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기독 대학생의 진로 결정 과정에서 경험되는 심리적 갈등 연구 =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onflict Experiences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during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conflict experienced by Christian students in
    univercity during the period of deciding their career path and
    preparing for their jobs and preparing alternatives to how to counse
    them who are experiencing such conflicts.
    The Christian students' worries about their careers, which the
    researcher met at the counseling site,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have faith. They were in
    conflict between the important topics in Christian education such as
    vision, calling, and vow, and between God's work and what they
    wanted to do. Such conflicts caused psychological problems and
    appeared as symptoms such as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 who counseled these clients, also had a conflict about
    Christian counselor identity in the situation where I had to consult
    them within Christian values. And in the end, such conflicts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start of this study.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career conflict among
    Christian students in university. Based on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the in-depth interview paper was written on the premise
    that the problem of career decision-making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distorted image of God stemming from parental attachment.
    Based on thi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was applied to derive the results of their experiences.
    In addition, Gerkin's hermeneutic view was also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summary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unstable attachment system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distorted God image.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ttachment system with wealth had
    more influence on the image of God.
    Second, the experience of unstable attachment led to the desire
    for recognition and the suppression of emotion, and made the
    individual feel low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ird, in faith, it was gradually made to have a legal belief
    value that emphasizes the rules and actions of faith.
    Fourth, the distorted image of God leads to the idea that you
    them who are experiencing such conflicts.
    The Christian students' worries about their careers, which the
    researcher met at the counseling site,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have faith. They were in
    conflict between the important topics in Christian education such as
    vision, calling, and vow, and between God's work and what they
    wanted to do. Such conflicts caused psychological problems and
    appeared as symptoms such as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 who counseled these clients, also had a conflict about
    Christian counselor identity in the situation where I had to consult
    them within Christian values. And in the end, such conflicts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start of this study.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career conflict among
    Christian students in university. Based on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the in-depth interview paper was written on the premise
    that the problem of career decision-making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distorted image of God stemming from parental attachment.
    Based on thi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was applied to derive the results of their experiences.
    In addition, Gerkin's hermeneutic view was also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summary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unstable attachment system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distorted God image.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ttachment system with wealth had
    more influence on the image of God.
    Second, the experience of unstable attachment led to the desire
    for recognition and the suppression of emotion, and made the
    individual feel low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ird, in faith, it was gradually made to have a legal belief
    value that emphasizes the rules and actions of faith.
    Fourth, the distorted image of God leads to the idea that you
    should obey the call.
    Fifth, the distorted idea of calling has led to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conflic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career or job, in
    conjunction with what he wants to do, calling, vision, vow, prayer
    response, and non-Christian corporate culture.
    Sixth, psychological problems stemming from career conflict
    experience were gradually solved by modifying distorted images of
    God through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oneself and their own
    stories.
    Seventh, the new self-concept and God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ture career decision making.
    Eighth, in Gerkin's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view,
    restructuring his story among mutual respect was significant in
    restructing the image of God.This is the same context as oral,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attachment based psychotherap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 of God image through the
    change of attachment behavior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data on
    how to counsel Christian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career conflicts in the situation that there is almost no
    study on God image and career decision making.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counseling materials on how to look at
    their conflicts from the Christian counseling standpoint.

    더보기

    본 연구는 기독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고 직업을 준비하는 기간
    중에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갈등의 요인을 분석하고 그와 같은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이들을 어떻게 상담해 줄 것인지에 대한 기독 상담학적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가 상담현장에서 만난 기독 대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고민
    은 신앙을 가지고 있지 않은 대학생들과는 다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
    다. 이들은 비전, 소명, 서원 등과 같이 기독교 교육 안에서 중요시하는
    주제들과 자신이 하고 싶은 일들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갈등은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심한 경우 신체화나 우울, 불안과도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담자들을 상담하는
    상담자 역시 기독교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이들을 상담해야 하는 상황에
    서 기독 상담자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있었고 이는 결국 본 연구를
    시작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독 대학생들의 진로 갈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써 기
    존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진로의사결정에서의 문제를 부모 애착에
    서 비롯된 왜곡된 하나님의 이미지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라는 추론을 가
    지고 심층 면접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경험
    을 통해 인식된 하나님의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이들의 경험에 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
    독 상담학적 입장에서 상호주관성을 중요시 여기는 Gerkin의 이야기
    해석학적 견해가 애착에서 비롯된 하나님 이미지를 수정하는데에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 하에 이를 논문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불안정애착체계는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이때 특히 부(父)와의 애착체
    계가 하나님 이미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불안정애착 경험은 인정 욕구로 이어지기도 하고 감정 억압
    으로 이어지기도 하면서 개인의 삶에 있어서 자신에 대해 낮은 만족감
    을 갖도록 하였다.
