
      • 요람기의 출판광고 = 507
      • 제4장 주간中央 = 508
      • 「주간中央」창간 = 508
      • 創刊號의 다양한 내용 = 508
      • 「주간中央」의 기구변천 = 508
      • 「주간中央」의 판매망 = 508
      • 製作原則은 話題·情報·啓導 = 509
      • 記錄에 남을 取材·報道 = 509
      • 주간中央 최초의 號外발행 = 510
      • 「주간中央」의 살아남기 작전 = 511
      • 주요 장기 연재물 = 512
      • 「주간中央」의 주요사업들 = 512
      • 「주간中央」 面數변천 = 513
      • 모델과 모델방 = 513
      • 國內 週刊紙 최고의 판매부수 자랑 = 514
      • 제5장 이코노미스트 = 515
      • 經濟問題硏究所설립과 經濟전문지「이코노미스트」創刊 = 515
      • 電算寫植機의 導入 = 516
      • 제7편 經營 = 517
      • 제1장 經營總說 = 518
      • 合理經營에 成功한 中央日報 = 518
      • 人材확보와 교육훈련 = 520
      • 제2장 創刊期의 경영 = 521
      • 公益性과 企業性의 동시추구 = 521
      • 三社統合으로 경영能率化 = 521
      • 창간기의 재무구조 = 521
      • 「私報中央」의 創刊 = 522
      • 기획관리회계制度의 導入 = 523
      • 1년만에 달성한 경영목표 = 524
      • 능률적인 기구조직 = 525
      • 1차 試鍊期의 경영 = 526
      • 제3장 社勢확장기 = 527
      • 附加價値생산액의 비약적인 성장 = 527
      • 경영진 개편 = 527
      • 사업부제 등 새 經營技法의 導入 = 527
      • 全社員의 슬리로 넘긴 오일 쇼크 = 528
      • 新聞·放送合倂, 綜合매스컴센터로 = 529
      • 확장기의 財務構造 = 530
      • 勤務評定制 實施 = 532
      • 투지불사른 對外 스포츠 행사 = 532
      • 흑자경영시대의 사업확장 = 533
      • 통폐합전의 눈부신 經營성과 = 536
      • 경영진 개편 = 538
      • 크고 작은 시련 = 539
      • 韓肥事件과 中央日報 = 539
      •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비난 = 542
      • 제4장 放送통폐합시대의 경영 = 543
      • 統廢合과 경영규모의 축소 = 543
      • 과감한 機構축소로 새 活路 모색 = 543
      • 人員조정 = 546
      • 통폐합과 시설관리 = 548
      • 統廢合 후의 재무구조 = 548
      • 電算의 도입 = 548
      • 統廢合에 따른 放送機資材 移管 = 550
      • 資産이양 = 552
      • 다양한 中央의 福利厚生 정책 = 553
      • 經營의 政常化방안 수립 = 554
      • 新社屋시대의 경영과 人事管理 = 555
      • 中央日報를 거쳐간 「中央家族」들 = 556
      • 제8편 販賣 = 559
      • 제1장 新聞販賣 20年 槪觀 = 560
      • 제2장 創刊期의 판매 = 562
      • 건전한 기업성 위한 部數확보 = 562
      • 創刊 全國普及所長 선발 = 562
      • 創刊號 발행부수 20만부로 = 563
      • 창간 1주년에 33만부 돌파하다 = 564
      • 愛讀者 현상퀴즈 = 564
      • 韓肥사건으로 위축된 보급 = 565
      • 그룹社員 및 社內 확장 캠페인 = 566
      • 제3장 頂上을 향한 販賣戰略 = 567
      • 街販조직과 街販의 눈부신 발전 = 567
      • 기획판매의 강화 = 567
      • 판매체계의 개편 = 568
      • 靑雲會 조직과 가판원 복지향상 = 568
      • 四柱三角形작전 등 다양한 판매전략 = 570
      • 中央소년의 활약과 장학금제 = 570
      • 版別 세분화 = 570
      • 50萬部 돌파와 신문사상 최초의 部數公開 = 571
      • 판매요원의 보급연수교육 = 572
      • 韓國新聞史上 최초의 100萬部 돌파 = 573
      • 각종 신문 판촉행사 = 575
      • 제4장 다시 가다듬은 販賣전략 = 576
      • 販賣本部制 실시와 地方駐在제도 신설 = 576
