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불교의례에서의 <고성염불>의 전승양상 연구 = A Study on transmission aspects of the <Goseongyeombul> in Korea Buddhist Ritua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5-394(4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Goseongyeombul> is a form of Yeombul that is made by shouting at a high pitch, and it is known that it has been actively transmitted mainly in the Chungcheong Province area. After checking this, the worship service of Monk Daecheon, who was the founder of Shinwonsa Temple Beompae in the 20th century, was not in the form of Goseongyeombul.
Meanwhile, in 1973, Ilhyun monk’s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utra>, recorded in 1973, did not have any preliminary accompaniment, and the wooden table accompaniment continued strongly, and Yeombul starts at high notes.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Goseongyeombul in Chungcheong-do that are different from the current Jebul are confirmed. In addition, the current Baekje Suryukjae’s Beomjin rarely uses low and mid- range tones and mainly uses only high tones, so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ungje Beompae are well transmitted. However, Beomjin Monk not only learned pansori and sijo, and but also learned of Kyeongje- Beompae. In this respect, his sound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 of the innate individual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Jungjebeompae through acquired learning.
Muryangsuyeoraehoe, a Yeombulhoe group that is active across the country, plays Goseong-yeombul mainly in NamuAmitabul, and uses drums and little bells as accompaniment instruments. This type of accompaniment is the accompaniment form of Goseong Yeombul held at the Yeombul Meeting in the 19th century, and the Songju of Seonamsa Dawn Yebul is currently in the same form. The Muryangsu Nyoraihoe consists of various methods of Yeombul such as Goseongyeombul, gyeonYeombul, buddhist sermon, NamuAmitabul bow 108 times, Goseongyeombul, going around-Yeombul, sitting-Yeombul, silence, etc. There was a strong aspect of the Comprehensive Yeombul practice, which sought to reach the samādhi of zen by constructing various methods of Confucianism.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ey call it ‘Goseongyeombul’ is considered to be their will and aspiration to engraving the merits of the Confucian liturgical Buddha and to carry on the ceremonial gatherings of the past into the present.
<고성염불>은 높게 질러서 소리 내는 염불의 형태로, 주로 충청도 지역에서 활발하게 전승되어 왔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확인한 결과, 마곡사 출신 일현 의 경우, 녹음된 음원이 모두 고성으로 노래한 것은 아니었고, 20세기 신원사 범패의 중흥조였던 대천의 예불 또한 고성염불의 형태가 아니었다.
한편 1973년에 녹음된 일현의 반야심경은 예비박이 따로 없이 목탁 반주가 강하게 지속되었고, 고음에서 염불을 시작하고 있어서 현재의 예불과는 차별 되는 충청도지역 고성염불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또한 현재 백제수륙재 어장 범진은 중저음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주로 고음으로만 염불을 하고 있어서, 중 제범패의 특징을 잘 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범진은 판소리, 시조 및 경제범패의 동교소리와 서교소리를 모두 섭렵하였다는 점에서 선천적으로 타 고난 개인의 특성과 성향이 후천적 학습에 의해 부합된 결과로 여겨진다.
전국단위의 염불회인 무량수여래회는 나무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고성염불 을 하며, 대고와 경쇠를 사용하는데, 이는 19세기 염불결사에서 행한 고성염불 의 반주형태를 잇는 형태이다. 그러나 실제로 고성염불로 노래하는 것은 아니 었고, 고성염불, 경행염불, 법문, 나무아미타불 108 대참회, 고성염불, 경행염 불, 정좌염불, 묵념 등으로 염불의 방법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염불 삼매에 이르고자 하는 종합적인 염불수행적 측면이 강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