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청년들의 소득불평등에 대한 공정성 인식 - 불평등 관계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 Fairness Perception regarding Income Inequality among Young People -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Unequal Relationships
저자
박현아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8-313(3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regarding the income gap and distributive justice between social groups, its types and determinants,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Existing studies on fairness perception overlooked that individual perceptions of fairness may not be consis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inequality relationship, and did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where fairness controversy arose around specific inequality. This study defines fairness perception as an evalu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actual inequality and deals with individual evaluations of inequality related to educational background, labor market, gender, generation, and class origin. To this end, a latent class analysis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young people aged 20 to 34 in 2021’s “Investigation of Koreans’ Perception of Generation and Society as a whole.” As a result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Unfair-inequality type’, ‘Fair-inequality type’, ‘Education-discrimination type’, and ‘Education-antidiscrimination type’ and in particular, the heterogeneity of the perception of fairness among young people was prominent in inequality related to educational background.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was heterogeneous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and social position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inequality due to attained status, and political beliefs and attitudes had a huge effect on inequality caused by ascribed status. The type of fairness perception of young people affected their welfare attitude. ‘Fair-inequality type’, ‘Educationdiscrimination type’ showed more negative welfare attitudes than ‘Unfairinequality type’ and ‘Education-anti-discrimination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clique culture in academia that has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in Korean society, and that it may continue to affect the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of young people in the future.
더보기이 연구는 청년층의 사회집단 간 소득격차와 분배정의에 관한 공정성 인식의 다차원성과 그것의 유형 및 결정요인들, 그리고 복지태도와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밝히려는목적을 갖는다. 공정성 인식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개인의 공정성 인식이 불평등 관계의종류에 따라 일관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간과해, 특정 불평등을 중심으로 공정성 논란이불거진 한국 사회의 맥락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공정성 인식을 실재하는불평등에 대한 정당성 평가로 정의하고, 학력 및 학벌, 노동시장, 젠더, 세대, 계층 불평등에 대한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을 사회집단 쌍 간의 대립구도를 통해 분석했다. 이를위해 2021년 「한국인들의 세대와 사회 전반에 대한 인식 조사」 자료의 만 20~34세 청년 표본을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잠재집단분석결과,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은 ‘불평등 비판형’과 ‘불평등 옹호형’, ‘반-학벌주의’ 유형과 ‘학벌주의’ 유형의 네 가지 집단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으며, 특히 학벌과 관련된 불평등에서 청년층 공정성 인식의 이질성이 두드러졌다.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은 성별과 계층에 따라 이질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성취 지위에 따른 불평등에서는 사회적 위치가, 귀속 지위에 따른 불평등에서는 정치적 믿음 및 태도가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청년층의공정성 인식 유형은 청년층의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쳐, ‘학벌주의’ 유형과 ‘불평등 옹호형’이 ‘불평등 비판형’과 ‘반-학벌주의’ 유형보다 부정적인 복지태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이 한국 사회에서 오랜 시간 동안 누적되어 온 학벌주의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으며, 향후 청년층의 정치사회적 태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5-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7 | 1.37 | 1.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8 | 1.56 | 1.768 | 0.4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