      • 전무후무한 가판기록 26만부(10.26사건) = 576
      • 放送 통폐합후의 피나는 판매정책 = 577
      • 보급소 집중관리 = 578
      • 독자확장에 효과 큰 각종판촉물 = 578
      • 신문수송의 현대화 = 579
      • 지방직송 = 580
      • 자동포장방송시스팀의 도입 = 580
      • 求禮支局의 國民學校 對抗 蹴球大會 = 582
      • 해외판매망 = 582
      • 제9편 廣告 = 585
      • 제1장 總論 = 586
      • 제2장 創刊期의 廣告 = 587
      • 案內광고의 개발 = 587
      • 무신탁 광고와 악성미수광고의 근절 = 587
      • 국내 첫 香料광고와 원색광고 = 588
      • 他地와 달랐던 광고시스팀 = 588
      • 제3장 頂上 달성한 廣告營業 = 589
      • 發行部數 最初公開 = 589
      • 中央광고 윤리요강 = 589
      • 세계광고전시회 = 590
      • 하루 광고 수입 1억원 돌파 = 590
      • 突出廣告 잇달아 개발 = 590
      • 世界廣告 展示會 = 591
      • 中央廣告大賞 = 592
      • 中央讀書感想文 모집 = 593
      • 컬러광고 增大와 영업전략 = 594
      • 「中央廣告情報」 발간 = 594
      • 中央독서감상문 모집 = 592
      • 中央독서감상문 모집 = 595
      • 고속 原色廣告 = 595
      • 제4장 아이디어 넘친 企劃廣告로 再挑躍 = 596
      • 放送 통폐합후에 찾은 頂上 = 596
      • 不況을 극복한 企劃廣告 특집 = 597
      • 正常化된 廣告單價 = 598
      • 新聞段數 변동과 廣告段數의 조정 = 599
      • 廣告局 조직변경과 영업 = 599
      • 廣告段數의 변천 = 601
      • 廣告單價의 체계 = 601
      • 廣告代行社 = 602
      • 제10편 文化事業 = 603
      • 제1장 創刊精神에 충실했던 文化事業 = 604
      • 사명의식 드높은 60년대 文化事業 = 605
      • 다양한 프로그램, 70년대 文化事業 = 607
      • 활발했던 文化사업 = 608
      • 충실한 결실맺을 80년대 文化事業 = 609
      • 연례 文化事業 내역 = 611
      • 제2장 戀浦臨海레저타운 建設 = 616
      • 戀浦臨海레저타운 開發 = 616
      • 제3장 방대한 데이터 뱅크, 中央 SVP = 619
      • 中央 SVP의 活動 = 619
      • 言論통폐합과 SVP = 620
      • 온라인 데이터 檢索서비스 開始 = 620
      • 中央SVP의 사업내용 = 620
      • 마키팅, 社會與論조사 = 621
      • 앞으로의 활동계획 = 622
      • 제4장 平生교육의 현장, 中央文化센터 = 623
      • 제5장 中央圖書館建立 寄贈事業 = 626
      • 지역사회 圖書館 지원 = 626
      • 제11편 새社屋 = 630
      • 제1장 新社屋 建立 意義 = 630
      • 造形美와 尖端機能의 앙상블 = 630
      • 建築物이 아닌 綜合藝術品 = 630
      • 挫折을 딛고 일어선 不屈의 意志 = 630
      • 韓國의 傳統樣式 살린 완벽한 토틀 디자인 = 631
      • 最尖端技術 도입한 最新의 工法 = 632
      • 重厚하며 優雅한 外壁石材 카르멘 레드 = 632
      • 외벽 카르멘 레드에 얽힌 얘기 = 632
      • 빌딩관리 自動化(BAS)와 事務自動化(OA) = 633
      • 言論社로서는 처음 이룩한 歷史的 偉業 = 634
      • 제2장 新社屋 구상과 建立決斷 = 635
      • 李會長 회고 = 635
      • 洪會長 회고 = 637
      • 제3장 綜合매스컴 建立의 基本構想 = 638
      • 제4장 新社屋 건립 經過 = 639
      • 中央日報 新社屋 건립 日誌 = 640
      • 제5장 湖巖아트홀과 湖巖갤러리 = 642
      • 湖巖아트홀 開館에 얽힌 사연들 = 642
      • 湖巖아트홀 = 644
      • 아트홀 開館지연으로 보상금 지불 = 644
      • 湖巖갤러리 = 647
      • 해외 美術館, 매니지먼트社와 유대 강화 = 648
      • 제6장 建物의 여러가지 특징 = 650
      • 造形美를 살린 설계 = 650
      • 複合機能의 건물 = 651
