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럽연합(EU)에서의 초국가적 공동체헌법의 발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PRANATIONAL COMMUNITY CONSTITUTIONAL LAW IN THE EUROPEAN UNION
저자
손희만 (부경대학교 유럽정보센터)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349.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7-87(21쪽)
제공처
소장기관
정칙학에서의 유럽통합에 관한 이론적 논의는 미국에서의 연방주의적 경험을 중심으로 활발히 발전하여, 또 다른 초국가적 형태로서의 준연방적 국가를 구현시켜가고 있는 서유럽에서 다시 그 이론적 적용을 경험하며 재충전되고 있다. 유럽통합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과 예측불가능성은 유럽연합의 구성원들의 현재 15개의 개별 회원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이는 20-30개의 회원국으로 확대될 가능성으로 인하여 회원국들 간의 다양한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의 갈등현상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로 기인하는 듯하다. 따라서 유럽통합이 향후 어떠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낼 것인지가 매우 궁금하다. 이 글에서는 유럽통합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국제법 또는 헌법학적인 접근방법을 통하여 유럽통합의 이념과 목표, 통합의 구체적 실현방법, 유럽통합의 기초적 근거와 토대, 유럽통합의 구체적 형태와 장래향방 등의 문제들에 대해 점검해보려고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유럽연합(EU)의 헌법을 주요한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위에서 제기한 몇 가지의 연구과제들을 검토해 보려고 하는데, 공동체헌법은 그러한 의문점들에 대한 명백함 답변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통합을 분석하기 위한 정치학적인 여러 이론들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실제의 유럽통합은 공동체헌법을 포함한 유럽공동체법(the community law)에 구체적 기반을 두고 향후 21세기의 그 어는 시점에 구체화될 '더욱 더 가까워진 유럽인들을 위한 유럽'의 모습으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The constitutional law of the European Union(EU) is a chameleon. It changes its skin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How we understand it depends on our standpoint and purpose. Of course this is inevitable in the study of any social science, including law. In the case of the EU, its specific character makes unusually complicated any enquiry to understand its constitution.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aborate a conceptual framework of EU constitutional law. To clear the conceptual groud, we must define what we mean by constitution in the EU. On the basis of setting up the definition of EU constitutional law,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how the Community has developed and systematized its constitutional law over the last five decades. A third, more political, purpose is to find out what the roles of EU constitutional law are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A final purpose is to develop the study of EC law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contests of the European Union. To sum up, the founding Treatie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and their amendments, like national constitutions, serve as the highest norm in the Community legal system, define the conditions for the exercise of political power of the Community institutions, and confer upon EU citizens the power to assert their rights against the supranational organization, that is, the Un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