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음의 지각 = Perception of English Sound
저자
정용주 (진주교육대학교 조교수(영어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9
작성언어
Korean
KDC
74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28(24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perception of language, the first step of comprehension process, through literature of psycholinguistics.
When speech sound is seen through spectrogram, it produces the blending segments, not a series of descrete ones. Speech sounds are continuous stream which cannot he segmented artificially and do not have invariance that sounds the same in all contexts.
Phonetic cued available in the phonetic stage are context- independent and context - dependent cues.
These two cues are used in identifying consonante. One of the important context - dependent cues are voice onset time. Context - dependent curia themselves vary as the context of phoneme changes. This means that many phonemes do not have invariant properties. When we want to identify a particular phoneme we must identify the ones preceding and following it.
This phenomenon conveying information of more than one phoneme at a time is called parallel transmission.
Vowels are characterized in terms of unvarying, steady- state formant patterns. Vowels are identified by the difference of formant frequencies. Hut vowels maintaining steady - state formant are affected by the context in which they occur. Consequently vowels are identified by the changing formant patterns of the phonemes that precede and fellow them.
Many phonetic cues are carried by the formant patterns and by the changing way of formants over time. Step consonants like /b/, /d/, and /g/ are identified by the changes of formants called formant transition. Fricative and nasal consonants also involve formant transition. But fricative consonants hold distinctive noise lacking formant structure, and nasal consonants have the distinctive nasal formants.
Even though speech signal varies a lot, its variance does not greatly affect a listener trying to identify it.
Generally listners do not perceive the variance of speech signal. Only when a listener identify the signal as a different phoneme, he listens differently. This phenomenon is referred as categorical perception.
After Liberman and his colleague first reported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 perception,
many experiments have showed that speech sound is perceived categorically. It is kown that even
infants perceive stop consonants categorically.
Perception process of speech stimuli seems to involve a system of feature detectors. This is
mechanisms that respond in all-or-none mann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rticular properly
in the speech signal. The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feature detectors is mainly indirect. Neurological evidence for such detectors is not yet obtained.
When speech signals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we can not identify phonological features unambiguously. This means that through the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speech signal itself speech perception is impossible. When listeners analyze the speech signal, they use the information of lexical,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Thus the phonological analysis of the speech signal involves the synthesis of many informations. There is still al great deal to be learned about active, synthetic aspect of speech percep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