      • 국내 최초의 BAS시스팀 운용 = 652
      • 신사옥의 자랑거리-로비 = 653
      • 사무자동화(OA)를 대비한 시공 = 654
      • 原稿를 보내는 에어슈터 = 654
      • 현대화한 부대시설 = 655
      • 자동발송시스템 = 655
      • 신문용지 搬入·搬出시설 및 紙庫시설 = 656
      • 新社屋 規模 = 657
      • 제7장 資材購入 = 661
      • 사진으로 본 新社屋 建設日誌 = 663
      • 제8장 工事 = 664
      • 신사옥 건설책임자의 어려웠던 뒷얘기 = 664
      • 제9장 造景 = 667
      • 신문배달소년立像 = 667
      • 屋上庭園 = 668
      • 뉴스 速報板 = 671
      • 제10장 資金조달 = 672
      • 東洋放送十七年史
      • 槪觀 = 699
      • 제1편 東洋라디오 = 701
      • 제1장 時代를 雄飛한 東洋라디오 = 702
      • 會社建立과 開局準備 = 702
      • 소수정예의 放送要員構成 = 703
      • 감격에 찬 開局宣言 = 704
      • 開局기념식과 경축祭典 = 706
      • 64年 5月 9日 正午의 主體整室 = 706
      • 草創期의 整地作業 = 707
      • 성공적으로 끝낸 周波數 변경 = 707
      • 洪璡基사장의 就任 = 708
      • 周波敎 變更 = 708
      • RSB→JBS→TBC = 709
      • 自立과 成長 = 710
      • 70%의 高度成長 = 710
      • 라디오서울의 運命曲線 = 710
      • 石油波動속의 高度成長 = 712
      • Life-Style에 맞는 放送 = 712
      • RSB 開局祝詩 = 712
      • 全日放送·西海放送 = 714
      • 西海放送(SBC) = 714
      • RSB 社歌 = 714
      • 全日放送(VOC) = 715
      • RSB 開局陣容 = 715
      • 제2장 國民과의 連帶에 置重한 編成 = 717
      • 初期의 새롭고 과감한 重點편성 = 717
      • 基本편성지침 = 717
      • 文化暢達을 위한 청취자의 참여 유도 = 718
      • 프로그램 사전 심사제도 = 718
      • 安定과 成長의 先頭位置 = 719
      • 참신과 活力 = 719
      • 報道의 强化 = 720
      • 編成의 科學化 = 720
      • 活路를 摸索 한 轉煥期 = 721
      • 「즐겁고 보람있는 放送」 = 721
      • 編成과 營業과의 連繫 = 721
      • 「弱對强 强對强强論」 = 722
      • 農漁村 Program의 活性化 = 723
      • 굳건한 基盤위에서 새出發 = 724
      • 캠페인프로그램 開發 = 724
      • 라이프 스타일 調査와 編成 = 726
      • 有益한 放送 프로그램의 出版 = 727
      • 大學入試講座 = 727
      • TBC生活英語 = 727
      • 제3장 즐겁고 有益한 프로그램들 = 729
      • 社會·敎養 = 729
      • 재미있고 有益하게 = 729
      • 生活情報 = 729
      • 社會診斷 = 731
      • 가십 프로그램 = 732
      • 미니 敎養 = 733
      • 其他 교양·교육 프로그램 = 733
      • 서비스 센터 = 735
      • 서비스센터의 任務 = 735
      • 드라머 = 736
      • 라디오 드라머 全盛時代 = 736
      • 깜짝놀랄 秘話의 眞僞 = 736
      • 時間帶 競爭 = 737
      • 「光復20年」의 登場 = 738
      • 「光復20年」 筆者交替 = 738
      • TV時代의 展開와 라디오 드라머의 活路 = 740
      • 난처한 PD의 立場 = 740
      • 小說家의 드라머 參與 = 742
      • 音響詩劇 = 742
      • 도자기 굽는 소리 = 742
      • 소리藝術과 文學藝術의 接木 = 743
      • 人體音樂 녹음 = 743
      • 新人作家 發掘 = 744
      • 노래하는 聲優들 = 744
      • Quality Radio 宣言 = 745
      • 音響(音樂)效果 = 746
      • 드라머 첫 野外녹음 = 746
      • 演藝·娛樂 = 748
      • 日常을 건전·명령하게 = 748
