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조선시대 공주 마곡사(麻谷寺)의 사세(寺勢)와 국가적 위상 변화 = The Development and Changing National Status of Magoksa Temple in Gongju during the Joseon Dynasty
저자
김선기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195(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마곡사사적』의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조선시대 마곡사의 국가적 위상 변화 과정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마곡사사적』의 조선시대 기록은 세조가 영산전을 사액하고 왕패를 내려 잡역을 면제하였다는 국왕과의 인연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세조실록』을 비교·검토한 결과 해당 기록은 후대에 윤색된 내용으로 밝혀졌다. 실제 당대 마곡사는 군현 내 주요 사찰의 위상을 지닌 사찰이었다.
전란의 영향으로 퇴락하였던 마곡사는 1650년 공산현감 이태연의 지원으로 중창되었다. 이후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까지 공주 수령의 지원과 승도의 운영 속에서 안정적으로 존속하였다. 1782년 마곡사 화재 이후 19세기 중반까지는 충청감사의 재정적 지원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수령과 감사의 마곡사 지원은 종이 공납을 담당하는 사찰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현실적 이유가 수반된 것이었다. 또한 지원 주체가 수령에서 감사로 격상되었다는 것은 마곡사가 18세기 후반 이후 도 단위 주요 사찰의 위상을 확보하였음을 보여준다.
1855년 마곡사는 조정의 중창 지원을 계기로 국가와의 관계를 형성하였다. 『마곡사사적』에는 18세기 말 순조와의 인연을 제시하였으나 해당 기록도 윤색된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그렇지만 사적기의 세조·순조와의 관련 기록은 마곡사가 국가 차원의 위상을 확보하는 데에 주요한 근거로 작용하였다. 1857년에는 내수사 속사로 지정되어 사찰을 보호하는 완문이 발급됨으로써 국가의 마곡사 보호가 공식화되었다. 이어서 마곡사에 승통과 총섭이 임명되었다. 1891년에는 국왕 위축 원당으로 지정되며 국가 차원의 위상이 더욱 공고해졌다. 따라서 마곡사는 조선시대에 걸쳐 그 위상이 군현 단위 주요 사찰에서 국가 차원 주요 사찰로 상승한 사례로 주목된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Magoksa Sajeok to empirically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Magoksa Temple’s national statu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Joseon-period section of the Magoksa Sajeok opens with a narrative of King Sejo bestowing calligraphy on Yeongsanjeon Hall, establishing a royal association with the temple. However, a comparative review with the Sillok reveals that this account was embellished in later periods. In reality, Magoksa initially held the position of a major local temple within its district.
After experiencing decline due to wartime devastation, Magoksa Temple was rebuilt in 1650 with support from the local magistrate. From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y, the temple was maintained through sustained support from local officials and management by the monastic community. Following a major fire in 1782,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 provincial governor facilitated its restoration. The transition in patronage from local magistrates to provincial governors reflects Magoksa’s elevation to the status of a major provincial temple in the late 18th century.
In 1855, Magoksa Temple began forming an official relationship with the state through government-supported renovations. Although the Magoksa Sajeok claims a connection with King Sunjo in the late 18th century, this account is also shown to be embellished. In 1857, Magoksa was designated as a temple under the jurisdiction of Naesusa, and the issuance of a wanmun formalized the state’s protection of the temple. In 1891, it was recognized as a royal prayer temple for the king, further solidifying its national status. Thus, Magoksa exemplifies the rise of a temple from major local institution to one of national importance over the course of the Joseon Dynas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