    셋째, 신앙에 있어서는 점차 신앙의 규칙과 행위를 중시하는 율법
    주의적 신앙 가치관을 갖도록 하였다.
    넷째, 왜곡된 하나님의 이미지는 부르심에 순종해야 한다는 생각으
    로 이어지게 되었다.
    다섯째, 부르심에 관한 왜곡된 생각은 진로나 직업을 선택하는 과
    정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소명, 비전, 서원, 기도 응답, 기독교적이
    지 않은 기업 문화 등과 맞물려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게 하였다.
    여섯째, 진로 갈등 경험에서 비롯된 심리적 문제들은 ‘구술’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이야기, 하나님의 이미지에 대한 재구조화 과정을 거치
    면서 점차 해소되었다.
    일곱째, 새로운 자기 개념과 하나님 이미지는 진로의사결정에 있어
    서 성숙한 모습을 보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덟째, Gerkin의 기독 상담학적 견해에서 볼 때, 상호적 존중 가운
    데서 자신의 이야기를 재구조화 해나가는 것은 하나님 이미지를 재구조
    화하는 것에 도움이 되며 이는 애착기반 심리치료로써 중요 요소인 구
    술과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어 애착행동체계의 변화를 통한 하나님 이
    미지의 변화로 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하나님 이미지와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가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현재 진로 갈등을 겪고 있는 기독 대학생들을
    어떻게 상담해줄 것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연구의 의의
    가 있다. 나아가서 기독 상담학적 입장에서 이들의 갈등을 어떻게 바라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상담학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1
    • 2. 연구 문제 ······················································· 8
    • 3. 선행 연구 ························································ 8
    • 1) 부모 애착과 하나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9
    • 2) 애착과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13
    • 3) 하나님 이미지와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16
    • Ⅱ. 이론적 배경 ····················································· 20
    • 1. 애착이론(Attachment theeory)에 관한 이해 ············ 20
    • 1) 애착행동체계에 대한 개념 ·························· 20
    • 2) 애착관계의 특징 ······································· 21
    • 3) 성인애착 ················································· 25
    • 4) 대상관계이론과 애착이론 ································ 27
    • 5) 애착과 심리치료 ··································· 30
    • 2.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이해 ································· 33
    • 1) 대상관계와 하나님 이미지 ····························· 34
    • 2) 애착과 하나님 이미지 ····································· 37
    • 3.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이해 ································· 41
    • 1) 진로의사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 2) 애착과 진로의사결정 ······························· 46
    • 3) 기독교 신앙과 진로선택에 대한 이해 ················· 47
    • 4. 기독 상담학적 방법론 ······························ 50
    • 1) Gerkin의 이야기 해석학에 대한 이해 ··················· 50
    • 2) 이야기 해석학에서의 상담 과정 ························· 57
    • Ⅲ. 연구방법론 ······················································· 62
    • 1. 현상학적 연구방법론 ········································· 62
    • 1) 현상학에 대한 이해 ···································· 62
    • 2)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 64
    • 2. 연구 과정 ······················································ 65
    • 1) 참여자 선정 ················································ 67
    • 2) 자료수집 절차 ·············································· 69
    • 3)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70
    • 4) 자료 분석 ··················································· 72
    • 5) 연구 평가 ··················································· 77
    • Ⅳ. 연구 결과 ························································ 79
    • 1. 진로 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진술······················ 82
    • 1) 상위 주제 1: 애착 경험 ································ 82
    • 2) 상위 주제 2: 인정 욕구 ································ 99
    • 3) 상위 주제 3: 신앙생활 경험 ·························· 117
    • 4) 상위 주제 4: 하나님 이미지 ·························· 127
    • 5) 상위 주제 5: 부르심의 소명 ························· 134
    • 6) 상위 주제 6: 신앙과 진로에 대한 이중적 갈등 ···· 143
    • 7) 상위 주제 7: 회복 경험 ······························· 155