      • 복도에도 효과장비 = 748
      • 빌어 쓴 公開홀 = 749
      • 大型公開 Show와 「長壽無臺」= 750
      • 短命할 뻔했던 「長壽舞臺」 = 750
      • 하이탄에서 老人까지 = 752
      • 正統歌謠 프로그램 = 753
      • 人波로 NG낸 「비바 팝스」 = 753
      • 客觀的 歌謠 人氣順位 = 754
      • 音樂 = 754
      • 古典音樂의 重點編成 = 754
      • Pop Song의 補强 = 755
      • 國樂 프로그램의 새로운 試圖 = 756
      • 深夜放送 = 757
      • 순수 음악프로의 退潮 = 758
      • 行事·캠페인 = 759
      • 放送歌謠大賞 = 759
      • 全國經音樂競演大會 = 759
      • 젊은이의 가요제 = 760
      • 개그 콘테스트 = 761
      • 新人歌謠祭 = 761
      • 大學放送 경연대회 = 761
      • 統一기원 건강마라톤대회 = 761
      • 생활 캠페인 = 762
      • 불우이웃돕기 캠페인 = 762
      • 집중 스파트 캠페인 = 763
      • 제4장 韓國FM放送史를 先導한 東洋FM = 764
      • 東洋 FM의 誕生 = 764
      • 서울 FM의 引受 = 764
      • 클래식 重點에서 大衆的 내용으로 = 765
      • 클래식音樂 위주의 編成期 = 765
      • 大衆音樂의 補强과 成長 = 765
      • 最高의 聽取率 = 766
      • 主要 프로그램과 特輯 = 767
      • 클래식 音樂 = 767
      • 韓國歌謠 = 769
      • 파플러 音樂 = 769
      • 敎養·情報 = 770
      • 東洋FM의 面面들 = 770
      • 특집·행사 = 771
      • 제2편 東洋텔리비젼 = 773
      • 제1장 民間TV의 先驅者 東洋텔리비젼 = 774
      • DTV 胎動 = 774
      • 開局준비 = 774
      •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기초작업 = 775
      • DTV 開局陣容 = 776
      • 「보다 빨리, 보다 널리, 보다 풍부하게」= 777
      • DTV 개국 = 777
      • 상대국을 앞지른 시청률 = 778
      • 先頭走者로서의 急成長-TBC 時代의 出發 = 779
      • 呼稱변경 = 779
      • 3局 경쟁체제 돌입 = 781
      • 雲峴宮 Studio 개관과 시청률 제압 = 781
      • 强한 鬪魂과 成熟한 資質 = 781
      • 開局 10周年과 大規模개편 = 782
      • Total Television System = 783
      • 大型化·스페셜化·國際化 = 784
      • 컬러 放送 준비완료 = 784
      • 10.26에서 統廢合 發表까지 = 785
      • 東洋텔리비젼 釜山局·LA東洋텔리비젼 = 786
      • 文化浸透의 防波堤 東洋TV 釜山局 = 786
      • 로컬프로그램 活性化 = 786
      • 3局 경쟁에서 단연 1位 = 787
      • 끝내 못이룬 마이크로웨이브 使用 = 788
      • 東洋TV 美國進出 = 789
      • 제2장 破格과 實驗에 성공한 編成 = 791
      • 새로운 試圖와 開發의 草創期 = 791
      • 開局初期의 기본편성 = 791
      • 여건과 意志의 調和 = 791
      • 라이프 사이클의 反映 = 792
      • 아침방송 실시 = 792
      • 週末프로그램의 强化 = 794
      • 3局競爭을 制壓한 70年代 = 794
      • 雲峴宮 스튜디오 完工 = 795
      • 最初의 2元 방송과 「아씨」 = 796
      • 開局 10周年과 기동력 補强 = 798
      • 規制받기 시작한 편성권 = 799
      • 全 프로그램의 最級·高密度化 = 799
      • 활성화된 특집프로그램 = 800
      • 大型프로그램에 눈을 돌린 制作視覺 = 801
      • 연중 스페셜과 이번트 = 802
      • 제3장 頂上을 누린 프로그램들 = 803
      • 社會·敎養 = 803
      • 스튜디오를 벗어나 現場으로 = 803
      • 교양프로의 元祖 「논픽션 시리즈」 = 803
      • 娛樂性의 加味 = 804
      • 個性과 밀도있는 制作 = 804
