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키틀러의 영화적 도플갱어 개념 재고-초기영화 <프랑켄슈타인>을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Kittler’s Concept of the filmic doppelgänger: -Focusing on the early film Frankenstei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84(2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will analyze Friedrich Kittler’s thoughts on the concept of the doppelganger via the kinetoscope film Frankenstein produced by Edison Manufacturing company. The doppelganger is a motif of major literature, in particularly in the Romanticist movement, which is aimed at reflecting the human soul. However, Kittler insisted that the concept of the doppelganger was embodied in films with different purposes and effects from literature. This can be seen in the context of media history, including the media conversion from text to film and the resulting epistemological break. This concept is also addressed within the context of film studies that aim to revealing the mechanism of screening and watching films at movie theatres. Whereas the psychoanalytic film theory of the mid-to late-20th century explains that a film screen acts as a false mirror to identify actors’ images on the screen with the audience, Kittler advances madness occurred by film technology as an aspect of the doppelganger concept as the genealogy of patients in the lunatic asylum of the past. He believes that watching a film accompanies uncanniness and unpleasantness, such as when we encounter our doppelganger. Nonetheless, given that a film is a representative entertainment that has provided pleasant experiences to the audiences since its birth, an additional hypothesis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unpleasantness and entertainment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early film Frankenstein, which corresponds well with the concept of the doppelganger by Kittler, and illuminate the narrative technique of a happy ending that is hidden in the unconscious area, which weakens any unpleasantness that is caused by technology.
더보기본 연구는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영화 사상을 도플갱어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도플갱어는 인간의 내면, 영혼을 성찰하기 위한 주요 문학, 특히 낭만주의 문학 모티프였는데 키틀러는 영화에서의 그것이 문학과는 다른 목적과 효과로 구현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문자에서 영화로의 미디어적 전환과 그에 따른 인식론적 변화를 가리키는 미디어 역사적 맥락에 있기도 하지만 동시에 영화관 상영 및 관람 메커니즘을 드러내기 위한 영화학적 맥락에서 다룰 수도 있다. 영화 스크린이 일종의 거울이 되어 그에 비치는 이미지와의 영화 관객의 동일시를 20세기 중후반 정신분석학 영화 관람 이론에서는 동일시로 설명하는 반면, 키틀러는 과거 정신병원의 광인과 이어지는 계보로 광기를 내세운다. 도플갱어와 마주치는 경험처럼 영화 관람에도 언캐니함과 불쾌함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화가 그 시작에서부터 관객에게 즐거운 경험을 선사했던 대표적인 오락물이었다는 사실을 감안해 본다면, 불쾌함과 오락 사이의 간극이 있다. 그 일환에서 본 연구는 키틀러의 도플갱어 개념에 적절히 부합하는 초기영화 <프랑켄슈타인>의 작품을 분석하고, 불쾌감을 해소시키기 위한 해피엔딩이라는 서사의 기능적 차원에 주목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12-0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ontemporary Film Research Institute -> Contemporary Cinema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10-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Contemporary Film Studi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9 | 0.72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