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문학(humanitas)의 학적 체계화 시도와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 Ars and Humanitas in Cicer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1-127(37쪽)
제공처
이 논문은 서양에서 인문학이 하나의 학제적 학문으로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를 탐구하는 글이다. 이와 관련해서 인문학의 기초 학문이라고 부르는 문법학, 논리학, 수사학 등에 대한 연구는 이미 독일의 고전학자 푸어만(M. Fuhrmann)에 의해서 검토되었고, 실용 학문이라 할 수 있는 군사학, 토목학, 의학 등에 대해서도 독일의 마이스너(Meissner)에 의해서 검증되었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이 연구를 시도했던 이유는, 한편으로 푸어만이나 마이스너가 검토하지 않았던 학문 분야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 독일의 학자들의 연구에는 ars 개념이 처음에 로마에 어떤 논의 과정을 거쳐서 정착하게 되었는지, 특히 ars 개념의 로마적 수용에 있어서 핵심적인 텍스트인 키케로의 『연설가에 대하여』에 대한 분석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ars의 체계 형성에 대한 분석과 그 사례로 법학의 경우를 예증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를 통해서 키케로의 인문학(humanitas)과 바로의 자유교양학문이 사이에 있는 공통성과 차이점이 있다는 점을 새로이 밝혔다. 공통성은 키케로의 인문학에 속하는 분과 학문들의 학적 체계가 소위 바로가 시도했던 자유 교양 학문의 학문 체계가 ars 라는 공동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고, 차이는 이 양자가 지향하는 목적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이다. 전자는 인간을 기르는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면, 후자는 진리와 새로운 기술의 확장과 획득에 무게를 두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 이념과 이를 위한 실천 과제 설정을 함에 있어서 많은 추가 담론을 파생시킬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논문에서 나는 근본적으로, 문법학, 수사학, 논리학이 학교에서 가르쳐야 하는 교육 내용이라할 때에, 이 지식들이 대개는 도구적 혹은 기능적 성격이 강한 앎이지, “인간에 대한 이해”라는 인간 교육의 목적 내용들로 구성된 학문 체계는 아니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키케로는 지식의 확장의 길로 향해 나갔던 바로 의 길을 걷지 않고 저술과 번역의 일에 매진했다. 로마에서 실제로 읽힐만한 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키케로와 바로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하겠다. 아울러 이 글에서 나는, 책 읽기가 서구의 인문 교육의 중요한 방법 가운데에 하나였음에도 문법학, 논리학, 수사학과 동급의 위치에서 책 읽기에 대해서도 다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책 읽기가 로마에서 교육의 중요한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된 과정에 대한 연구를 새로이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소위 “고전(classica)”읽기 교육과 직결되는 문제인데, 아마도 로마의 교육의 핵심교과였던 말하기 교육보다 읽기 교육이 중요한 자리에 놓이기 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피는 일과도 연결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더보기On the issue of origin and development of artes liberales in ancient Greek and Rome, M. Fuhrmann has published a distinguished book in the year of 1960: Das systematische Lehrbuch-Ein Beitrag zur Geschichte der Wissenschaft in der Antike. In this book, Fuhrmann has suggested that liberal arts had been systematized as a kind of science in late roman republic times. His suggestion is now a common sense among classical scholars. Methodologically seen, Furhmann’s approach is based on the genus-concept and dihaeresis. However, he did not mention the concept of ars as a principle of science. In my view, the idea of ars should be regarded as an essential idea for the systematizing of the liberal arts. In this essay, thus, I have offered some details on the question of how Cicero did use the idea of ars for the building and systematizing of liberal arts.
On related issue of whether Cicero had an intention to build studia humanitatis as science, I have argued that Cicero had intention to construct the system for a single art based on the help of the concept of ars because it is based on which all kinds of bonae artes are organized and systematized as science. Based on this, I have compared Cicero’s studia humanitatis with Varro’s artes liberales. The comparison between them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Cicero and Varro, even though the system of a single art of Varro’s is the same with that of Cicero. The difference lies in the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ars as science. With humanitas program, Cicero tried to offer a human educational system, while Varro concentrated on providing the way by which the Latin knowledge and Roman science could be extended more widely and deeply. This is exposed clearly in the fact that Varro is the truly father of western encyclopedia tradition. On the contrary, Cicero criticized strongly the pedantic teaching ways of strict system of ars and the specifying and separating the sciences into a single art. For this, Cicero provided the idea of humanitas which delineates and embraces bonae artes as a whole. Cicero was truly the father of studia humanitatis in Latin educational tradi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