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평화문제와 문화영역에서의 실천연구: 유럽연합의 ‘문화 간 대화’ 정책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42(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 연구는 평화문화 담론을 확장하는 데 있어 문화가 기여하는 바를 고찰한다. 레더라크(J.P. Lederach)의 평화개념과 갈등조정기제로서 문화의 연결지점을 분석하고, 유럽에서 평화논의가 문화영역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담론과 정책사례로 살펴봄으로써 평화문화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했다. 레더라크는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갈등이 변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갈등에 대해 즉각적이고 대립적 각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잠재된 갈등 집단들의 사회적 관계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평화세우기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유럽에서도 문화가 평화를 위한 가교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평화문화를 제도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관계 설정을 모색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안나린드재단(ALF)의 ‘문화 간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토론과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지중해 지역의 평화담론 확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불평등과 구조적 폭력에 대항하는 평화의 문화를 위해서는 비판을 넘어서는 인식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문화 접근법은 상상력과 감정을 이입하여 특정 상황에서 합리적 판단을 유인하는 다양한 행위의 방안들로 구성되며 실제적 대안을 창의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 간 소통은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성찰하고 공감과 비폭력의 윤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중적 차원에서 평화의 가치를 확산하며 민주주의 토대를 구축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 접근법을 통한 평화세우기는 위계관계에서의 일방적 소통이 아닌 모든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발화할 때 평화의 지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기본적인 경제적·사회적 조건들이 충족되고 시민발화의 자유가 전제되어야 한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s how culture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discourse on the culture of peace. In doing so, this paper theoretically analyzes J. P. Lederach’s concept of peace and the points where culture acts as a mechanism for mediating conflict based on existing discourses and policies.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llenges and tasks of peace culture by examining how the peace discourse is reflected in European cultural sphe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conflicts could change through moral imagination Lederach believed peace-building could be achieved by positively reconstructing the social relationships among potential conflict groups rather than voicing immediate opposition over conflict issues. In Europe, efforts are bing made to institutionalize the culture of peace and reconstruct relationships so that culture could play a bridge to peace. The European Union(EU)’s debate education and cultural art programs based on the Anna Lindh Foundation’s ‘inter-cultural dialogue’ suggest expanding the Mediterranean region’s peace discourse. Fostering a culture of peace against inequality and structural violence requires a shift in perception that goes beyond the act of criticism. This cultural approach consists of various action plans that could induce rational judgement in specific situations by engaging imagination and emotions and stimulating awareness and sentiments to creatively carry out practical alternative solution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sed on mutual respect could lead to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the cultivation of ethical values such as empathy and non-violence. At the civil society leve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ld disseminate the value of peace and operate as a mechanism for building the foundation for democracy. However, peace-building through cultural approaches could only contribute to the continuity of peace when all citizens are given autonomous voices instead of unilateral communication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lso, it should be premised of the guarantee of primary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