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가능성 탐색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Exploring the New Possibility of Dietary Education for School Children -Focusing on Sensory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9-82(24쪽)
KCI 피인용횟수
9
제공처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의 식생활교육 사례 조사를 통해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 파악은 초등학교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였다. 둘째,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은 외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식생활교육 사례 중 미각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각교육의 기초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에서 얻은 시사점을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외국의 경우 일본은 식육기본법을 마련하여 법과 제도의 차원에서 변화를 시도하였고, 이탈리아에서는 슬로 푸드(slow food)와 스쿨 가든(school garden) 제도를 통해 식생활교육 개념의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식생활교육에서 제3의 길을 접목한 프랑스의 미각교육(sensory education)은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식생활교육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우리나라 미각교육은 지금까지는 정규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텃밭 교육농장, 유기농 학교 급식, 미각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용 미각교육 교재 및 지도서 개발 등의 사례를 통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미각교육은 식재료 고유의 맛을 기억하게 하는 것으로 식재료가 처음 음식에 섞이기 이전의 맛에 대한 다양성을 경험하고 그 맛이 어떻게 변해가는 지를 알게 하는 것이다. 식재료의 고유한 맛, 자연이 내는 맛의 다양성에 대한 감각을 키워주는 것은 현재 조작된 재료와 중독된 입맛에 길들어져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방안이 된다.
정규 교육과정인 실과교육이 이론과 체험 중심의 식생활교육에서 가치와 감성 중심의 미각교육으로 전환될 때 다가치적, 인간 중심적 구조를 지향하는 실과교육 목표가 실현될 수 있으며, 통합 생활교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실과교과에서는 미각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이며 어떤 내용, 범주, 위계와 방법에 따라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등 식생활교육 환경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unt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analyze foreign cases of dietary education to lay the foundation for setting a new direction of Korean diet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objectives of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f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analyze the contents and present state of dietary education in regular curricula at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with foreign cases of dietary education to suggest a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emphasize sensory education.
As for overseas cases, Japan established the Dietary Education Basic Law in pursuit of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nd Italy suggests another view of the concept of dietary education through slow food and the school garden system. Sensory education in France where educational practice has found the third way for dietary education is the par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n future dietary education.
Sensory education is to make one remember the unique taste of ingredients, experience diverse tastes of those ingredients before they are first mixed into food, and understand how those tastes go through changes. The efforts to promote senses for the unique taste of ingredients and a variety of natural tastes can allow children currently accustomed to manipulated ingredients and addictive tastes to be more competent in dietary management.
I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regular curriculum makes a shift from theory- and experience-based dietary education to value- and sensitivity-based sensory education, it can attain the objectiv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at pursues a multi-value, human-centered structure, which will then be settled as an integrated living subject. To do this,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needs to make efforts to create dietary educ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the ultimate objective of sensory education and its contents, categories, hierarchy, and method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7 | 1.367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