      • 화려한 MC진용 = 805
      • 교양프로 편성비중 提高 = 807
      • 스페셜 기획과 해외취재 = 807
      • 美獨立 2百周年 取材팀 交通事故 = 808
      • 「人間萬歲」의 獨立 프로그램化 = 809
      • 드라머 = 809
      • 映畵 절정기에 胎動 = 809
      • 生放送 TV드라머 = 810
      • 드라머 生放送 = 812
      • 「치맛바람」에 시달린 PD = 812
      • 다양한 포맷의 開發 = 813
      • 탤런트 公採 1期生 탄생 = 814
      • 制作陣 再編 = 816
      • 任熙宰 最後의 작품 「아씨」 = 816
      • 70年代 드라머의 向方을 提示한 「아씨」 = 817
      • 8年 연속 기록 세운 「李朝女人 5百年史」 = 819
      • TV 드라머 洪水時代 = 820
      • 自家用 운전사의 변소청소 말썽 = 820
      • 朝鮮朝 末期 市場 再現 = 821
      • 테마 드라머 開花 = 822
      • 劇中 싸움에 뛰어든 行人 = 822
      • 女탤런트 트로이카 = 823
      • 演藝·娛樂 = 824
      • 形式의 다양한 시도 = 824
      • 스타들의 産室 「쇼쇼쇼」 = 825
      • TV Show의 黃金期 雲峴宮 時代 = 826
      • 참신한 MC 育成 = 827
      • 짧았던 榮光 汝矣島 Studio = 828
      • 老人들의 거짓말 애교 = 828
      • 화려했던 各種행사 프로그램 = 829
      • 때 묻은 눈깔사탕 = 830
      • TBC 世界歌謠祭 = 831
      • 「뭔가 보여주겠다」 = 831
      • 外畵 = 832
      • 한국말 배우는 外國가수들 = 832
      • 國內 最初의 動畵 制作 = 833
      • 映畵部의 獨立 = 834
      • 劇場과 술집이 텅텅 비고 = 835
      • 世界的 旋風 「뿌리」放映 = 836
      • 「뿌리」 視聽反應 = 836
      • 통폐합까지의 마지막 2週 = 837
      • 各畵뒤에 스태프들 = 838
      • 傳統音樂·클래식 = 839
      • 古典·傳統音樂의 大衆化 = 839
      • Pre-recording 試圖한 「내마음의 노래」 = 839
      • 전통 國樂의 搖監 「TBC 향연」 = 841
      • 어린이 프로그램·만화영화 = 842
      • 樂團을 대신한 장구 = 842
      • 行事·캠페인 = 844
      • 文化暢達의 실천 = 844
      • 70年代의 비전 提示 = 844
      • 시청자의 참여를 誘導 = 847
      • 3P·3S의 指向 = 847
      • 제3편 放送報道 = 849
      • 제1장 少數精銳體制의 躍進 = 850
      • 公採와 스카웃으로 = 850
      • TV와 라디오의 報道統合 = 850
      • 黃金期 70年代 = 851
      • 제2장 多樣한 뉴스 形式의 開發 = 853
      • 放送開始는 正午뉴스로부터 = 853
      • 뉴스展望臺-「바르고 빠른 뉴스, 公正한 論評」 = 853
      • 「TBC아침의 綜合뉴스」 = 854
      • 「2時 뉴스의 現場」 = 854
      • 「뉴스氣象圖」 = 855
      • TV報道의 强化 = 856
      • 「TBC 夕刊」 = 857
      • 「報道特輯」 = 859
      • 새로운 뉴스 影像制作 = 859
      • 生活氣象의 嚆失 「日氣解說」 = 859
      • 제3장 速報와 特種 = 861
      • 追跡取材로 凱歌올린 辛今丹 父女相逢 = 861
      • 韓國記者賞에 빛나는 「李穗根사건」 특종 = 861
      • 單獨對面에 성공한 金嬉老사건 = 862
      • 요도號사건, 犯人과의 對話盜聽 = 863
      • 獨島상공에 日本 헬機 출현 = 864
      • 蘇聯에서의 첫 宇宙中繼 = 864
      • 제4장 時宜에 的中한 企劃報道 = 865
      • 첫 休戰線 踏査 「피어린 600里」 = 865
      • 70年代에 本格化된 다큐멘터리 = 865
      • 新裝備로 試圖된 稀貴鳥르포 = 865
      • 韓日古代海路踏査 = 866
      • 太平洋의 美軍 = 867
      • 韓國TV의 첫 아프리카赤道탐험 = 867
      • 入國査證없이 아프리카 上陸 = 867
      • 農村診斷 = 868
      • 世界의 石油戰略 打診 = 869