    • 2. 진로 갈등경험에 대한 상황적 구조 기술 ················ 163
    • 3. 진로 갈등경험에 대한 일반적 구조 기술 ················ 179
    • 4. 연구 결과 모형 ········································ 184
    • Ⅴ. 기독 상담학적 논의······································· 186
    • 1. 기독 대학생 진로 갈등 경험자의 특성 ··················· 186
    • 2. 이야기 해석학적 논의 ······································· 193
    • Ⅵ. 결론 ······························································ 196
    • 1. 연구 요약 및 의의 ··········································· 196
    • 1) 연구 요약 ·············································· 196
    • 2) 연구 의의 ·············································· 199
    • 2. 연구 한계 및 제언 ··········································· 201
    • 참고 문헌 ···························································· 204
    • 연구 참여 동의서 ··················································· 221
    • 심층 면접 질문지 ··················································· 222
    • ABSTRACT ························································· 225
    더보기
    • 1 Bowlby, J., "『애착』", 김창대 역. 서울: 나남, 2009
    • 2 Bowlby, J., "『안전 기지』", 김수임, 강예리, 강민철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년에 출판), 2014
    • 3 강혜영, 황매향, 이제경, 유현실, 손진희, 김지현, 김봉환, 공윤정, "유정 이, 임은미", 손은령 공저 『진로상담이론-한국내담자, 2010
    • 4 Winnicott, D. W., "『놀이와 현실』",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 치료 연구소, 1997
    • 5 정순화, 황현주, 정옥분, "『애착과 발달』", 서울: 학지사, 2009
    • 6 김재영, "『직업과 소명』", 서울: IVP, 1989
    • 7 D. Wallbridge, M Davis, "『울타리와 공간』", 이재훈 역. 서 울: 한국심리치료 연구소. (원전은 1981년에 출판), 1997
    • 8 신경림, 조영욱,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2004
    • 9 신국원, "『니고데모의 안경』", 서울: IVP, 2005
    • 10 M. R. Jordan, "『신들과 씨름하다』", 권수영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6년에 출판), 2011
    • 11 김지영, 오효정, 오은경, 박선영, "『진로상담과 직업』", 서울: 정 민사, 2014
    • 12 김기섭, "“목표는 9급 공무원”", SKY도 줄 섰다. 조선일보. https://news.v.daum.net/v/20200115031058063에서 검색, 2020
    • 13 Holme, J., "『존 볼비와 애착이론』", 이경숙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년에 출판), 2005
    • 14 통계청, "“2018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18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19
    • 15 김성민,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서울: 학지사, 2007
    • 16 Marrone, M., "『애착이론과 심리치료』", 이민희 역. 서울: 시그 마프레스. (원전은 1993년에 출판), 2005
    • 17 문유림, "“취업 직무경험 쌓겠다.”", 대졸자 60%, 휴학 졸업 유예. 조선일보.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10/202002 1003145.html?utm_source=daum&utm_medium=original&utm_ campaign=news에서 검색, 2020
    • 18 한국목회상담학회, "『현대목회상담학자연구』", 서울: 희망나눔, 2014
    • 1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원, "『고려대 한국어 사전 3권』", 서 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9
    • 20 김봉환,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9
    • 21 안경승, "“기독 상담과정의 독특성.”", 「복음과 상담」. 24-2: 221-253, 2016
    • 22 이영길, "『성경적 직업선택 취업준비』", 서울: 나침판, 2006
    • 23 옥한음, "『소명자는 낙담하지 않는다』",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3
    • 24 오윤선, 황인숙, "『크리스천을 위한 진로상담』", 서울: 예영 B&P, 2015
    • 25 문희경, "『대상관계 이론과 목회상담학』", 서울: 도서출판 대서, 2011
    • 26 Summer, F. L., "『대상관계 이론과 정신병리학』", 이재훈 역. 서 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4
    • 27 임경수, "『애착이론과 역기능 발달 상담』", 서울: 학지사, 2014
    • 28 안석모, "“찰스 거킨의 목회신학 방법론.”", 「신학과 세계」. 54: 236-274, 2005
    • 29 권수영, "『자기, 문화 그리고 하나님 경험』", 서울: 크리스천 헤 럴드, 2006
    • 30 이호을, "[포스트코로나]① 코로나 세대의 출현", KBS NEWS.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43608&ref=D, 2020
    • 31 권수영, "『기독교[목회상담], 어떻게 다른가요』", 서울: 학지사, 2007
    • 32 Winnicott, D. W., "이재훈 역.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서 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 33 이향숙, "기독교인의 성인애착과 하나님애착 관계", 박사학위논 문.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1
    • 34 최아영, "대학원 공무원시험 준비, 열풍 아닌 광풍", 덕성여대신문, http://www.dspress.org/news/articleView.html?idxno=4777X XXXXXs65에서 검색, 2013
