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이승만 정권기 3.1운동의 정치적 소환과 경합 = Political Recall and Competi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during Syngman Rhee Regim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02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7-388(32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Sinc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outh Korea, the March 1st Movement was recalled as the ground supporting ‘the Re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or more accurately, ‘Marching North Campaign’ along with the confirm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Like the people fough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t the time of the March 1st Movement, now, it may be a suggestion for fighting against ‘North Korean Regime’ and ‘the Communist Camp’ to regain the lost territory and rescue Korean people. As Japan’s Plan for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o North Korea was known in early 1959, National Day March 1st of 1959 right after that became the stage of a large-scale ‘anti-Japanese’ campaign’ unlike before. So was National Day March 1st of 1960, the following yea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d-1950s, the March 1st Movement began being combined with ‘democracy,’ too. The combination of March 1st Movement with democracy was natural. This is becaus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orn as a result of the March 1st Movement adopted ‘Democratic Republicanism,’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unded in 1948, too, declared ‘Democratic Republic’ succeeding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legal trad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s the dictatorship of the Syngman Rhee Regime and Liberal Party became severer,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s against that, the March 1st Movement was recalled as an important source of legitimacy. the competition between the memory of the March 1st Movement recalled for the dominant discourses of the Syngman Rhee Regime, ‘Anti-communism and Anti-Japanese’ Campaigns and the memory of the March 1st Movement recalled in the process of asking for ‘democracy’ against the dictatorship of the Syngman Rhee Regime appeared obvious, having ‘the March 15th Election’ in 1960.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남한에서 3.1운동은 대한민국 정부의 정통성 확인과 더불어 ‘남북통일’, 더 정확히는 ‘북진통일론’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소환되었다. 3.1운동 당시 일제에 맞서 투쟁했듯이 이제는 실지(失地)를 회복하고 동포를 구출하기 위해 ‘북한정권’과 ‘공산진영’에 맞서 투쟁하자는 것이었다. 여기에 1959년 초 일본의 북한으로의 재일한인송환 계획이 알려지자 곧이어 맞이한 1959년의 3.1절은 이전과 달리 대대적인 ‘반일’ 캠페인의 무대가 되었다. 이는 이듬해인 1960년 3.1절도 마찬가지였다.
반면 1950년대 중반 이후부터 3.1운동은 ‘민주주의’와도 강하게 결합하기 시작했다. 3.1운동과 민주주의의 결합은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3.1운동의 결과 탄생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민주공화제’를 채택했고, 1948년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 역시 3.1운동과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여 ‘민주공화국’을 선포했기 때문이다. 이승만 정권과 자유당의 독재가 심화될수록 이에 맞선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3.1운동이 중요한 정당성의 원천으로 소환되었다. 또한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에 맞서 싸웠던 3.1운동의 강렬한 저항정신은 이제 이승만 독재의 억압에 대항하는 민주화운동의 원동력으로 되살아났다. 그리고 이승만 정권의 지배담론인 ‘반공·반일’ 캠페인을 위해 소환된 3.1운동의 기억과,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소환된 3.1운동의 기억 사이의 경합은, 1960년 ‘3.15선거’를 앞두고 극명하게 드러났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6 | 2.615 | 0.5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