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무화과의 소수자적 관심을 활용한 성인지 감수성 교육 연구 =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through Minority Interests in “The Fig Tre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3-130(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Gender sensitivity is considered a taboo subject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sex education during teenage years must be treated as a complex concept as it includes human’ attitudes, emotions, and knowledge regarding sex. Therefore, educational interest in gender sensitivity is adequate as part of sex education. Additionally, gender sensitivity must be approached from the minority group’s perspective. Minorities are vulnerable to direct social discrimination such as hate, prejudice, and violence because they are generally considered different from the so-called norm. Education and academic interests regarding minorities adequately develop values of equality and seek reflective thinking.
In this study, Yeom Sangseob’s “The Fig Tree” was analyzed to shed new light on the characters as minorities. The main characters: Won-young, Chae-ryun, Jong-yeob, and Moon-kyung experience the instability of heterosexual love within a patriarchal society. Although there is no mention of their homosexuality,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doubts regarding heterosexuality as signs of homosexuality. Such signs are clues that “The Fig Tree”-a piece of work displaying modern transition and that it welcomes multi-layered interpret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gender sensitivity is viewed in its cross-curricular aspect, and students’ self-growth is the premise of all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al studies must be conducted on all such elements that influence self-growth, and through gender sensitivity it will be possible to provoke recognition and interest toward social and gender minorities.
성인지 감수성은 교육 현장에서 다뤄지기에는 민감한 주제이므로 마치 금기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청소년기 성교육은 인간이 성에 대해 갖고 있는 태도나 감정, 지식 등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에서 접근해야 하므로, 성교육의 일환으로서도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교육적 관심은 타당하다. 무엇보다 성인지 감수성은 소수자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제이다. 소수자는 사회의 표준화된 규범에서 벗어나 있다는 면에서 다르다는 이유로 혐오와 편견, 폭력과 같은 직접적인 사회적 차별에 노출될 수 있다. 평등의 가치를 함양하고 이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도모한다는 측면에서도 소수자에 대한 관심과 그에 대한 교육은 타당하다.
본고에서는 염상섭의 『무화과』를 분석하여 작품의 인물들을 소수자로 재조명하였다. 주요 등장인물인 원영과 채련, 종엽과 문경은 가부장적 사회 안에서 이성애의 불완전성을 확인한다. 직접 동성애를 언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성애에 대한 회의가 동성애적 기호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에게는 충분히 성소수자에 대한 인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호는 『무화과』가 근대적 전환을 알리는 작품이자 다층적 해석이 가능한 작품임을 증명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교육현장에서는 성인지 감수성을 범교과적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학습자들의 자아 성장은 모든 교육의 전제이다. 따라서 자아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에 대한 교육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성인지 감수성을 통해 소수자 및 성소수자들에 대한 인지와 관심을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4 | 1.141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