    • 35 구민주, "30대 신입사원 고착화...IMF보다 6세 많아져",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99 401 에서 검색, 2020
    • 36 최영민, "“자아심리학과 대상관계 이론의 비교.”", 「인제의학」. 23-4: 513-522, 2002
    • 37 이기쁨, "청년층 (20~ 29세) 고용보조지표 추이와 특징", 「한국 노동연구원」. 7: 44-55, 2019
    • 38 문승규, "“대학생용 직업가치카드 개발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 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7
    • 39 김난예, "“하나님 표상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학 연구」. 40-4: 3-69, 2002
    • 40 장신근, "『공적실천신학과 세계화시대의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7
    • 41 노청숙, "“재가 만성 조현병 내담자의 심리상담 경험.”", 박사학위 논문.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4
    • 42 이상훈, "“청년 고실업 시대와 기독교 직업윤리 교육.”", 「기독교 사회윤리」. 29: 377-413, 2014
    • 43 박기문, 이규녀,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103-127, 2009
    • 44 선혜연, "“청소년기 진로의사결정에서 부모의 관여방식.”", 박사학 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8
    • 45 황인국, "“애착이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박사 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5
    • 46 김지연, 최정아, 최윤정, 임효신, 이재선, 이은숙, 이미 지, 윤병배, 김하나, "『진로상담 척도 핸드북(진로상담과 연구를 위 한)』", 서울: 학지사, 2014
    • 47 송정아, "“대상관계가 인간의 하나님 형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8: 117-139, 2004
    • 48 반신환, "“효과적 기독교상담의 상담관계: 애착의 관점에서.”", 「신학과 실천」. 62: 293-314, 2018
    • 49 정유진, "취업난에 몰린 4년제 대학 졸업생, 전문대 재입학 상승", 한국경제신문.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6092310128에서 검색, 2016
    • 50 김미숙, "“대학생 태도 경험에 대한 해결중심상담 적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 51 유희정,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 52 송우석, "“신학대학원생의 하나님 표상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박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 대학원, 2015
    • 53 정석환, "“이야기심리학의 심리전기적 인간탐구 방법론 연구.”", 「신학논단」. 26: 251-273, 1999
    • 54 유은정, 이혜진, "기독교 여대생의 성인애착유형과 하나님 표상과의 관계", ” 「복음과 상담」. 7: 267-301, 2006
    • 55 진현정,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 56 김경은, 최정현, 김영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3: 1223-1233, 2011
    • 57 박혜영, "“자살로 부모를 상실한 기독교인 유가족의 성장경험,”",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 58 홍구화, "“칼빈주의와 심리학의 이중언어로 이루어지는 상 담.”", 「신앙과 학문」. 20-4: 223-247, 2015
    • 59 연명숙, "“하나님 표상의 긍정적 변화를 위한 정신분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 60 김연주, 문재용, "코로나에 알바 직격탄...청년취업자 11년만에 최대폭 감소",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5/489790/에 서 검색, 2020
    • 61 조윤희, "“고등학생의 주의집중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62 김선경, 이제경, 선혜연,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 고민 내용 의 원인과 결과.”", 「아시아교육연구」. 13-2: 1-24, 2012
    • 63 남경빈, "“장애자녀를 둔 목회자 아내의 심리적 갈등 경험 연 구.”",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8
    • 64 김용민, "“슐라이어마허 해석학과 목회상담의 만남: 가능성과 한 계.”", 「목회와 상담」. 22: 113-141, 2014
    • 65 이기증, "“중도실명자가 삶에서 겪는 소외 경험 연구.” 박사학위 논문",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7
    • 66 김강한, "코로나로 올해 신입사원 채용 규모 44% 감소. chosun.com. https://news", 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0/202004 2000515.html 에서 검색, 2020
    • 67 김은영, "8). “하나님 이미지와 부모 자녀 애착관계에 대한 통합 적 고찰", ” 「가족 상담」. 2-2: 21-30, 2012
    • 68 장신근, "“세계화의 도전과 공적 실천신학으로서의 기독교 교육 의 과제.”", 「장신논단」. 20: 443-465, 2003
    • 69 변재봉, 이관직, "“찰스커킨의 이야기해석학에 대한 목회상담학 적 평가 및 적용.”", 「목회와 상담」. 25: 112-149, 2015
    • 70 정하라, "스펙이나 외모가 아니라 신실한 배우자 보는 ‘믿음의 눈’ 키워야", 기독교 연합신문.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314 9에서 검색, 2017
    • 71 구혜경, "“수형자 재사회화를 위한 음악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 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7
    • 72 이정관, "“교회교육과정으로서의 현대 청소년 기독교교육의 교 욱적 과제.”", 「신학과 실천」. 35: 378-402, 2013
    • 73 조윤영, 최봉도, "“신앙성숙에 미치는 영향 분석-신앙경력, 부모애착, 하나님 이미지.”", 「기독교교육정보」. 47: 293-319, 2015
    • 74 고흥월, 김계현,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 의사 결정 상태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9-1: 147-164, 2008
