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내부 감사인이 실시하는 전산감사가 감사 품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Internal Audit Using Computer Assisted Audit Technique on Audit Qua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5.9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7-186(30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In the wake of the expansion of digital environment, most of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introduce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to depend on digital information for not only accounting and financial information but also routine businesses and in practical business affairs the audit business performance using an information system program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audit operation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is rising as a major issue.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 assisted audit technology restrictively used only in case of the intermediary audit of big accounting firms is in the trend to be expanded to be applied to the audit area for the business treatment courses of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big enterprises.
Accordingly, due to the recent computerization of most information in which is provided as audit data, the audit using computer assisted audit technique is practically very important.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practically verified the difference awareness of the audit quality (audit period, number of financial measure cases, financial measure amount) from the internal audit performance using computer assisted audit technique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in case of the performance of internal computer assisted audit, the internal auditor confirms that the audit quality recognized after audit performance has difference and according to the period length of computer assisted audit performance experience (based on 1 year),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easure cases and financial measure amount among the substitutes of the audit quality show difference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longer the information audit performance years are, the more the differences of the audit quality occur.cehis means that when the computer assisted audit is performed in the internal audit and the performance years become longer, the audit quality is improved.
Second, as a result of a study on the degree of the computer assisted audit support, it proves that when the support level of a chief executive officer(CEO) or a chief audit executive(CAE) becomes higher, the audit quality becomes improved and as the education hours of the computer assisted audit become longer, the differences in the audit quality become less. Furthermore, the internal auditor is not aware of the audit quality differences due to the education performance of the external computer assisted audit and in case of receipt of the internal computer assisted education, the differences of the audit quality were recognized much higher. This mean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mputer assisted audi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pport degree of the computer assisted audit and due to its performance, more conformation period is required to illegality or error more derived in quality than a common audit as much as them.
Third, it is confirmed that when a professional auditor is hired inside,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easure cases and financial measure amount among the substitutes of the audit quality after audit performance are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reinforcement of the internal auditor's professionalism is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computer assisted audit.
Fourth, the audit performance to IT sources, information security and IT policy does not influence the awareness of the audit quality of a common internal audit and the auditor performing an audit to information system is confirmed as less recognizing the differences in the audit quality by the performance of the computer assisted audit than one who does not perform an audit to IT resources.
Fifth, it is confirmed that the approval of auditors(Audit Committee) for the selection of external auditors does not influence the audit quality and in order to perform an audit for maintenance of external auditor's independence,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approval of an audit department as essential in the course of external auditor selection and in case of public institutions,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get approval of the audit department.
Sixth, as a result of the study on the cooperative level of audited departments as well as the necessity of computer assisted audit, it is confirmed that as the necessity of a specialized audit increases in the course of the audit operation, the audit quality improves and the cooperative level of the audited persons for the performance of computer assisted audit does not influence the audit quality. It means that as computerization of the assisted audit information produced by an enterprise is reinforced, the internal auditor strongly recognizes the necessity of computer assisted audit technique.
디지털 환경의 확산에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이 도입되어 회계 및 재무정보 뿐만 아니라 일상 업무 역시 디지털 정보에 의존하고 있으며, 실무에서는 정보기술에 기초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감사업무 수행에 있어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감사 업무 수행이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과거 대형회계법인의 중간감사 시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된 전산감사 기법이 대기업 및 공공기관의 업무처리 과정에 대한 감사 영역으로 확대 적용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오늘날 대부분의 정보가 전산화 되어 감사 자료로 제공되고 있는 환경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감사가 현실적으로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전산감사 기법을 이용한 내부감사의 실시가 감사품질(감사기간, 행‧재정적 조치건수, 재정적 조치금액) 차이 인지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전산감사를 실시하는 경우 내부 감사인은 감사실시 후 인지하는 감사품질에 차이가 있고 전산감사 수행경험 장단(1년 기준)에 따라서는 감사품질의 대용치 중 행‧재정적 조치건수와 재정적 조치금액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산감사 수행연수가 길어질수록 감사품질에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내부감사에서 전산감사 실시하고 전산감사 수행연수가 늘어나면 감사품질이 좋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전산감사 지원 정도에 대한 연구결과, 최고경영층(CEO, 감사책임자)의 지원수준이 높아지면 감사품질은 향상되며, 전산감사 교육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사품질에 차이가 줄어듦을 입증하였다. 또한, 내부 감사인은 외부 전산감사 교육 실시여부에 따라서는 감사품질 차이를 인지하고 있지 못하며, 내부 전산감사 교육을 받은 경우 감사품질 차이를 더 높게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산감사 실시는 전산감사 지원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남을 의미하며, 전산감사의 실시로 인하여 일반감사에 비해 양적으로 많이 도출된 부정 혹은 오류에 대하여서는 그만큼 더 많은 확정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전문 감사인 보유하면, 감사실시 후 감사품질의 대용치 중 행‧재정적 조치건수와 재정적 조치금액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산감사 실시를 위하여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을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넷째, IT자원, 정보보안, IT정책 등에 감사 실시 여부와는 일반 내부감사의 감사품질 인지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T 자원 등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는 감사인은 전산감사를 실시하지 않는 감사인에 비해 전산감사 실시에 따른 감사품질의 차이를 더 적게 지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외부감사인 선정에 대한 감사(감사위원회)의 승인 여부와는 내부 감사품질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을 유지하여 감사를 수행하기 위하여서 상장법인과 비상장법인의 경우 감사인 선정과정에서 감사부서의 승인이 필수 사항임을 인지토록 할 필요가 있으며 공공기관의 경우 감사부서의 승인을 받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전산감사의 필요성과 피감사부서의 협조수준에 대한 연구결과, 감사업무 처리과정에서 전산감사의 필요성이 증대될수록 감사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피감사인의 전산감사 실시에 대한 협조수준은 감사품질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에서 생산된 재무정보의 정보화(전산화)가 강화될수록 내부 감사인이 감사업무 수행 시 전산감사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회계와 감사 연구 -> 회계ㆍ세무와 감사 연구외국어명 : Accounting & Auditing Research -> Study on Accounting, Taxation & Auditing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6-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Accounting & Auditing Research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회계와 감사 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5 | 1.05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23 | 2.16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