      • 食糧 特輯시리즈 = 870
      • 제5장 受信體制를 革新한 外信 = 871
      • 1人專擔에서 外信部까지 = 871
      • 外信畵面資料 供給 提携 = 871
      • 制作활동 = 872
      • 「그때 그 뉴스」 = 872
      • 海外特派員들의 活躍 = 873
      • 제6장 機動性을 발휘한 뉴스撮影 = 875
      • 카메라 걱정돼 잠 설치고 = 875
      • 激動하는 世界를 항한 카메라의 눈 = 876
      • 落石으로 죽을 고비 = 876
      • 제7장 言論自由 守護와 筆禍事件 = 878
      • 激動期의 筆禍事件 = 879
      • 제8장 스포츠中興에 앞장서다 = 881
      • RSB 개국과 스포츠 뉴스 = 881
      • 最初의 人工衛星 중계방송 = 882
      • 스포츠 보급과 발전을 主導 = 882
      • 도둑중계 = 882
      • 프로권투 育成 = 883
      • 설사有罪 = 883
      • 日本 TV보며 라디오 中繼 = 884
      • 코 납작해진 파나마 부통령 = 884
      • 名 解說家의 배출 = 886
      • 제4편 支援部署·專屬團體 = 887
      • 제1장 放送倫理·自律審議機構 = 888
      • 제2장 開發의 旗手 放送技術 = 890
      • 라디오 開局準備 = 890
      • 韓國최초의 VTR = 891
      • 機材의 補强 = 892
      • FM引受와 최초의 스테레오 방송 = 892
      • 無에서 出發한 東洋TV = 893
      • 施設과 機材의 革新 = 893
      • 스피드건 비디오 디스플레이 開發 = 893
      • 宇宙中繼와 컬러時代의 先導 = 895
      • 新技術開發과 人材育成 = 895
      • 東洋放送 기술의 업적 = 895
      • 제3장 遠大한 構想-汝矣島 스튜디오 = 897
      • 綜合매스컴센터 計劃變更 = 897
      • 機材設置와 工事의 竝行 = 898
      • 最新, 最高級, 最大의 設備 = 899
      • 放送하면서 移徙 = 899
      • 제4장 支援部署 專屬團體 = 901
      • 아나운서室 = 901
      • 放送資料室 = 902
      • TV美術室 = 904
      • 影像制作部 = 905
      • 專屬團體들 = 906
      • 專屬탤런트 = 906
      • 무용단·합창단·악단 기타 = 907
      • 專屬聲優 = 909
      • 제5장 誠實한 開拓精神 放送營業·廣告 = 912
      • 事前 販賣活動의 成功 = 912
      • TV時代의 라디오 廣告 = 913
      • 急成長을 기록한 텔리비젼 販賣 = 913
      • 先導的 販促활동과 일관된 高度成長 = 913
      • 廣告戰略 특별강연회 = 914
      • 廣告戰略 特別溝演會 開催일람 = 914
      • 未踏의 FM市場 개척 = 915
      • 廣告規制와 打開策 = 915
      • 廣告主 찾다가 交通事故 = 915
      • CM表現技法의 先驅 = 917
      • 原始상태에 머물던 라디오 CM = 917
      • 최초의 스테레오 CM = 917
      • CM 生放送 = 917
      • 生放送 CM에서 VTR CM까지 = 918
      • 他律的 規制와 새로운 摸索 = 918
      • "오리에게 運動靴를 신겨라" = 918
      • 우수 CM 콘테스트 = 919
      • 제5편 그 위대한 17年의 終章 = 921
      • 제1장 放送協會 決議 = 922
      • 제2장 나래접은 不死鳥-「TBC는 永遠하리」 = 924
      • 「끝까지 毅然하라」 = 924
      • 프로그램 마무리 짓기 = 924
      • 우울한 祝祭-第2回 TBC 세계가요제 = 926
      • 告別特輯放送 = 926
      • 植字手의 고민 = 926
      • 「告別 TBC 夕刊」 = 928
      • 東洋라디오 마지막 말 = 930
      • 마지막으로 남긴 말들 = 932
      • 에필로그 = 932
      • 제3부 附錄 = 935
      • 제1편 人事 = 949
      • 제2편 資料 = 1029
      • 제3편 放送 = 1093
      • 제4편 年表 = 1103
      • 제5편 圖表 = 11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