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아프리카 경제통합운동의 현황과 전망 : 지역적 국제기구의 역할과 활동을 중심으로 = Achivements, Problems and Prospects of Africa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Movement
저자
박기갑 (한림대학교 법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5
작성언어
Korean
KDC
309.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9-116(38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논문은 탈식민지화 이후인 1960년대부터 아프리카 국가들이 그들 상호간에 형성한 각종 지역적 경제통합움직임을 개관 및 평가하고, 장래 새로운 아프리카 전체 차원의 경제통합움직임을 전망하기 위해 쓰여졌다. 기존의 아프리카 지역적 경제통합움직임에 대해서는 북부, 서부, 중부, 동부 및 남부지역등 5개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각 움직임의 초기에는 모든 회원국들이 평등한 지위에서 있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상대적 우월요소를 가진 중심국이 출현했다는 점, 2) 다양한 경제통합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역내 교역등 그 결과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미흡하다는 점, 그리고 3) 동일한 지역에 여러개의 지역적 경제통합움직임이 병존함으로서 불합리한 점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등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장래 새로운 아프리카 경제통합움직임으로서 1991년 OAU에 의해 그 모습을 드러낸 AEC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아프리카 전체로서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점진적인 발전전략을 구사하며, 2) 구체적인 계획표를 가진 기존 지역적 경제통합의 상위 기구로서의 존재를 예정하고 있어 주목을 끈다. 결론부분에서는 아프리카의 지역적 경제통합움직임의 부진한 이유분석과 그를 극복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참여하는 국가의 정치적 적극성 여부와 적절한 통합전략의 수립을 지적하였다.
After independence, African States entered into a number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arrangements inter se. The problem of assessing the value of existing arrangements for economic integration in Africa is difficult. This article examines, first of all, achivements and problems of existing Africa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movement by division of Africa into five (5) regions namely North Africa, West Africa, Central Africa, East Africa and southern Africa. And we found out that:
1) certain States play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each movement.
2) even though the trend towards economic integration is common today on the African scene, the record of African regional integration has not been outstandingly successful.
3) the polarisation of movements in the same region seems to create negative effects.
Secondly, this article tries to foresee the prospect of new African Economic Community(AEC) established in 1991 by OAU. And we found out its principal characteristics:
1) The Community shall be established gradually in order to increase economic self-reliance and promote and endogenous and self-sustained development of Africa.
2) The Community shall be established in six (6) stages following the time0table and justify a larger and fuller economic integration of Africa in future.
In the part of General Conclusion, we consider what are reasons for the negative experience with regional cooperation in Africa and what is realistically suggested for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regional cooperation to overcoming the African crisis. And those are: set out the proper strategy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planning; involve any workable integration programme; emphasises the need to promote a fair and equitable distribution of benefits, etc. No doubt the really crucial factors in the progress of integration are the political will to integrate and a willingness to compromis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