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갑오개혁 이후 公文遞傳夫 운영의 한계와 臨時郵遞規則의 시행 =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of Gongmunchejeonbu and Implementation of Imsiwoochegyuchic after the Gabo Refor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8(34쪽)
제공처
the new system, problems such as salary payment began to arise because it was different from the past.
In the past, salaries were paid by 'Yeokdunto', but the policy was changed to pay directly from the center, causing problems in implementing them.
Accordingly, in December 1897, King Gojong announced the 'Temporary Post Rule' to supplement this problem, and in the region, 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incorporating 'Hyangjang' into the new bureaucracy. And this operation was to apply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system to the modern communication system. In doing so, it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in implementing the new system.
시행할 수 있는 외형적 준비를 마쳤다. 그리고 1893년 전우총국을 통하여 이를 시행하려고 하였지만 갑오개혁이 진행되면서 이러한 역할은 통신국에서 담당하였다. 그리고 통신국에서는1895년 「국내우체규칙」과 1896년 「국내전보규칙」을 시행하고 기존의驛制를 폐지하면서 ‘공문체전부’와 같은 직책은 새로 만들어 새로운 통신제도를 수행하려고 하였다. 이들은 농상공부령으로 1895년 9월에 驛의 전답을 조사하면서 ‘立馬 肅規’를 폐지하고, ‘人夫를 代立하여 各部君에 公文을 遞傳’한다고 규정하면서, 실제적으로 공문을 운영하는 임무를 담당한 인원들이었다. 갑오개혁 이전까지 전통적인 통신제도에서 공문의 발송은 가장 중요한 임무 중하나였기 때문에, 1897년 12월에 「임시우체규칙」이 시행되어 공문체전부가 공식적으로 폐지될 때까지 이들은 근대통신제도의 시행의 주역을담당한 이들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제도의 시행이 갑작스럽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갑오개3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14 혁 이후 직접 농상공부령으로 급여를 驛土가 아닌 중앙에서 책정되었던공문체전부의 운영은, 실제현장에서는 역둔토가 위치하고 있지 않는 지역에서는 급여를 지급하지 못하고, 역둔토가 있던 지역에 비용을 문의하는 상황으로 한계점이 노정되었다. 제도는 새롭게 시행되었지만 운영은이전과 같은 구조로 운영되는 모순점이 드러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1897년 12월에 반포된 「임시우체규칙」은 기존의 통신제도 운영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전국 31개의 주요 우체사를 중심으로 한 통신업무는 「국내우체규칙」에서 시행된 인원으로운영하고, ‘임시우체’가 시행되는 지역은 각 지역의 사정에 맞게 운영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직책으로 등장하는 ‘향장’이라는 직책은 ‘군에서 사람들에게 성망과 재주가 분명한 사람으로 군수가 선출하되사람들로부터 회의 및 투표하여서 다수의 의견을 받은 사람으로 선정하되 지역 내 7년 이상 거주한 사람’로 규정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신분은 조선시대 향교의 ‘有司’와 같은 대표들을 선정하는 방식과 유사하였고, 지역민들을 관리할 수 있는 신분적인 역할, 기존의 역제에서 이를 관리하였던 ‘찰방’의 역할과도 유사하였다. 결국 1897 년 12월에 반포된 「임시우체규칙」은 갑오개혁 이후 공문체전부를 통하여 시행하였던 제도와 실제운영에서 발생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역제의 운영에서 역할하였던 찰방의 존재를 향장이라는 직책을 만들어서 보완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