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Biological Psychiatry의 최근 동향 : 정서장애의 내분비 계통을 중심으로 = Some Recent Advances in The Biological Psychiatry
저자
이범상 (Department of Psychiatry, Harvard Medical School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4
작성언어
Korean
KDC
513.8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49(7쪽)
제공처
소장기관
과거 10여년 동안에 이룩한 미국내의 정신 신경 내분비학의 발전상과 현황을 논문자료 검토를 통하여 서술하였다. 저자는 특히 HPA를 기반으로 한 DST임상 검사와 그 임상적 적용도와 가치에 관하여 상세한 기술을 시도하였다.
현재 DST는 처음 발표 될때와는 달리 내인성 우울증을 확진 시킬 수 없으며 단지 우울증을 진단하기 애매한 환자군과 감별진단이 극도로 어려운 경우에 내인성 우울증의 진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DST 검사로서는 오후 11시에 1mg dexamethasone을 투여하고 익일 오후 4시 cortisol 측정만을 흔히 사용한다. cortisol량이 5μg/dl 이하이면 이것을 이상반응(nonsuppression 또는 positive) 이라 규정 짓는다. 또한 DST의 검사 특이도는 처음 약속처럼 높지 못하여 54% 내지 94%이며 그 감도는 28% 내지 32%이다.
TRH에 의한 TSH반응의 검사 특히도는 완전하지 못하여 다른 질환에서도 둔마(blunting)를 보이며 그 감도는 약 25%정도이며 이것은 특성 표지로서 간주될 수 있다.
내인성 우울증 환자군에서 성장홀몬 반응에서 이상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과거 10년 동안에 이에 대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상 열거한 거처럼 현대 정신신경 내분비학 연구결과는 아직 일관성을 보이지 못있고, 많은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상태이나 앞으로의 끊임없는 연구활동에 의해 확증적인 연구업적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며, DST, TSH반응, 성장홀몬 이상반응과 다른 신경내분비의 종합검사를 사용하여 내인성 우울증의 감별진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됨으로서 정신과 임상진단의 애매한 허점에 과학적 객관적 검사(objective test)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과거 10년동안의 정신신경 내분비학의 발전은 의미가 깊다고 말할 수 있다.
The author, in describing some recent advandes in psychoneuroendocrinology, centers on the recent discovery of the Dexamethason Suppression Test(DST), the TSH respones to TRH, and the Gro-wth Hormone(GH) rdsponse in endogenous depre-ssed patients. Lately, it has become certain that the recent advances in neuroendocrinology have encouraged many exciting researches in psychiatry and mor accurate data will probably be available in the near future to further facilitate the corect diagnosis of depression.
Althiugh the DST, TSH blunting response to TRH and the GH response in depression do not faciliate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depression, they are helpful in differentiating depression from catatonia. Sometimes, the clinical differentiation from catatonia is extremely difficult.
The sensitivity of DST is approximately 28% to 32% and its specificity has a large variety from 54% to 94%. The TSH blunting response to TRH is not specific to depression and its sensitivity is about 25% as a trait marke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