    • 75 조대형, 최경욱, "“한국의 경제성장과 실업률 간의 시변하는 관 계 변화에 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8-6: 2329-2348, 2015
    • 76 이명훈, "“기독교인 자살생존자의 애도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 적 갈등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 77 이억범, "“신앙성숙도, 성인애착, 진로결정수준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영논총」. 15: 147-164, 2011
    • 78 문영주, "“임상목회 교육 그룹수퍼비전에서 나타난 하나님 이미 지 통합과정.”",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6
    • 79 신윤정, "대학생의 진로소명, 진로자기효능감 및 내적동기와 진로적응 성의 관계", 「상담학 연구」. 14-1: 221, 2013
    • 80 박인숙, 홍정주, 이희영, 이미향, 이금재, 유인영, 김진경, 김영희, 김분한, 김금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 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간호과학회」. 29-6: 1208-1220, 1999
    • 81 함영주, "청년이 인지한 아동기 부모-자녀 애착이 인성 및 영성발 달에 미치는 영향", 「신학과 실천」. 535: 551-580, 2017
    • 82 김계현, 선혜연,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에 있어서 부모의 영 향에 관한 분석, 1997~2006.”", 「상담학 연구」. 8-4: 1467-1483, 2007
    • 83 최수영, "“기독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대한 진로상담과정의 모형근거이론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84 임헌만, "11). “일차적 소명의 관점으로 보는 이차적 소명으로서 의 직업과 기독 상담", ” 「복음과 상담」. 13: 37-69, 2009
    • 85 서유란, 이상희,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 비교 연 구: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 「상담학 연구」. 13-2: 525-542, 2012
    • 86 김인제, "“불안정애착 기독대학생이 경험하는 신앙공동체에 관 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 87 유지선, "“여대생의 진로미결정과 애착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연 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 88 박진희, "“나눔의 프락시스에 기초한 기독 대학생의 진로상담의 모델과 실천 방향.”", 「복음과 상담」. 20: 125-153, 2013
    • 89 신지민, 이은경, 양난미,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54-1: 169-194, 2015
    • 90 이광희, "대학생의 애착,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 정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 91 이광희, "“대학생의 애착과 정서지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2-2: 1-20, 2017
    • 92 김봉환, 김효정,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 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 리치료」. 23-3: 785-810, 2011
    • 93 이창옥, "“부모 양육태도와 하나님 이미지가 기독청소년의 사회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 94 신동열, "『소명에 답하다: 신앙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청춘 을 위한 소명 고민 백서』", 고양: 스텝스톤, 2013
    • 95 Russo J Edward, "Schoemaker Paul J. H. 『이기는 결정 [Winning Decisions]』. 최진철, 김명언 역. 서울: 학지사", (원 전은 2001년에 출판), 2010
    • 96 장휘숙, "“애착에 대한 어머니의 내적 작동모델, 남편에 대한 애 착 및 자녀의 생활만족.”", 「한국발달심리학회지」. 11-2: 121-133, 1998
    • 97 Norman C., "Gysbers, Marry J. Heppne &r Joseph A. Johnston, 『진로상담의 실제』. 김봉환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년에 출판), 2003
    • 98 김영은, "“일반고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진로의사결정 관여와 부 모 및 자녀 특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99 이기학, 이지원,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의 관계: 진로 결정몰입과 전공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7-4: 953-976, 2015
    • 100 김민정,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 사결정 및 진로탐색 행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7-3: 27-45, 2014
    • 101 이근호,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한국교육인류학회」. 10-2: 41-64, 2007
    • 102 김은주, 전요섭, "5). “영아기 및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신앙형태 및 하나님 이미지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 「복음과 실천신 학」. 13: 125-148, 2007
    • 103 김효민, "“기독교인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하나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 대학원, 2015
    • 104 오윤선, "“기독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 정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복음과 상담」. 10: 118-136, 2009
    • 105 민순덕, "“기독교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기독 대학생의 소명의식 및 진로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성서대학 교 일반대학원, 2017
