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독교 예배 음악의 위상 정립을 위한 성서적 기초놓기 = Establishing the Biblical Foundations for the Status of Christian Worship Music
저자
윤영돈 (인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18(34쪽)
제공처
본 연구는 기독교 예배학에서 음악의 위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으며, 신앙과 예술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예배 음악은 구약 유대교에서도, 신약 기독교에서도 예배의 중요한 요소였다. 현대 교회의 예배 음악이 다양한 음악적 스타일과 악기를 활용하여 대중성을 확보하면서도, 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예배 형식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도전적인 과제이다. 본 연구의 쟁점은 기독교 예배학의 역사에서 초기 기독교로부터 시작하여 중세 가톨릭을 거쳐, 근대 개신교에 이르기까지 구약 성서에 기반한 유대교와 신약 성서에 기반한 기독교 예배 음악의 불연속성의 원인에 있다. 연구자는 구약과 신약 간 예배 음악의 전통이 지닌 불연속성의 문제를 ‘헬라적 사유의 강조로 인한 히브리적 사유의 단절’에서 규명하였다. 서구 기독교 사상에 지배적이었던 헬레니즘적 사유는 이성과 감성, 영혼과 육체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영혼의 우위를 강조함으로써 신체성과 영혼의 긴밀한 연관성 및 신체적이고 음악적인 표현을 강조했던 히브리적 사유를 제한하였고, 이로 인해 구약에서 신약으로의 기독교 예배 음악의 불연속성을 심화시켰다. 연구자는 이러한 불연속성의 문제를 해소하고 구약 성서로부터 신약 성서에 이르는 기독교 예배 음악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배 음악 관련 신약 성서 어휘의 구약적 뿌리를 탐구하였다. 신약 성서에 등장하는 예배 음악 관련 헬라어(아이네오, 프살로/프살모스, 힘노스, 아도/오데, 유로게오)를, 70인역 구약 성서를 매개로, 구약 성서 히브리어(할랄, 짜마르/미쯔모르, 테힐라, 쉬르, 바라크)와 결부짓고 그 용례를 살펴봄으로써 헬라어 찬양 관련 어휘의 의미를 풍부하게 끌어낼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제2성전기의 예배 음악을 다루고 있는 역대기서의 “노래하는 자”의 역할과 위상을 중심으로 현대 교회의 예배 음악의 방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연구자는 구약의 제의적 찬양을 기록한 역대기에 주목하여 현대 교회의 예배 음악이 성례적 경험과 하나님의 임재를 촉진할 수 있다는 성서적 기초를 제안하였다. 예배 음악의 성서적 기반을 확립하고 구약과 신약의 예배 음악의 전통이 단절되지 않았음을 논증한 본 연구는 현대 교회의 예배 음악의 성서적 정당성을 일정 부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This study, which started from an interest in the role of christian worship music within Christian liturgical studies, supports the perspective that faith and art are closely interrelated. Worship music was an indispensable component in both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It is a challenging task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raditional views and new forms of worship while securing popularity in contemporary churches. The problematic issues of this study lie in finding out the causes of discontinuity in worship music between Judaism rooted in the Old Testament and Christianity based upon the New Testament, by trac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from early Christianity through medieval Catholicism to modern Protestantism in the context of Christian liturgical studies. This researcher argued that the cause of musical disconnection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 lies in ‘the severance of Hebraic thought due to an over-emphasis on Hellenic thought.’ Hellenistic thought, which dominated Western Christianity, deepened the discontinuity by dualizing reason and emotion, soul and body, while placing emphasis on the superiority of the soul. To solve the problem of discontinuity and secure continuity in Christian worship music from the Old to the New Testament, this researcher traced the Old Testament roots of New Testament worship music vocabulary. By connecting New Testament Greek terms related to worship music (aineō, psallō/psalmos, hymnos, adō/ōdē, eulogeō) with their Hebrew counterparts (halal, zāmar/mizmōr, tehillah, shîr, bārak), through the lens of the Septuagint, and investigating their usage of the vocabulary, we could extract rich meanings from the Greek vocabulary of praise. Furthermore, by putting focus on the role and status of “singers” in the Chronicles, which handles worship music of Second Temple period,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directional considerations of contemporary church worship music. This researcher took particular note of Chronicles’ documentation of Old Testament sacrificial praise, and proposed a biblical foundation for how contemporary church worship music can boost sacramental experience and divine presence. This study, which established the biblical foundation of worship music and argued that the traditions of worship music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were not cut off, is expected to provide some biblical justification for worship music in modern churche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