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가범죄와 손해배상의 소멸시효: 기산점의 기준과 시효완성의 효력을 중심으로 = State Crimes and Extinctive Prescription of Damag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7-156(40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interpreting “time to be able to exercise rights” in Article 166, Paragraph 1 of the Korean Civil Code, contracts and torts must be treated differently. In particular, the nature of the victim, the status of the perpetrator, the reason for retribution, the possibility of lawsuit, and force majeure based on the victim's perception, or the perceptibil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starting point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torts. When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necessary to judge from the standpoint of an average person whether the right holder can be expected to exercise the right.
In the case of state crime, the need for protection of the right holder is much greater, so the possibility of exercising the right should be judged from the victim's point of view.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ti-human right crimes and state violence crimes such as slaughter or tortu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legal system capable of relieving rights at any time without requiring the time limit for the relief of victims' rights. In regard to it, prescription exclusion, the extension of the prescription period through prescription suspension or renewal can be reviewed.
If the determina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limitation period is based on subjective factors such as the obligee’s knowledge, it may impair legal stability. The legal uncertainty caused by subjective factors can be supplemented by rational adjustment of the short-term limitation period and by reduction of the long-term limitation period. In other words, the balance of interest between the obligee and the obligor can be sought through the suspension, the extension of limitation period and the diminution of the limitation period. Furthermore, legislation is needed to exclude extinctive prescription or to introduce the longest period of 50 years for rights to claim damages caused by state crimes.
As a result of the completion of the limitation period, the right does not extinguish, but the obligor shall have the opportunity to refuse to pay or fulfill his duty through litigation. Considering the balance of interest, and that the prescription system apply on both the type of damages due to default or general torts and the type of torts such as personal injury, child abuse or state crimes, it is appropriate to adopt the idea that the system does not make rights cease to exist, but guarantee a procedural defense to obligors.
민법 제166조 제1항 중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를 판단할 때 계약과 불법행위는 달리 취급되어야 한다. 특히 불법행위에서 기산점을 판단할 때 피해자의 인식, 또는 인식가능성을 중심으로 침해된 법익과 피해자의 특성, 가해자의 지위나 귀책사유, 소송 가능성, 불가항력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에는 권리자가 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지를 평균인의 입장에서 판단하여야 한다. 다만, 국가범죄의 경우 권리자보호 필요성이 훨씬 크므로 피해자의 입장에서 권리행사 기대가능성이 판단되어야 한다. 특히 학살이나 고문과 같은 반인권적인 극악한 국가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권리구제에 필요한 시효기간에 제한을 둘 필요가 없이 언제든지 권리구제가 가능한 법제의 정비가 필요하다. 그러한 방법으로 시효배제, 시효정지나 갱신을 통한 시효기간의 연장제도들을 검토할 수 있다.
기산점결정을 채권자의 인식 등 주관적 요소를 기준으로 할 경우, 법적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주관주의적 요소들로 인하여 초래되는 법적 불확실성은 단기소멸시효기간의 합리적 조정과 장기의 소멸시효기간의 단축에 의하여 보완될 수 있다. 즉, 소멸시효기간의 단축과 동시에 시효정지, 시효기간의 연장제도 등을 통하여 권리자와 의무자의 이익균형을 꾀할 수 있다. 다만, 국가범죄로 인한 손해배상의 기산점결정에 있어서는 입법론상 시효를 배제하거나 50년 정도의 최장기간이 보장되어야 한다.
소멸시효완성의 효력으로서 권리가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의무자는 소송을 통하여 급부거절 또는 의무이행의 항변 기회를 갖는다. 일반적인 채권이나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유형과 인신손해나 아동학대, 국가범죄와 같은 불법행위 유형에 관한 권리구제를 모두 포괄하면서 이익균형을 고려한다면 권리는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의무자에게 절차상의 항변을 보장한다는 사고에 기초하는 것이 시효제도의 본질에 적합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0.9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5 | 1.186 | 0.8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