    • 106 김민정,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 의사 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 107 문형욱, "“아버지 애착이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때 기독 청년 이성교제의 매개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아세아연합신 학대학원, 2018
    • 108 문형욱, "“아버지 애착이 하나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때 기독 청년 이성교제의 매개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아세아연합신 학대학교 대학원, 2019
    • 109 강희순,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육논총」. 9-3: 83-104, 2010
    • 110 김희수, 문승태,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의 의시소통 및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4-2: 183-195, 2011
    • 111 김누리,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 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7
    • 112 함영주, "“어린이의 하나님 개념 형성에 있어서 아동기 애착 관계의 역할과 기독교 교욱학적 함의.”", 「성경과 신학」. 65: 329-353, 2013
    • 113 Lawrence G., "Calhoun, Richard G. Tedeschi. 『외상 후 성 장』. 강연신, 임정란, 장안나, 노안영 공역. 서울: 학지사", (원 전은 1993년에 출판), 2015
    • 114 이주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고나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신라대학 교 교육대학원, 2017
    • 115 이기학, 이지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진로의사결정문제와의 관계: 정서적 어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 회지 학교」. 11-1: 55-87, 2014
    • 116 김숙자,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진로의사결정, 진로자기효능 감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카톨릭관 동대학교 대학원, 2016
    • 117 박상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합리적 진로의사결정 능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평택 대학교 대학원, 2018
    • 118 강민철, 조아라, 이윤희, 김영근, "“대학생의 애착,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과 우유부단의 조절 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995-1016, 2011
    • 119 이선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요인 및 대학 요인의 다층분석.”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2019
    • 120 어진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중수준의 관계 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 학원, 2015
    • 121 배무련, "“기독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신앙성숙, 진로소명, 진로결 정 자기 효능감과 진로 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 122 김미선, "“기혼 여성의 초기 부모애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하나님애착의 조절효과와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 문. 횃불트리니티 신학대학원 대학교, 2017
    • 123 황인숙, "“기독 대학생의 영적 성숙도가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 향-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순차적 매개 효과.”", 박사학위 논문. 한국성서대학교 대학원, 2015
    • 124 김은진, 천성문, "“부모에 대한 갈등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한국동서정신과학」. 4-1: 147-162, 2001
    • 125 이민선, "“아버지의 양육 유형이 자녀의 정서적 발달 그리고 하 나님 이미지 형성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적 고찰", ” 「기 독교교육총론」. 55: 165-194, 2018
    • 126 박영생,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 심리사회적 특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 문. 서울벤처대학원 대학원, 2016
    • 127 김선미, "“부모와의 애착이 아동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사회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개념적 모형의 탐색.”", 박사 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8
    • 128 김영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청소년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부모 진로일치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 효과.”", 박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8
    • 129 한상근, "11).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변화(1998~2018)”. 「한국의 직업. 한국인의 직업의식: 직업지표 및 직업의식 세미나」. 41-54.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2018
    • 130 조윤영, "“부모애착에 의한 하나님 이미지가 진로태도 성숙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기독교 교육적 연구-신앙성숙과 자아존중 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 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